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현활동 수업에서 지각된 교수역량과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그릿과 핵심역량의 매개효과

        전진아,백영태 대한무용학회 202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81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test whether middle school stu- dents’ grit and core competenc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 ceived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 and to investigate its invariance across gender and grade. A total of 538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a set of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perception of teaching competency, grit, relationship chang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well-being. Data were conducted using de- 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 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 group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effort perseverance for learning and in- 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 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 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effort perseverance for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 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effort perseverance for learning and em- pathy communication skills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Fourth,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cy of interest for learn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 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Fifth,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cy of interest for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 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Sixth, middle school students’ consistency of interest for learning and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 tween teaching competency and well-being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Seventh, the effects of teaching competency, two components of grit (effort perseverance, consistency of inter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on well-being were variant across gender. Eighth, the effects of teaching competency, two components of grit (effort perseverance, consistency of inter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on well-being were variant across gra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competency from their teachers in expressive activity classes can strongly facilitate students’s effort perseverance and consistency of inter- est for lear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 ing skills,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soci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수준과 정신건강 지원 현황

        전진아,최지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보건복지포럼 Vol.243 No.-

        본 원고는 생애주기별 정신건강 수준차이와 기존 정신건강증진 정책이 생애주기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정신건강 문제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청소년은 스마트폰, 인터넷 과의존, 청장년층은 도박중독과 알코올 사용 장애, 노인은 우울, 자살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제한된 인력으로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는 현재의 정신건강증진체계상 생애주기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정신건강 문제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생애주기에 따라 적절하게 개입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신건강증진체계의 확대, 유관 자원들 간 연계, 정신보건 전문인력 확보 등이 필수적이다.

      • 아동의 학교생활: 학교생활 만족도, 비행 및 폭력경험 실태를 중심으로

        전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20 No.-

        본 원고는 2013년에 실시된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를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 비행행동, 사이버 폭력을 포함한 학교폭력에 초점을 두어 리뷰하고 재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 아동의 학교생활이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는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약 10%의 아동이 하나 이상의 비행행동을 경험하고, 약 30%의 아동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이들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예방 및 치료·치유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과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공동주의 능력

        전진아,이효주,이지영,이윤경 한국자폐학회 2014 자폐성 장애연구 Vol.14 No.2

        Joint attention is associated with early social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joint attention behaviors of toddlers who are at risk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DLD) to those of typically developing(TD) toddlers. The participants were 15 toddlers with at risk for ASD, 15 with DLD, and 15 TD toddlers matched on chronological age. The toddlers’ behavior samples were elicited through CSBS DP procedures and total frequency of joint attention, initiating of joint attention(IJA)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RJA) behaviors were measured. The results as followed: The at-risk A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fewer total joint attention and RJA behaviors than DLD and TD groups. And the at-risk ASD toddlers showed significantly fewer IJA than only TD group. The results suggest that joint attention behavior could be considered as an early symptom that differentiate toddlers at-risk for ASD from toddlers with DLD as well as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공동주의는 사회성, 언어능력 등 초기 발달과 밀접한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 언어발달지체, 일반 영유아의 공동주의 행동 특성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6개월-30개월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 영유아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언어발달지체 영유아 15명, 일반 영유아 15명으로 하였다. 공동주의 행동은 의사소통 및 상징행동 척도(CSBS DP)를 실시하는 동안에 나타난 행동으로 수집하였으며, 개시하기 및 반응하기의 표현행동으로 구분하여 빈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공동주의 행동 총 빈도, 개시하기 및 반응하기 행동 빈도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 집단은 공동주의 총 빈도와 공동주의 반응하기 빈도에서 일반 영아 집단은 물론이고 언어발달지체 집단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적은 빈도를 보였다. 공동주의 개시하기 빈도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 위험군 집단과 일반 집단 간에만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동주의 행동이 의사소통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집단 변별에 유용한 요인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전통주 테이스팅 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전진아,차새미나,정석태,고재윤 한국외식경영학회 2014 외식경영연구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주 테이스팅 항목을 개발하여 전통주 소믈리에 교육 자료 및 전통주 품질평가 시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3단계의 델파이(delphi)기법을 적용하였다. 켄달의 W 검증을 통한 의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결과, 상위개념에서 시각, 후각, 미각 총 3개 개념이 도출되었고, 중위개념에서는 14개의 항목이, 세부 항목으로 총 76개의 평가 항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한국의 지역적,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한 표준화되고 일반화된 전통주 테이스팅 항목을 개발로 본 연구가 전통주 테이스팅 항목의 첫 출발점으로서 후속 연구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traditional liquor tasting item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raditional liquor sommelier education and traditional liquor quality evaluation. For this purpose, 3-stage of Delphi technique was adapted for 30 specialists. Through the 3rd Delphi investigation, total three concepts of sight, smell and taste were deducted for super ordinate concept, and 14 items of appearance, Makgeolli color, Yakju color, fruit aroma, botanical aroma, grain aroma, flower aroma, odor, dairy aroma, nut aroma, spicy aroma, other aroma, taste, feeling in the mouth were deducted for median concept, and total 76 evaluation items were deducted for details. This research would provide the useful basic data for successive researches as a starting point of traditional liquor tasting item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and generalized traditional liquor tasting item considering lo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by the opinions of specialists.

      • 한국복지패널자료로 살펴본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양상과 의료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전진아,이난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보건복지포럼 Vol.219 No.-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질환과 관련한 실제적인 복지수요와 필요를 확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양상을 파악하고, 동반양상별 의료서비스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원고는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과 만성질환의 동반질환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및 정책적 개입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