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전공선택제(‘무전공’ 제도)의 주요 내용과 방안 연구

        전종희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에서 많은 화제가 되고 있는 자율전공선택제로서 ‘무전공’ 제도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려와 대책을 논의하고자 한다. 무전공 제는 대학 입시로 인해 진로의 탐색과 선택을 제대로 못한 학생들이 충분한 전공 탐색 을 거쳐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선택해 나가도록 하는 데 있어 제약을 없애고 자율성을 강화한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최근의 쟁점을 반영하여 2024년 3, 4월을 기점으로 무전공(또는 자유전공) 관련 선행 연구와 함께 무전공 제도의 주요 내용, 무 전공 선발 운영 현황 및 향후 계획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무전공제의 본격적인 시행을 앞두고 이 제도의 실행에 관한 현실적인 사항들을 세부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생들이 자율성을 가지고 충분한 탐색을 거쳐 전공과 진로를 결정해 나가도록 돕는 제도로서 무전공제의 현실적인 안착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status of ‘undeclared major’ as an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which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in college education, and discusses concerns and methods based on this. Undeclared maior is a system that removes restrictions and strengthens autonomy in allowing students who have been unable to properly explore and choose a career path due to college entrance exams to select a major that suits them after sufficient major exploration. This study reflects these recent issues and examines the main contents, the operational current status, and future plans along with previous research on undeclared majors (or free majors) system starting from March and April 2024. In addition, ahead of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undeclared major system, practical matter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were discussed in detail. Based on this study, as a system that helps students decide on their major and career path through sufficient exploration with autonomy, we will be able to find realistic ways to establish and develop the undeclared major system and conduct in-depth discussions.

      • KCI등재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 연구

        전종희,이수정,이우경,이원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6 No.1

        In this study, we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K-MAAS) that Brown et al had developed to measure for Mindfulness. In result,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Cronbach's alpha) of the K-MAAS was high (.87), correlation coefficients of item-total were to .24 from .68.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ingle factor accounted for 37.94 % of the total variance. K-MAAS was related to depression, anxiety, negatively, to self-esteem, positive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K-MAAS) was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for mindful state.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의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개발된 Brown 등(2003)의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를 국내 문화에 적합하게 번안하여,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K-MAAS)를 작성하였고 이 척도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K-MAAS는 내적 합치도 계수(α)는 .87로 높은 편이었으며, 문항- 총점 간 상관 계수도 .24에서 .68 로 중간 정도의 강한 상관을 보였다. 요인 분석 결과, 이 척도는 단일 요인 모델이 전체 변량의 37.94%를 설명하였다. 또한, 우울이나 불안과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자존감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Korean version of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가 마음챙김 능력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와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창의성의 발휘에 작용하는 개인 및 조직 요인 탐색

        전종희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C기업 방송사업 부문 t채널의 프로그램 제작 팀을 대상으로 집단창의성의 발휘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 팀은 방송 프로그램을 시리즈의 형태로 제작해 왔고, 대중적으로 많은 사랑과 관심을 받아왔다. 연구를 위해 집단창의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연구대상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 기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2013년 8월에서 2015년 3월까지의 기간 동안 기사화된 내용을 1, 2차에 걸쳐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직접 인용된 인터뷰 기사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거쳤다. 이와 함께, 분석의 결과인 각 차원별 요인들을 개념화하였고, 각 요인별 직접 인용은 질적 자료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개인 요인은 10개(지식과 경험의 다양성, 기질과 성향의 특유성, 대중의 정서에 대한 공감능력, 휴머니즘 추구, 열정과 성실, 새로운 시도·도전의 실행, 믿음과 뚝심은 곧 창의성, 대중에 대한 민감성과 호기심, 신뢰를 주는 의사소통, 업무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고민), 조직 요인은 5개(차별화된 다양성, 파격과 신선함, 유연함과 비연속성 허용, 구성원과 조직 간의 궁합·케미스트리 작용, 시대적인 흐름에의 대응)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구성원 개인의 특성을 존중하고 조직 차원의 풍토와 시스템이 뒷받침될 때 집단창의성이 잘 발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lective creativity factors of the production team at channel t of the broadcasting business of C Corporation. This team produced programs in a serial format, as the public preferred them in this format. The outputs were based on collective creativity and were influenced b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type of collective creativity was explored through a search and analysis of news articles. A content analysis and expert reviews were conducted after extracting articles which contained interviews with direct quotations in them.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es were conceptualized and defined, and the quoted contents were provided as qualitative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en individual factors and five organizational factors were identified. A discuss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지식정보화시대에 성장 지향 마인드셋(mindset)의 실천 방향 및 전략 탐색

        전종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explore the practical direction and strategy of a growth -oriented mindset in the ag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a world full of external stimuli and heterogeneous demands, if an individual does not intend for a better direction on his own, he stays in a reactive being, rushing to deal with day-to-day issues, and it is difficult to realize and develop his own personality and potential.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esented the practical direction and strategy of a growth-oriented mindset related to qualitative growth and learning goals that emphasize absolute standards and processes for oneself based on research on related literature and the latest issues. First, from a macroscopic point of view, the practical direction of the growth -oriented mindset includes ‘What is important after work is active change, not passive rest’, and ‘a life of making and executing a highlight for growth in an era where distraction is the default’. Next,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the strategy for the growth-oriented mindset has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prioritize non-urgent but important tasks’, ‘start small and light and continue to change based on the brain plasticity’, ‘practice planned training towards excellence’, ‘practice the balance between real-time information and knowledge’, ‘cultivate the depth of extracting value from information’, ‘Developing depth by minimizing distraction’, ‘practice rituals and deep work’.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roadly share and spread the direction and practice strategy of a growth -oriented mindset that helps people fill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in knowledge information age.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의견 조사 연구-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조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Study on Student Opinion Survey of the UniversityLiberal Edu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Focusing on the Survey Development Case ofthe Liberal Arts Student Monitoring Group-Jonghee Je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of the student opinion survey led by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in the case of K university, and to seek the future improvement plans.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sele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led the survey of related cases, development and review of student opinion survey questions, discussion of results, and deriving future development plans. In particular, regarding the student’s opinion survey, the perception of the operation content and method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was investigated through text notification for the winners, graduates, and basic participants of the last two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A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and progress of the student opinion survey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and survey results and discuss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extra-curricula program and to reflect them in detail. Key Words: College Student, Liberal Arts Educ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Student Opinion Survey, Student Monitoring Group 대학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의견 조사 연구-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조사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전 종 희*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학생 의견 조사 개발 과정 및 결과를 제시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22년 1학기에 선발된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은 관련 사례 조사, 학생 의견 조사 문항 개발 및 검토, 결과 논의 및 향후 발전 방안 도출 등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다. 특히, 학생 의견 조사와 관련하여 최근 2년간의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수상자, 이수자, 기본 참여자 등을 대상으로 문자 알림을 통해 운영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의견 조사 개발 및 진행 과정, 조사 결과와 논의를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요구를 확인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대학생, 교양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학생 의견 조사, 학생 모니터링단 □ 접수일: 2022년 7월 31일, 수정일: 2022년 8월 2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Konkuk Univ. Glocal Campus, Email: jeon2080@hanmail.net)

      • KCI등재

        불확실성 시대에 균형잡힌 삶의 가치 탐색과 적용 : 인지, 정서, 행동상의 균형잡힌 삶 교양 강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종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xamples of lectures organized to help college students establish a balanced life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in an era of heightened uncertainty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nd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improvements through discussion.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ed the course opening process and method, operation and evaluation, discussion and conclus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of 'the Balanced Life in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s a liberal arts subject of K University. This course was newly open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fter being approved through the school deliberation process, and is operated every semester after going through expert consulting twice. Students rated this lecture above average in 11 items. Even in the subjective response, there were a number of positive comments and some improvements (including duplicate responses). As positive aspects of the lecture, students said ‘providing useful and fruitful information’ and ‘helping with career design and self-development’. In addition, they suggested ‘adjustment of lecture volume and running time’ as improvem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share balanced life values not only in universities but also in society as a whole, and to find way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used by individuals and groups of various age group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해 불확실성이 가중된 시대에 대학생들이전인적인 관점에서 균형잡힌 삶을 정립하도록 돕고자 구성된 강의 사례를 제시하고 논의를 통해 교육적 함의 및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대학교의 교양 교과목인 ‘인지, 정서, 행동상의 균형잡힌 삶’의 강의 개설 과정 및 진행 방법, 강의의 운영 및 평가, 논의 및 결론에 이어 연구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강의는 교내 심의 절차를 거쳐 승인된 후, 2020학년도 2학기에 신규 개설되었고 2차례의 전문가컨설팅을 거친 후에 매 학기마다 운영되고 있다. 학생들은 본 강의에 대해 11개의 항목별로 평균 이상의 높은 평가를 내렸다. 주관식 응답에서도 다수의 긍정적인 의견과 함께 일부 개선 사항이 있었는데(중복 응답 포함), 학생들은 강의의 긍정적인 측면으로‘유익하고 알찬 정보 제공’, ‘진로 설계 및 자기 계발에 도움’ 등을, 개선사항으로는 ‘강의분량과 진행 시간의 조절’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토대로 향후에는 균형잡힌삶의 가치를 대학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공유하고 다양한 연령층의 개인과 집단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 컨텐츠의 개발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Quiet Quitting’(조용한 사직)의특징과 개선 방안 연구

        전종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Plan of‘Quiet Quitting’ centered on the MZ GenerationJonghee Je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quiet quitting’, which is emerging around the MZ generation, and to find constructive improvement plans. All domestic newspaper articles on ‘quiet quitting’ were searched and all academic studies related to the MZ generation were investigated and converged. Domestic articles and academic data started on Sept. 27, and the final survey and update point was Oct. 11, 2022. After reviewing and organizing the data several time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were reflected in the detailed topics and contents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the concept, characteristics, causes, and improvement plans of ‘quiet quitting’ were comprehensively presented. Based on the main contents of MZ generation and ‘quiet quitting’, improvement plan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quiet quitting’ that is spreading throughout society and to identify ways to respond constructively. Key Words: MZ Generation, Quiet Quitting, Work and Life Balance, Burnout, Hustle Culture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Quiet Quitting’(조용한 사직)의특징과 개선 방안 연구전 종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MZ세대를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quiet quitting’(조용한 사직)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건설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Quiet quitting’ 국내 기사를 전수 검색하고 MZ세대 관련 학술 연구를 모두 조사하여 수렴하였다. 국내 기사 및 학술 자료는 9월 27일을 시작으로 하여 최종 조사 및 업데이트 시점이 2022년 10월 11일이었다. 자료를 수차례 검토 및 정리한 후에 조사 결과를 연구의 세부 주제 및 내용에 반영하였다. 연구 내용: MZ세대의 특성, ‘quiet quitting’의 개념과 특징, 원인과 개선 방안을 종합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MZ세대와 ‘quiet quitting’의 주요 내용을 토대로 개인 및 조직 차원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quiet quitting’ 현상을 이해하고 건설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MZ세대, 조용한 사직,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 번아웃, 허슬 컬처 □ 접수일: 2022년 10월 22일, 수정일: 2022년 11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조교수(Professor, Konkuk Univ., Email: jeon2080@hanmail.net)

      • KCI등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연구의 동향 분석

        전종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are numerically less than in infant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reason is that multiple intelligences has been tried with a focus on the age level, where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ments are possible, crossing subject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rast, multiple intelligences research for adults is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readth and depth of research. This is significant not only in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but also in taking advantage of the different strengths of individuals and member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study, on February 27, 2020, Korean journals were searched for 'multiple intelligences', and in addition to a total of 1,617 cases, 22 'multiple intelligences adults', 54 'multiple intelligences college students', and 138 'multiple intelligences teachers' were drawn. Of these, the final 55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and analyzed. After several reviews and correction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item-by-item and inter-item results for the research year and subject, field, content, and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this study, we can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pplied in the context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detail and confirm that multiple intelligences can be a useful educational frame to lead the individual's self-realization, growth, and happy life through generations. 이 연구는 성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연구의 동향 및 향후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에 대한 다중지능 연구는 유아, 초등, 중등 학생에 비해 수적으로 더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다중지능이 교수, 학습의 맥락에서 교과를 넘나들며 다양한 활동과 실험이 가능한 연령급간을 중심으로 많이 시도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성인 대상 다중지능 연구는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장해 나가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것은 다중지능 이론의 적용을 확장하고 다변화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4차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서로 다른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2월 27일에 ‘다중지능’으로 국내 학술지를 검색하여 총 1,617건 외에 ‘다중지능 성인’ 22건, ‘다중지능 대학생’ 54건, ‘다중지능 교사’ 138건을 도출, 확인하였다. 이 중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최종 55편의 논문을 확정, 분석하였다. 여러 차례의 검토 및 수정 과정 후 양화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연도와 대상, 연구 분야 및 내용, 방법 등에 대해 항목별, 항목 간 결과로 제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결론,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중지능이 성인의 맥락에서 적용되어 온 연구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여러 세대를 아울러서 다중지능이 개인의 자아실현과 성장,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데 유용한 교육 프레임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용한 고용’의 특징과 적용 방안 연구

        전종희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조용한 고용’의 주요 특징과 적용 방안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용한 고용(Quiet Hiring)’을 키워드로 하여 그 개념과 특징, 적용 사례 및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 ‘조용한 고용’에 관한 문헌 조사는 선행 연구, 최신 동향과 사례에 관한 보도자료와 기사 등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조용한 고용’의 개념과 특징(핵심 요소와 프로세스), 역할 재배치 및 전환을 위한 교육 및 실행 사례, 적용 방안 등으로 구분하여 해당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조용한 고용’을 실행할 때 조직은 ‘리스킬링(Reskilling)’, ‘업스킬링(Upskilling)’, ‘크로스-스킬링(Cross-skilling)’, 인증형 교육 등의 적용 사례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구성원의 불안감 해소, 교육 및 발전 기회 제공, 유연한 배치와 재배치 등의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조용한 고용’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좋은 방향으로 활용하는 데 대한 방향성과 사례 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양교육과정 중 기초교양 영역 학생의견조사 연구 - 인문, 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전종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교의 교양교육과정 중 기초교양의 인문 및 과학 영역에 대한 학생의견조사를개발, 실시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교육적 방향성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는데 있다. 이 교과목들은 필수 이수 영역에 해당하고 졸업 이수 학점으로서 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도록권장된다. 본 학생의견조사 개발을 위해 2022학년도 2학기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이 주축이 되어관련 재학생 사례 조사 및 문항 개발이 이루어졌다. 이후, 조사 실시 및 결과 분석을 하여 영역 및 교과 개설, 수업/시험 난이도, 수강 신청 등에 있어 운영 현황을 확인하고 건설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초교양의 인문, 과학 영역의 교과 현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교양교육과정 차원의 질 제고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