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차 조립작업자의 직무순환 형태에 관한 연구

        전인식,정병용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직무순환(Job Rotation)제도는 주로 개별적 능력 개발을 촉진하고 종업원 상호간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 함으로써 조직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시행되어 오고 있는 제도로써 생산현장에 있는 작업자들의 경우에는 작업 특성과 조직내부 이해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영됨으로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제조공정 중 완성차 조립 3 개부서 생산작업자를 대상으로 직무순환 실시율과 작업 특성별 실시형태 그리고 직무 순환 형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산직 작업자의 67%가 직무순환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실시범위는 조단위보다 반단위 내에서 실시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7 개의 작업 특성별 분석에는 테스트 공정 작업자들이 직무순환 참여도가 가장 높았고, 직무순환 형태별 분석 결과는 총 29 개 형태중 4 개의 형태가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25 개 형태는 이용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자동차 조립공장 생산직 작업자들의 직무순환제도에 관한 자료는 향후 산업재해 예방과 생산성 및 품질문제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 KCI등재후보

        경사적 방파제의 간극수압 결정을 위한 수치해석

        전인식,박현주,이달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4 No.2

        경사식 방파제의 파동장 및 간극수압을 결정하기 위한 기존의 수치모델(박 등, 2002)을 개선하여 간극 수압의 예측성을 제고하기 위한 수치해석기법을 수립하였다. 내부 간극수압이 수치적 재현이 매우 어려운 전사면(前斜面) 비선형 파동장에 크게 의존함을 고려하여 본 수치해석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前斜面 파압정보(진폭과 위상)를 도출, 수치해석에 입력하였다. 경계요소법을 이용하여 내부 파동장을 해석한 다음, 내부의 간극수압을 결정하였다. 기존의 계측결과와 비교한 결과, 계산치와 계측치의 일치 정도가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An existing numerical model fo r determining the wave field and pore pressures inside rubble mound breakwater was reformulated here especially to enhance the predictability of interior pore pressures. The pore pressures strongly depend on the nonlinear wave field occurring along frontal slope which is very difficult to be numerically reproduced. In the present study, hence, the amplitude and phase informations of wave pressures along the frontal slope are obtained directly through a hydraulic model test and are incorporated into the numerical model. The interior wave field is analyzed by a boundary element method, and thereby the pore pressures a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the calculated pore pressures agreed quite well with experimental value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중복파압(重複波壓)에 의한 수로(水路)의 투수성(透水性)

        전인식,Chun, In Sik 대한토목학회 199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4 No.6

        직립벽(直立壁) 전면(前面)에 중복파(重複波)가 작용할 때 직립벽에 설치된 수로(水路)에 발생하는 비정상류(非定常流) 흐름을 Fourier 전개기법의 비선형(非線形) 중복파 이론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수리실험(水理實驗)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전반적으로 비선형이론은 선형이론(線形理論)과 비교하여 수로(水路)내의 유량변화를 더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투수성(透水性)의 분석결과 수로내 유량변화의 폭은 파고(波高), 주기(週期)가 클수록, 수로연장(水路延長)이 짧을수록 커짐을 확인하였으며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무차원(無次元)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수로의 해수교환기능(海水交換機能)과 직접 관련이 있는 일주기당(一週期當) 평균수량(平均水量)은 수로가 수면하(水面下) 바닥 근처에서는 음방향(陰方向)의 값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이론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최대(最大) 수량(水量)은 입구(入口)가 정수면(靜水面)에 위치하는 수로에서 발생함을 보였다. 아울러, 중복파의 주기가 길수록 그리고 수로의 연장이 짧을수록 해수교환 효과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For a vertical wall with standing waves on its front face, the unsteady flow in a flow conduit installed through the wall is analyzed. A nonlinear standing wave theory making use of Fourier expansion is applied, and the results are verified by a hydraulic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nonlinear theory better predicts the behavior of the flow compared to its linear counterpart. The investigation of the water transmissibility through the conduit shows that the variation of the flow rate becomes larger as the standing wave height and period increase and as the length of conduit decreases. The relationship is presented by a nondimensional equation. The net flow gain per one wave period,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water exchanging capability of the conduit, appears to be negative in both theory and experiment when the conduit is located near the bottom. The maximal flow gain occurs in the conduit whose mouth is located at the still water level.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longer wave period and the shorter conduit length are more effective in the water exchanging performance.

      • KCI등재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에 대한 설계파력의 검토 I: 삼차원 수리모형실험

        전인식,심재설,최성진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0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2 No.4

        한국해양연구소는 1998년에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기본설계를 수행한 바 있으며 심해 설계파에 Morison 식과 Stream function 이론을 적용하여 설계파력을 결정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수리모형실험 통하여 이어도 해역에서의 파랑전파를 모의하였으며, 구조물의 파력 및 Air gap를 계측하고 이들을 SACS 프로그램의 계산치와 비교함으로써 기본설계 값들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시도된 4개의 심해파향 중에서 SSW, S, SE계열의 파향에 대해서는 계측치가 SACS 계산치 보다 작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일하게 구조물에 미치기 전에 쇄파되는 NNW계열의 파향에서는 전반적으로 SACS 계산치를 상회하였으며, 그방향성 흐름과 파가 복합되어 있는 경우와 매우 유사한 파력변화를 보여주었다. 구조물의 Air gap은 모든 심해파향에 대하여 계측치가 기본설계치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performed the basic design of the Ear-Do Ocean Research Station in 1998. The design wave was taken to be the deep water wave which was obtained through wave hindcasting procedure. Wave forces acting on the structure were calculated by Morison formula utilizing the stream function theory of 5th. order. In the present study, a three dimensional hydraulic model testing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basic design, measuring wave propagation over the Ear-Do, horizontal wave forces and air gaps. The measured forces were all compared by the corresponding values calculated by SACS program based on th design on the design wave.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three deep water wave directions (SSW, S, SE) the measured wave farces appeared less than the SACS calculated. But in the NNW wave direction, the measured forces generally exceeded the calculated values and showed a peculiar pattern very similar to the case that waves are superimposed by an unidirectional current.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asured air gap underneath the structure appeared less than the values taken in the basic design for all wave directions.

      • KCI등재후보

        부유식 방파제의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적용한 항만 정온도의 해석

        전인식,최민호,심재설,오병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4 No.1

        부유식 방파제는 고정식 방파제에 비하여 항 내·외 해수교환성은 우수한 반면, 항내 정은도가 다소 저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설계초기단계에서 부유식 방파제의 여러 평면배치 대안에 대하여 항내 정온도를 적절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간의존완경사 방정식을 부유식 방파제 설치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유식 방파제의 반사와 투과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일종의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정식화하였다. 본 경계조건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차원 및 삼차원 해석을 수행한 결과, 수치해석에 입력된 반사 및 투과율이 수치적으로 잘 구현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부유식 방파제가 설치되어 있는 가상적 항만에 적용하였으며, 본 수치해석이 부유식 방파제의 실해역 설치를 위한 실무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The floating breakwater generally has an excellent water exchanging capability, but with some lowering harbor tranquility due to the wave transmission underneath floating body. In the initial stage of design, it is thus required to investigate several alternatives of breakwater layout for their performance of harbor tranquil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formulate a sort of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of floating breakwater so that the existing numerical method using time dependent mild slope equation can still be applied to the case of floating breakwaters. The two and three dimensional tests were each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boundary con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round the breakwater were well reproduced by the boundary condition. Finally, the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were applied to a floating breakwater installed in an imaginary harbor with an irregular shape and bottom topography. The results surely showed that the present numerical method can effectively used in practical works related to the real sea construction of floating breakwa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