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공간과 반영웅들의 재현 정치 ―2019 뮤지컬-오페라의 독립운동

        전우형(CHON Woohyung) 역사비평사 2020 역사비평 Vol.- No.130

        This paper attempted to identify one aspect of the rift in the political politics of commemoration performed by musicals and operas in 2019. And the tentative goal of the writing is to identify the dynamics of this fissure carrying out some sort of representational politics of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history. The musicals,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were the media of commemoration. They boldly escaped the content and form of musical and operas of the past, reinvent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who gave reflection to the commemoration itself. The Eyes at Dawn and 1945 do not deal directly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liberation and the people and scenes involved in the dramatic style of the memorial. he archiving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utsid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the two works through the in between space and antiheros is related to the will to create a close dialogue space between it and the present. The Eyes at Dawn and 1945 reinforce the meaning of the memorial to presentize history. The two works did not remain in the realm of commemoration because they did not fully reflect the problems of history raised in Korean society. At least the musical The Eyes at Dawn and Opera 1945 are commemorations of those who have not returned, come back, uncovered, revealed, remembered or recorded, and never been celebrat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s performed in that it is a memorial that has never been done before.

      • KCI등재

        북중러 접경 초국가적 시민사회 건설의 서사성 연구

        전우형(woohyung CHO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이 글은 ‘북중러 접경 두만강 다국적도시’ 개발계획에 내재한 탈분단 및 평화구축의 서사성을 규명하고자 했다. 김석철의 두만강 다국적도시 개발계획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 그리고 동북아시아 관계의 화해와 공존에 관한 서사이다. 국가의 등장으로 멈춘 접경의 시간을 재생하는 원형 성채도시라는 이 공간의 외형은 국가 이전의 공동체에 대한 지향이면서 동시에 국가 중심의 현존하는 세계와의 단절, 또는 그것으로부터의 해방을 표상한다. 이처럼 무엇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할 개발계획에 내포된 잠언적 표상들로 인해 김석철의 두만강 다국적도시 구상안은 하나의 서사적 세계로 이월된다. 이 개발계획은 2014년 언론에 의해 공개되자마자 정부로부터 부인되는 운명을 맞이하면서 서사적 긴장이 극대화되었다. 김석철의 개발계획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 환대하는 동북아시아 사이의 관계에 관한 서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두만강 다국적도시 구상안은 국가주의와의 경합을 내포하고 있다. 정부가 서둘러 이 개발계획을 공식적으로 부인한 것은 이것이 수행하는 재현정치로 인해 국가주의의 한계에 맞닥뜨렸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김석철은 정부가 수용하지 않은 이 개발계획을 전시회, 심포지엄, 출판과 언론을 통해 서사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현상은 다국적도시 구상안에 내포되어 있었던 국가주의와 경합을 벌이던 모델들이 사회적으로 실천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국가 중심이 아닌 개인과 대중들 사이의 다자적 협력 모델로서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과정이자, 국가가 주인이었던 평화와 통일정책에서 국가의 자리를 지우는 실천들이 이 다국적도시 구상안을 매개로 이어졌다. 김석철의 북중러 접경 다국적도시 구상은 개발이라는 언어로 씌었으나 그 언어로는 담을 수 없는 환대하는 공동체로서의 한반도와 동북아시아를 상상했다는 점에서 서사적 산물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e narrative of post-division and peace-building inherent i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bordering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Kim Seok-cheol s Multinational City Development Plan on the Tumen River is a narrative of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of Northeast Asian relations. The outer form of this space, called an archetypal fortress city that represents the bordering time stopped by the emergence of the state, is an orientation for the pre-stat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s a liberation from the existing world centered on the state. Above all, thanks to the proverbial representations implied in the development plan, which should be more realistic and concrete, Kim Seok-cheol s concept plan for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is carried over to a single narrative world. As soon as this development plan was released by the media in 2014, it faced the fate of being denied by the government, maximizing the narrative tension. Since Kim Seok-cheol s development plan began with a narra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elcoming Northeast Asia, the concept of the Tumen River multinational city implies competition with nationalism. It is possible that the government hastily officially denied the development plan because it felt a threat to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it carried out. Kim Seok-cheol began narrating this development plan, which the government did not accept, through exhibitions, symposiums, publications and the press. This phenomenon was also a process in which the models competing with the nationalism contained in the concept of multinational cities were socially practice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vernance as a model of multilateral cooper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the public, not centered on the state, and the practice of clearing the position of the state in the policy of peace and unification, where the state was the master, led to this multinational city initiative. Kim Seok-cheol s concept of a multinational city bordering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was written in the language of development, but it is narrative in that he imagined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s a welcoming community that could not be contained in that language, and in that he carried out a representational politics of nationalistic development.

      • KCI등재

        〈오발탄〉의 매체 전환구조와 영화예술적 속성 구현 양상

        전우형(Chon Woo-hy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1960년대 한국 영화계는 문예영화 제작 경향의 다원화가 시도되었다. 이 시기는 원작의 시간성을 기준으로 할 때, 고전소설, 근대소설, 그리고 동시대 소설의 영화화가 균형을 갖추던 시기였다. 고전소설의 영화화가 흥행 목적의 상업영화, 그리고 근대소설의 영화화가 우수영화 보상제도라는 정책적 측면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동시대 소설의 영화화는 상대적으로 영화 내적 성장과 관련되어 있다. 이 논문은 그 중 〈오발탄〉의 소설-영화 전환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동시대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문예영화가 문학을 대체하는 새로운 예술로서 영화의 가능성을 실험했던 방식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오발탄〉은 문예영화, 그리고 한국적 리얼리즘 영화의 새로운 기원으로서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점검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오발탄〉의 소설-영화 전환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문예영화 〈오발탄〉의 등장으로 영화의 원작 변형이 훼손이라는 가치 평가로부터 자유로워 졌으며, 네오리얼리즘의 세례를 입고 탄생한 한국적 리얼리즘이 단순히 주제나 제재에 국한되지 않고 형식이나 스타일에까지 넓고 깊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점쇼트를 통해 개인의 내면을 그려내고 객관적 시점과 몽타주를 통해 그들이 처해 있는 외부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언어에 대한 발견이 그 구체적인 증거이다. 그리고 이 시점이나 몽타주 등 영화의 고유한 언어의 활용이 〈오발탄〉의 리얼리즘적 속성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는 점과 이러한 점이 문학의 예술성을 대체하는 예술영화로서 문예영화의 가능성을 견인하고 있음도 고찰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filmic adaptation of novel in "aimless bullet-obaltan" experiments the possibility of art film in korean movies. During 1960's, literary films were increased and diversified. Specially the filming of contemporary novels are increased in number. The film "aimless bullet" is usually criticized as a new origin of modernizing korean film and korean realism film. This film was reproduced as resolute modifying the original novel. However this film had been free from the habitual criticism about damaging original work. This film represents the multilayered realities in 1950's korean post war by enlarging the yungho's narrative which relatively reduced in the original novel. And director found the proper film techniques and used those as film expression languages for the representation of realities like this. Those are point of view shots, objective shots and montages. The point of view shots described the devastated individual's mental side, compared with the objective shots and montages represented the social irregularities. This represents much to the 1960's korean film history in korean adaptation of neorealism which covered widely from theme or motif to style. For these reason, this thesis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aimless bullet" made way for convirting the literary film into art film.

      • KCI등재

        구보와 카메라 눈(kinoglaz), 다큐멘터리 형식의 문학적 실험

        전우형(chon woohyung)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이 논문은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영화적 상상력의 특징이 카메라 눈(kinoglaz)과 다큐멘터리 형식의 모방이라는 점을 논증하기 위해 씌었다. 이 과정은 우선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창작방법에 대한 최근 논의에서 고현학과 산책자의 양립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양자 사이에 영화의 매개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이 작품에서 영화의 영향은 기존의 논의에서처럼 이중노출 등의 세부적인 흔적으로만 존재한다기보다 현대사회에 대한 작가의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본질적인 차원을 구성하는 것으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논의가 추상적인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며, 이를 위해 현대적 세계인식과 창작방법의 근본적인 속성을 보여주는 명징한 영화 형식을 분석틀로 삼아야 한다. 공교롭게도 그 당시 영화계에서 다큐멘터리는 자기 성찰적이며 도시 관찰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표현 형식으로 선보였던 사실이 있다. 자신의 키노글라즈 이론을 토대로 러시아의 도시를 필름에 담아냈던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의 〈카메라를 든 사나이〉(Chelovek s Kinoappartom, 1929)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 연구는 텍스트 사이에 존재하는 카메라와 소설가의 작품 내 존재 양상처럼 외적 형식의 유사성을 밝히는 데에서 시작하여 두 텍스트 바깥에 놓여있는 현대사회라는 또 다른 텍스트를 읽고 재현하는 ‘눈’의 본질적 혈연관계를 확인하는 데까지 나아갔다.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과 영화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이 혈연관계, 즉 인간의 눈을 뛰어 넘는 카메라 눈이 결국 인간적인 내면을 획득하는 계기가 만들어지는 자기 반영적 서사라는 점에서 단순한 상호텍스트성을 넘어 현대사회의 새로운 서사양식으로서 의미화가 가능하다.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cinematic imagination on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is the emualtion of documentary film style by application of KInoglaz-camera eye. This argue, first, might be a clue to the solution of the problem, which the recent argumentations about Modenology can be inconsistent with Flâneur as Park Taewon’s method of writing novels. Because the documentary film style appear to have some possibilities to be connected to those two methods. Fortunately, there was a documentary film with som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Soviet union, 1929. This is Chelovek s Kinoappartom, directed by Dziga Vertov. This film Closely parallels the one day of gubo, the Novelist. The existence of camera in the film is similar to the novelist into the novel. And two texts are made of self-reflective narrative. So far, there is no evidence that Park Taewon watched that film. However, Dziga Vertov devised the Kinoglaz and firstly experimented that in the film, Chelovek s Kinoappartom. This Kinoglaz means the theory of camera eye, which starting with Choi Jaeso, lots of other critics and scholars mentioned on Park Taewon’s way of wirting novels. The Kinoglaz which Vertov devised, was adapted for the way of object, neutral and dynamic observation to daily life in Seoul in Park Taewon’s novel. Futhermore in his novel, camera which are beyond human eye would gain the inner world of mankind. So this has meaning that novel reached to discover the way of recognizing and representing modern world by the interaction with camera eye and human inside.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1970년대 『창작과비평』의 이론과 실천 ; 번역의 매체, 이론의 유포 -A.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과 차이의 담론화

        전우형 ( Woo Hyung Ch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6

        이 논문은 『창작과비평』이 자신의 매체성을 드러내는 전략으로서, 그리고 그들이 생산한 다양한 문학담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의 개입 양상과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창작과비평』의 번역이 단순히 서구지향이나 서구취향이라는 엘리티즘의 연속선상에서, 또는 외국문학 연구자의 인정투쟁과 상징권력 정도로 인식할 때 결코 드러날 수 없는 것들, 예를 들어 번역행위와 전통과 실학, 민중문학에 대한 발견과의 관계 등을 전달하는 글쓰기 행위로서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A.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사회과학적 비명이라는 마르크시즘 문예이론의 수용 및 유포 너머 한국의 정치경제 현실에 대한 탐색을 통해 주체적 문학담론의 생산을 매개하는 하나의 실험이었다. 『창작과비평』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번역은 번역행위에 내재하는 아날로지의 극복을 통해 단순히 번역 대상으로서 서구를 동일시하거나 모방하는 차원이 아니라, 차이를 전제로 하는 자생적인 문학답론의 신생을 궁구하는 동력으로서 종국에는 엘리트와 민중, 전통과 현대, 제3세계문학, 그리고 제3세계문학과 세계문학의 주체적 연대 가능성을 여는 계기로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intervention and effects in Korean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This translation was a strategy to reveal Cha``angjak kwa Pip``yong(『창작과비평』)``s media characteristics,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diverse literary discourses they produced. These approach will reveal writing that transmits relation between translation, tradition, Shilhak(rea1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founding of the people literature, which was far more than just west orient or preference elitism nor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symbolic power of foreign literature scholars. The translation of A. Hauser``s The Social History of Art was more than just acception and dissemination of Marxist literary theory. It was an experiment to produce subjective literary discourse mediated by researches of Korea``s political economic reality. Therefor, Cha``angjak kwa Pip``yong overcame analogy inherent in translation, not just identifying or imitating the direst, but investigated the birth of new native literary discourse which premised difference with the west. This ultimately lead to be a momentum of subjective solidarity between elites and people, tradition and present, the third world literature, the third literature and the world literature.

      • KCI등재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 연구

        전우형 ( Chon Woo-hy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적 기원을 점검하고 그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씌었다. 그간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는 주로 영화가 아닌 영상운동의 일환으로 다루어져 왔다. 이런 관점은 최근 제작된 <위로공단>(2015)이나 <그림자들의섬>(2016) 등 분명 영화를 지향하는 노동 다큐멘터리 등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논문은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출발이 1987년 6월 항쟁 이후 한국사회가 맞닥뜨린 반민주적 현실이라는 재현 불가능한 현실을 재현함으로써 독립영화가 더 나은 세계를 기획하려는 새로운 시작과 맞물려 있음을 논구하고자 한다. 장산곶매의 극영화 <파업전야>(1990)와 노동자뉴스제작단의 뉴스릴(news reel) <노동자뉴스>(1989)가 거의 동시에 노동자 재현에 나섰으나 연일 계속되는 노동자투쟁, 그리고 정부의 탄압과 시민사회의 외면이라는 문제상황을 돌파하는 데 성공한 것은 <노동자뉴스> 쪽이었다. 16mm 비디오카메라와 VHS(video home system)를 거점으로 하는 <노동자뉴스>는 뉴스라는 형식 안에 극영화와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허물고 궁극적으로는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마련한 기원이었다. 덕분에 한국 노동 다큐멘터리 영화는 극영화의 미학과 뉴스릴의 사실주의 너머 항쟁의 현장을 기록하거나 특별한 기억으로 호명하는 대중적이고 미학적 정치 문화로 증식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The origin of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was engaged with the restart of Korean independent film`s establishing better life and world by representing impossibility of representation which Korean society had been faced since the democratization revolution in 1987. The fiction film The Night before Strike(1990) and the news reel The Labor News(1989) represented labors almos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Labor News seems to achieve the task of representing continuous labor strike, government`s oppression. The 16mm video camera and Video Home System which The Labor News Production had exploited as media are proper for this. The Labor News exploited the language of the fiction film and news reel documentary as well, and established the new prospect of the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henceforth in Korea. By The Labor News`s favor Korean labor documentary film could be multiplied as popular and aesthetic culture.

      • KCI등재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안개> 사이의 순환-선형적 리듬과 의사-유령적 자아

        전우형(Chon, Woo Hyung)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영화 <안개>는 플래시백과 내레이션, 그리고 주제가 ‘안개’의 멜로디가 수없이 반복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반복과 그에 내재하는 차이는 소설 「무진기행」에는 없는 것이면서, 그렇다고 영화 고유의 속성으로부터만 비롯된 것이라 하기에는 또 소설을 너무 닮아있다. 그동안 소설 「무진기행」의 영화 <안개>로의 각색 과정에서 소설 대부분의 문장들이 영화에 기입되고, 등장인물들의 성격이나 핵심 사건, 그리고 시공간적 흐름의 동일성에 주목하는 논의들이 대부분이었다면 이 차이의 양상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일은 선행 연구를 보완하거나 관점의 전환을 견인한다. 왜냐하면 영화에서 차이를 통한 반복은 다양한 리듬들이 간섭하는 하나의 거대한 리듬을 만들어내고, 이 리듬은 원작으로부터 도약하며 신생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리듬, 영화의 시청각적 이미지들이 만들어내는 영화적 언어는 소설의 문장들이 빚어내는 문체 효과의 등가적 대상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소설은 문장의 구성이나 배열에 의해 씐다면, 영화는 시청각적 이미지에 대한 통제에 의해 연출된다. 소설의 문장들이 문체 효과를 발생시킨다면, 시청각적 이미지들은 영화의 리듬을 생성한다. 그래서 이 연구는 소설 「무진기행」을 유일하게 하는 문체 효과, 즉 감수성 혁명의 영화적 전유 양상을 ‘리듬’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피려는 방법론적 탐색이다. 영화 <안개>의 리듬은 무진의 자연적이고 순환적인 시간성이라는 소설 「무진기행」으로부터 빌려온 것이면서 여기에 서울의 기계적이고 선형적인 시간성, 그리고 무진에 내재하는 모방으로서의 선형적인 시간성 등이 빚어내는 다(多)리듬적인 것이다. 이 거대한 리듬의 세계로부터 주인공 윤기준은 철저히 소외되어 있다. 영화는 서울의 도시적 일상으로부터 추출당하는 설정을 통해 윤기준을 불안한 주체로서 문제적 개인화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문제적 개인화는 무진으로 가는 여정에서, 그리고 무진에 도착하면서 한층 더 강화된다. 그는 무진에 도착하자마자 안개로 대표되는 자연적인 상태에 압도당함과 동시에 무진에 내재하는 모방된 도시적 일상과도 역시 불안한 관계를 맺고 만다. 이는 결국 소설 「무진기행」에서 주어가 수동적인 위치로 물러앉거나 대상과의 관계 불균형을 드러내는 문장들이 빚어내는 문체 효과의 영화적 표상 장치이다. 무진으로 여행하는 윤기준은 결국 자기 성찰적이라거나 비판적 응시의 주체가 아니라 과거의 억압과 미완이 현재가 엉겨 붙어 현재를 떠도는 유령(specter)적 존재에 다름 아니다. 그러나 그의 유령됨은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삶에 성찰과 가르침을 실어오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하인숙을 서울로 데려가겠다는 약속이나 급히 떠나게 되어 미안하다는 사과 등, 어떤 수행적 언어도 불가능한 의사-유령(pseudo-specter)에 지나지 않는다. Film a Fog(1967) is formed by countless repeats of flashback, narration, and the melody theme song Fog. These repeats and differences within the repeats does not appear in the novel A trip to Mujin(1964), but it is very similar to novel that we can not assume it is originated by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ovie. Former studies focused on how the movie Fog has adapted the novel A trip to Mujin by how the sentences of the novel has been inscribed in the movie and examining similarities of character, main events, and flow of space-time. But this paper focuses on differences and its meanings, which supplements and transforms perspectives of former studies. In the movie the repeats with differences creates a huge rhythm which interfere with variety of rhythm, and this huge rhythm leaps and newborns from the original. Furthermore, this rhythm, audiovisual image of the movie that creates cinematic language seems to be equivalent to the stylistic effects created by novel’s sentences. Novel is written by configurations and arrangements of sentences, movie is directed by regulation of images. Novel"s sentences raise stylistic effects, audiovisual images generate rhythm of the movie. Therefore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f appropriation of sensitivity revolution of A trip to Mujin, writing style that makes A trip to Mujin exclusive, in the movie by the term ‘rhythm’. Movie a Fog"s rhythm is formed by natural and circular temporality which is borrowed from A trip to Mujin, and it adds Seoul’s mechanical and linear temporality and linear temporality which is inherent imitation in Mujin, to form multi-rhythm. Main character Yun, gijun is thoroughly alienated from the world of this huge rhythm. Movie starts to make him problematic individual by setting him to be extracted from the urban everyday of Seoul. Then, the journey to Mujin, and arrival of Mujin, enhances the problematic individual. He is overwhelmed by a natural state as represented by the fog as soon as he arrives at Mujin, and at the same time he ties uneasy relationship with imitated urban everyday inherent in Mujin. It is a cinematic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effects of writing style of A trip to Mujin which makes the subject to retreated to the passive position, and sentences showing imbalance in the relationship with object. Yun, gijun traveling to Mujin, is not self-reflective nor has critical gaze, but suppression and unfinished of the past intertwined to form a specter to wander the present. And this specter does not delivers reflection and teaching from the boundar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he can not perform any performative language, such as to promise Ha, insuk to bring her to Seoul or apology for such urgent depart, so he is just a pseudo-specter.

      • KCI등재후보

        영화와 기차, 폐기된 계몽의 극장

        전우형(Chon, Woo-Hyu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0 서울학연구 Vol.- No.78

        이 글은 조선영화에 재현된 기차가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 그리고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가 빚어내는 속도를 표상하고, 두 속도기계의 틈새에서 승차와 하차를 강요받는 식민지 조선인의 숙명을 드러내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했다. 특히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영화와 기차가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이 이식되는 계몽의 미디어이자,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가 시작되는 선전의 미디어였다는 점이다. 이때 영화와 기차는 근대 초기 한국사회를 단일한 속도의 장으로 밀어 넣는 질주정이었다. 조선영화 <군용열차>와 <미몽>은 영화와 기차의 속도, 그리고 서양의 근대문화와 문명이 이식되는 계몽의 세계와 제국 일본의 군국주의와 선전의 틈새에 놓인 식민지 조선인의 숙명을 재현해 내고 있다. <군용열차>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거니와, 일본이 식민지 전체를 병참기지화하려는 군국주의의 속도를 전경화하고 있으며, 제국의 스파이 되기라는 서사를 통해 자신과 조선의 현실을 부정하는 것을 승차 자격으로 제시하고 있다. <미몽>은 자본주의적 욕망과 개인주의의 화신이 된 여인의 죽음을 통해 <군용열차>의 속도에 대한 정당성을 마련하고 있다. 이 영화는 ‘가만히 있으라’는 주문을 통해 속도의 제어권이 부재하는 식민지 접경의 일상을 환기하는 동시에, 도래할 동원의 속도를 내면화하고 있다. 이로써 영화와 기차는 이제 계몽의 폐기된 이미지로서 선전과 선동, 즉 프로파간다를 위한 질주정이 되고 만다. This paper shows how the train in the Korean film in colonial era represents the speed of modern culture, civilization of the West, and the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and reveals the fate of colonized Koreans forced to get on and off in the gap between two speed machines. Especially noteworthy in this paper is that films and trains were the media of enlightenment in which Western modern culture and civilization were transplanted, and the media of propaganda in which militarism of imperial Japan began. At this time, films and trains were the dromologie to push Korean society into a single place of speed. The films Military Train(1938) and Sweet Dream(1936) represents the fate of the colonial Koreans in the gap between the speed of film and train, the world of enlightenment where Western modern culture and civilization are transplanted, and the militarism and propaganda of Imperial Japan. Military Train, as can be seen in the title, are foregrounding the pace of militarism in which Japan attempts to log the entire colony. The Sweet Dream is a place for the speed of the military train through the death of a woman who became an incarnation of capitalist desires and individualism. The film reminds us of the daily life of the colonial border where there is no control over the speed through the order of ‘Still stay’, while internalizing the speed of mobilization. As a result, film and trains are now a discarded image of enlightenment and become a dromologie for propaganda.

      • KCI등재

        다중적 국경경관(Multi-scalar Borderscapes)과 접경의 재현정치

        전우형(Woohyung CHON)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6

        This paper note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borderscape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tact zones as research texts and a methodology. The process by which borderscapes make thought about borders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makes them see contact zones as an alternative space and dynamic frame of thought that clearly reveals the limits of national, ethnic, and dichotomous thinking. Borderscapes exist in the borderlands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border and borderlands exist away from it. Art Hotel Re:maker recently installed in Goseong is an example of the former, the documentary film All live Olive with the West-Eastern Divan Orchestra is examples of the latter. Art Hotel Re:maker transforms the national and security-oriented borderlands’ landscape into a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platform. Orchestra and documentary film also acquire the meaning of borderscapes as devices for revisiting borders and representing transboundary life by infiltrating borders or borderlands into the daily life of everyone in the world. This aspect of existence of the borderscape extends the borders to contact zones with the border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as a methodology seeking liberation from borders. The contact zones study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border study in that it distances the border from the existing marginalized image. Multi-scalar bordercapes make contact zones into nearby subjective place rather than distant other’s space, and approach the possibility of contact zones as a methodology by juxtaposing the origins of pre-border and the future of trans-borders. Contact Zones research and contact zones as a methodology are closely linked with social practice that eventually discovers multi-scalar and multilateral borderscapes and creates a variety of platforms for reciprocating the values of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