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교수적 수정에 대한 실험연구의 경향 분석

        전병운,이지선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3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gular schools currently being inclusive educ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These studies in connection with how to apply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In the light of that,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discussed both directions in how any relevant fields should investigate the topic as well as tasks that should be done to realize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a total of 22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and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thesis publication, the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basically focus on special education journals or graduate schools of special education. Second, as for research subjects, most of the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select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lementary schools as their research subjects. In the mean time, the study also learned that in regard to the subject selec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chool, the less the tool subjects were chosen. In addition, when the researches tried to select the subjects, they appeared not to work based on any general or objective standards such as IEP, the levels of the students, the level of the students’ interest and others. Third, in relation to the research purposes, the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aimed mostly to increase the class participation but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and two of the researches talked about the regular students’ attitudes to accept the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study noticed 19 single subject researches and three comparative experimental researches. Third, in terms of the category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ree of the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turned out to apply all the five categor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19 of the whole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observed to apply only a few of the categories. 현재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 학생들이 일반학급의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은 무엇보다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수적 수정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과 교수적 수정에 필요한 과제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 실험연구 총 22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게재 분야에 있어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나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에 편중되어 있다. 둘째, 연구대상에서는 지적장애학생과 초등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으로 올라갈수록 도구교과 선정 비율이 적었다. 또한 교과 선정 기준(이유)이 IEP, 학생의 수준, 흥미도의 고려 등 종합적·객관적 기준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연구 목적에서는 수업참여율 증가, 문제행동 감소가 가장 많았고 학습목표 달성도에 대한 연구는 적었으며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가 2편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 방법에서는 단일대상연구가 비교실험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적 수정 유형 적용에 있어 교수적 수정 유형 5가지(교수환경, 교수집단, 교수방법 교수내용, 평가방법)를 모두 적용한 연구보다 선택적으로 적용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진단․평가 도구의 개발 및 웹기반 시스템 구축

        전병운,조광순,이준석,강미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Based 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 and a web-based system to identify these children and to help professionals with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s. A total of 2,050 infants and young children ages 0-71 months were sampled. The children were assessed using a test developed and standardized through a series of preliminary studie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andardization and then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uterized, web-based system developed based on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he results of test-retest reliability, split-half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 strong st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explorations of within-scale relationship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evidence of content validity as well as construct validity of the assessment.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communication measure of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LSI scores. The adaptive mea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daptive measure of Social Maturity Scale. It was found that the cognitive measur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ABC scores. However, most subcategories of the cognitive measure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K-ABC subcategory of achieve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measure and the K-WPPSI were relatively low, demonstrating no statical significance in some subcategories of 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al assessment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Korea where there are limited numbers of comprehensive developmental assessment instruments to identify young children who need special education services. This instrument will be the first standardized norm-referenced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earch suggests that a criterion-referenced or curriculum-based assessment with sub-developmental and functional skills based on the measurement need to be developed in future study to link th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web-based assessment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nect assessors to the assessment system via the internet. The system will help less skilled professionals administer tests and interpret scores to identify children who need special services. The system will be the basis for a future expert system which will link the assessment, intervention, and evaluation. The expert system will guid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to develop goals and intervention procedures for children. The system would provide information that is useful in identifying what and how to teach. 이 연구는 우리나라 0~71개월 영․유아들의 발달에 대한 전국 수준의 규준 제공 및 발달지체 또는 발달장애 아동의 판별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을 목적으로 개발한 진단․평가 도구의 표준화 연구와 1차 웹기반 시스템 구축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과 진단․평가도구의 분석, 1차 및 2차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적으로 2,050명의 영․유아를 표집하여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표준화 검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발달진단․평가 도구는 우리나라 영․유아들의 발달을 측정하고 발달지체 또는 발달장애 아동을 판별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진단․평가 도구의 1차 웹기반 시스템은 전문가들이 유아특수교육 대상 유아를 판별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속연구에서 개발되어야 할 중재프로그램과 전문가시스템에 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Developing a Hybrid Web-based GIS for Improving Access to Distributed Spatial Data and Spatial Modeling Tools

        전병운,박찬석,조명희,Jun, Byong-Woon,Park, Chan-Suk,Jo, Myung-He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 200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3 No.2

        The maturation of the Web technology has reshaped the ways in which data are accessed, disseminated, and shared. Thanks to its popularity along with the advanc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four major changes have been further made in tradi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relation to access to data, distribution of data, access to GIS functionality, and visualization of multimedia data. Although access to and dissemination of spatial data over the Web has in recent years been addressed in the literature, little research effort has addressed the issue of access to and processing of GIS analysis functions over the Web. This research explores the potential use of Web-based GIS in improving accessibility to distributed spatial data and spatial modeling tools. A prototype Web-based GIS developed in this study focuses on Web-based location-allocation modeling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and employs a hybrid approach that uses the Arc/Info software as a GIS server and CGM viewer as a client-side plug-in. This research shows that Web-based GIS is a useful vehicle in conducting spatial modeling in the particular user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represents the possibility of Web-based GIS in developing open spatial decision supporting systems. 웹기반 기술의 발달은 데이터의 엑세스와 분산 및 공유를 하는 방법들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더욱이, 웹의 대중화와 더불어 공간정보기술의 발달은 전통적인 지리정보시스템에 있어서 지리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 공간 데이터의 배분, GIS 기능들에 대한 엑세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비주얼화 같은 네가지 큰 변화들을 야기해 오고 있다. 최근 연구 웹 상에서 공간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 및 분산에 관한 연구는 다수 수행되었으나, 웹 상에서 GIS의 분석기능들에 대한 엑세스와 프로세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분산형 공간정보 및 데이터와 공간모델링 툴들에 대한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웹기반 GIS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실험단계의 웹기반 GIS는 공간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웹기반 변이할당모델링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GIS 서버로서 Arc/Info 소프트웨어와 클라이언트측의 프러그인으로서 CGM 뷰어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채택한다. 본 연구는 웹기반 GIS가 특정한 사용자그룹간에 분산형 공간정보 및 데이터에 대한 엑세스를 증대시키고, 공간모델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개방형 공간의사결정 지윈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웹기반 GIS의 잠재적 가능성에 대한 좋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국내 읽기장애아 중재방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전병운(全炳雲),권회연(權會娟)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국내에서 1997년부터 2009년까지 발표된 읽기장애아의 중재방법과 관련한 실험연구들을 분석하여 대상자 특성 및 측정도구와 훈련과제를 포함한 연구방법, 적용된 중재방법의 효과성과 적용범위를 고찰하여 향후 읽기장애 연구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국내에서 학진 등재지와 후보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총 47편이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19편으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읽기 단계는 단어재인단계에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17편(34%), 유창성단계 11편(22%), 의미파악을 위한 이해활동 단계가 14편(28%)이었으며, 대상자의 읽기 수준이 제시되지 않은 논문도 8편(16%)이었다. 대상자 선별기준은 교사의뢰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지능검사는 전체 지능지수를 사용하였으며, 85이상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방법 중 실험환경이나 실험상황을 기술하지 않은 논문이 각각 19편, 14편이었으며, 개별교수 상황에서 중재를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은 21-25회기가 가장 많았으며, 측정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한 논문이 32편이었다. 훈련과제는 21편의 논문에서 이야기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읽기발달단계나 읽기 기술을 평가하고, 읽기 기술의 진전도를 수시 점검할 도구의 사용이 아직 미약하고, 중재상황에 대한 충분한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방법의 동향에서는 읽기장애아동 교수에 있어서 접근방법, 교수방법, 종속변인 등에 따라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ate research"s results and method including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instrument, reading task, the effect and application of reading instruction according to analyzing experimental studies on reading instruction for korea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published at domestic research from 1997 to 2009. It make the recent tendency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far more improved. On this study the total 47 studies were analysis according to experimental subjects, research instrument, intervention,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at 3 grade on elementary school was the largest as 19 studies. And at the reading developmental stage, the number of studies for subjects on level of word-recognition were 17 studies, and on level of reading fluency were included 11,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cluded 14. But the level of reading developmental level were not descript on 8 studies. The procedure of selection subjects initiated with refer of teacher at 17 studies, identified as above IQ 85. The place, setting of research were not descript on 19, 14 studies. And the individualized teaching was the most type at the type of instruction, duration of research was the largest as 21-25 section. The number of studies utilizing the instruments that were used at preceding studies were 32, narrative at reading task were the most. So the information about children" charact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short absolutely to be evidence-based practice, the instrument that examined degree of improvement would be needed. And the trend that of intervention focused on issues about reading instrument were presented. Finally, the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were described according to approaches, teaching methods, dependent varies by reading sub-skills. Discussion on the trend of reading i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es were presented.

      • 아동언어의 화용론적 분석 방법

        전병운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3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2 No.-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화를 화용론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할 때, 어떠한 방법과 기준을 가지고 분석하여야 하는가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찰하여 보았다. 이러한 기준에 다라 분석해 보면 일반아동 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아동의 언어적 의사소통 특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 특성을 알 수 있게 하며,이에 비추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어떻게 중재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설정해 줄것이다.

      • KCI등재후보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MT)가 발달장애 유아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병운,연진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5 No.1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ocial Communi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 EMT) 가 발달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발달장애 유아 3명이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하여, 중재와 유지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확장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전략은 아동의 자발발화, 평균발화길이(MLU), 새로운 어휘 습득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EMT는 기존의 환경중심언어중재를 보완한 방법으로 과거의 단순한 요구하기 등 특정 목표 언어만이 아니라 평균발화길이, 어휘 및 구문 확장, 등 좀 더 포괄적인 발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