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시화등급에 따른 왕바다리(Polistes rothneyi koreanus)의 먹이원 평가

        전미경,최문보,정종철,권오석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국립공원 야영장 관리를 위한 시범연구의 일환으로 최근 피해가 급증하는 말벌류 중 가장 높은 비율로 출현하는 왕바다리에 대한 먹이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 경북에서 도시화 등급 2-4등급에 해당되는 4개 지점, 10개의 벌집에서 사냥을 마치고 귀소하는 일벌의 먹이원을 채집하여 유전자바코드 법을 이용하여 먹이의 종류를 파악하였다. 총 325개의 먹이원을 채집하였는데, 총 9목 27과로 구분되어졌다. 그 중 나비목(유충)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사마귀목>메뚜기목>벌목>하루살이목>노린재목>파리목>딱정벌레목>대벌레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화 등급별로는 2등급에서 나비목, 메뚜기목이 높게 나타났고, 3등급에서는 나비목, 사마귀목, 4등급에서는 나비목, 사마귀목으로 나타나 나비목과 메뚜기류가 먹이의 대부분을 이뤘다. 녹지비율의 정도가 초식성 곤충의 증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녹지비율이 높은 국립공원 내 야영장에도 왕바다리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야영객 안전을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전미경,이은주,유난숙,왕석순,최새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t three secondary schools in Seoul, Chungcheong province,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with focus on the following topics respectively ‘parent-child communication’, ‘understanding fatherhood’, and ‘preparation for parent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inventory and 97 data copies for pre- and post tests were used for analys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paired t-test and One way ANOVA using SPSS/PC 21.0 program. The results from mean comparison of pre- and post tests we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necessity for parenting education and needs for including parenting program into regular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creased statistically, which means that parenting program must be implemented regularly to meet the demands of adolescents for parenting program. Second, the main reason for not having children was ‘burden for rearing children’, which means that enough child-care skill and information need to be included. Thir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s regarding perception of performing parents’ ro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performing parents’ roles became positive. Fourth, the 32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arenting education of ‘understanding fatherhood’ did no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role. The 2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arenting education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mmunication. The 36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parenting education of ‘preparation for parent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This results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 education for adolescents. Therefore, Home Economics subject must be selected to give the opportunity of parenting education to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대상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 충남, 광주 지역 중・고등학교에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 교육」을 주제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기기입식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97명의 설문지를 빈도 분석, 백분율, 대응표본 t검증,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정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예비부모교육 운영보다는 청소년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학교급별 정기적인 예비부모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이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이유로 ‘양육 부담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예비부모교육에서 양육기술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만큼 예비부모교육 참여를 통해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참여자들은 성역할의 변화가 없었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참여자들은 의사소통 인식의 변화가 유의미하였고, 「자기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교육」 참여자들도 자아존중감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된 바, 공교육에서 유일하게 예비부모교육을 담당하는 가정교과가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서의 전문지원인력 운영실태 :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전미경,김정혜,김민영,설미이,최수정,김희영 병원간호사회 2018 임상간호연구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istics of professional medical support staffs(PMSS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 general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from September 11th to October 27th, 2017. Results: Four hundred fifty one PMSSs were currently providing medical support. The number of clinical nurse experts was the highest among the roles, followed by Physician Assistants(PA) and Advanced Practice Nurses. The mean job satisfaction score was 3.07 out of 5 . In the case of PA group, most of the delegated prescriptions were performed, however the delegated roles were not much documented in written format. The paucity of documentation requires a development of a committee for PMSSs, including a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and a scope of practice in each instit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composition of a committee for PMSSs in the medical institutions and renaming the specified titles of PMSSs.

      • KCI등재

        간호사가 지각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미경,한수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environment factor,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A survey of 173 nurse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43, job satisfaction was 3.04, social support was 3.44, and intention to work was 4.3. Nurses' intention to wor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nurse 's intention to work was job satisfaction, and explanatory power was 93%.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and to improve their job-inten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ufficient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to secure a good quality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find new and various ways to increase emotional trust among colleagues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m to work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외적 환경 요인인 간호업무환경과 내적요인인 직무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지속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여건을 형성하고,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각 병원의 간호부의 승인을 얻은 후 173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2.43점, 직무만족도는 평균 3.04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3,44점, 재직 의도는 평균 4.3점이며, 재직 의도는 간호근무환경, 직무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재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이며 설명력은 9.3%였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여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간호근무환경을 확보하기 위해서 충분한 인력 및 물질적 자원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동료들 간에 정서적으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 오랫동안 근무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 개화기 규방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시대인식에 관한 연구

        전미경 한국가족관계학회 200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6 No.1

        This study analyzed woman's recognition of the ag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based on Kyubang-kasa. Kyubang-kasa is women's literature that was created by women of Yangban Class and was popular among them.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how the women during the period recognized the enlightenment period, what is the women's definition of problems to solve for Chosun and where the women put their role and identity. For the analysis, the estimated time frame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ill be from Kap-O Reform(1894) to 1945 when Korea was released from Japanese rule. The major conclusions that are deriv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enlightenment discourses of the intellectuals during the period were discussed with and popular to women through Kyubang-kasa and they also asserted enlightening Chosun society in Kyubang-kasa. 2. Kyungseka with a view of enlightenment discourses regarded the westernization of Chosun society as a natural process.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of Chosun society made women be able to see the everyday life with the wholly new point of view. Kyungseka emphasized that all the people in Chosun should perform the proper role as a member of a nation to overcome Chosun's crisi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3. Women during the period who were against with unfairness of Confucian female ethics explored changes of tradition to adapt them to enlightenmen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