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서술형 검사로 측정한 고등학생의 문제 해결 전략 수행 능력

        전경문,안충희,노태희,Jeon, Kyung Moon,Ahn, Choong Hee,Noh, Tae Hee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서술형 검사를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문제 해결 전략 수행 능력을 측정하고, 논리적 사고력과 전략 수행 능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한 두 고등학교에서 4학급(N=187)을 선정한 후, 전략 수행 능력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전략 수행 능력의 채점틀은 7개 하위 범주-문제의 조건 파악, 관련 법칙 회상, 하위 목표 설정, 물리량 유도, 수리적 수행, 논리적 전개, 검토-로 구성하였다. 채점에 대한 신뢰도는 분석자간 일치도 .92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조건 파악 능력과 수리적 수행 능력은 비교적 높으나, 하위 목표 설정 능력과 검토 능력은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략 수행 능력 검사의 전체 점수 및 하위 범주별 점수는 논리적 사고력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high school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y-performing ability was measured by an essay-type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strategy-performing ability was also investigated. Four classes (N=187) were selected from two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strategy performance ability test and the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were administered. Evaluation scheme for strategy-performing ability consists of 7 subcategories - understanding given of problems, recalling related law, setting up subgoals, deriving physical quantities, logical progress, mathematical execution, and reviewing. The intercoder agreement for scaling was .92, which indicated substantial strength of agreement.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ability of understanding given of problems and mathematical execution was relatively high. However, their ability of setting up subgoals and reviewing was very low. The total scores of the strategy performance ability test and all of the scores of each subcategor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ALT scores.

      • KCI등재후보

        Instruc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Problem Solving Strategy

        전경문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4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13 No.-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approach that asked students to check their planning in a cooperative learning environment after presenting a four-stage problem-solving strategy. Three high school chemistry classes (N = 101)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IND group (using problem-solving strategy individually), COOP group (using problem-solving strategy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After instruction, students'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chemistry conception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previous achievement level in students’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alyses of simple effects indicated that the low-level students in the COOP group performed better on recalling related laws and organized progression than those in the other groups.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y were taught to recall the related concepts or principles in the planning stage, and had small group interaction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planning. In the case of the conception test, the high-level students in both the IND and COOP groups understood chemistry concepts better, while the low-level students in only the COOP group acquired more chemistry concepts. However,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elped them acquire problem-solving strategy, and they also preferred the instructional types that includ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 실천의 측면에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전경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inquiry with respect to science practices of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e asked them to describe an example of elementary science inquiry lessons, and/or a situation of scientists conducting inquiry. We applied the 8 science practices as an analysis framework to review their perception on scientists’ inquiry, and used those practices and sub-practices of each grade band for the analysis of their perception on elementary science class. All of their descriptions for science inquiry lessons showed students’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but most of them were restricted to some sub-practices of K-2 grade band. Regarding scientists’ inquiry, most of the respondents described scientists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planning and carrying out investigations, and constructing explanations. However, scientists’ developing models or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not found in the descriptions. They also rarely perceived scientists as engaging in evidence-based arguments. The findings indicate possible approaches to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을 미국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에 제시된 과학 실천의 측 면에서 조사하였다. 교육대학교 학부생들로 하여금 과학 탐구 수업 및 과학자의 탐구 활동을 구체적으로 서술해보게 하였다 . 분석 기준으로 과학자의 탐구에 대해서는 8가지 과학 실천을,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해서는 과학 실천 및 학년군별 세 부 실천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모든 학생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탐구조사 계획 및 수행하기 관련 내용이 포 함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활동의 수준은 K-2학년군의 세부 실천에 해당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과학자의 탐구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질문하기 및 문제 규정하기, 탐구조사 계획 및 수행하기, 설명 구성하기 및 해결책 설 계하기 등이 포함된다고 인식하였으나, 모형 개발 및 사용하기,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사용하기를 언급한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과학자들의 증거에 입각하여 논증하기 측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비교사 교육과 후 속 연구에 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전경문,강훈식,노태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업 전 고등학교 이과 2학년 3개 학급(N=87)을 대상으로 내·외향성 검사를 실시한 후, 내·외향성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의 점수는 두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학습 곤란도와 자아효능감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 처치에 대한 인식의 하위 항목들에서는 두 처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청취자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문제 해결 전략과 해결자·청취자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서 외향적이 학생의 점수가 내향적인 학생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ping b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using a four-stage problem-solving strategy emphasizing planning and checking stages were investigated.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students' extraversion/introversion in three high school classes (N=87) were examined, and those class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mogeneous, the heterogeneous, and the control groups. The test scores of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roblem-solving abilit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difficulty and self-efficacy.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s of two treatment groups in the subcategories of the perception of treatment, the test scores of extrover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troverts in the perception of performing listener's role, the preference to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the preference to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 KCI등재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연구(TIMSS-R) 중 화학 영역 성취도 분석

        전경문 한국과학교육학회 200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999년에 38개국이 참가하여 시행된 제3차 수학·과학 성취도 국제비교 반복연구(TIMSS-R)중 화학 영역 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화학 성취도를 외국 및 다른 과학 영역과 비교하여, 소영역(물질의 분류, 물질의 구조, 화학반응과 변환, 에너지와 화학 변화)별로 각 문항의 정답율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화학 점수는 국제 평균보다 높았으나, 다른 과학 영역과 비교하면 그 성취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에너지와 화학 변화 영역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의 교육과정상 다루지 않는 주제가 많았다. 화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교육과정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경험이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수업 실습에서의 멘토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과학 교수효능감 조사

        전경문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初等敎育硏究 Vol.26 No.2

        In this study,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for the mentoring from primary school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were investigated in the aspects of five factors (Personal Attributes, System Requirements, Pedagogical Knowledge, Modelling, and Feedback).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e were also analyse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1 student teachers (5 men and 26 women) who had major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conducted 1∼2 science lessons during 4 weeks of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student teachers perceived that they had received mentoring a lot except in the ‘system requirements’ category. Second, the results of the paired T-test indicated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the group (n = 14), who perceived that they had not received much mentoring from their advisors, decreased significantly upon the completion of the teaching practice.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other group (n = 17), who perceived that they had received mentoring sufficientl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