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방법에 따른 FRP 박스 부재의 연결거동 특성

        장화섭,김호선,곽계환,Jang, Hwa-Sup,Kim, Ho-Sun,Kwak, Kae-Hwan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3 No.5

        본 연구는 다양한 건설 구조물 중 휨 응력을 받는 부재인 슬래브, 거더 등에 FRP 박스 부재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 실험적 연구이다. FRP 부재를 제작하여 FRP 박스 부재의 대형단면으로서의 연결성능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P 박스 부재의 연결방법에는 화학적 연결, 기계적 연결, 혼합적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대해 각각 연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우레탄+볼트 2개+쉬트를 이용한 방법이 FRP 박스 부재의 가장 이상적인 연결방법이었으며,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거동을 검토하였다. This is a basic experimental study to apply FRP modular box member to a variety of construction structures exposed to flexural strength, such as a slab and a girder.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in order to analyze jointing performance features of the developed FRP modular box member as a large section. For the methods of jointing FRP modular box member, chemical connection, mechanical connection, and a combination of both were used to test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jointing. As a result of the test, using urethane+two bolts+sheets wa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nnecting FRP modular box member, and confirmed the efficient behavior by a finite element analysis.

      • KCI등재

        사질토에 근입된 해상풍력 모노파일 기초의 횡방향 거동 분석

        장화섭,김호선,곽연민,박재현,Jang, Hwa Sup,Kim, Ho Sun,Kwak, Yeon Min,Park, Jae Hyun 한국강구조학회 2013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5 No.4

        To predict behaviors of offshore wind turbines which are highly laterally loaded structures and to design them rationally, evaluating the soil-foundation interaction is important. Nowadays, there are many soil modeling methods for structural analysis of general structures subjected to vertical loads, but using the methods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design of a monopile foundation is eschewed because it might cause wrong structural design due to the deferent loading state.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differences of the member forces and displacements by desig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fixed end method is barely suitable for monopile design in terms of checking the serviceability because it underestimate the lateral displacement. Fixed end method and stiffness matrix method underestimate the member forces, whereas virtual fixed end method overestimates them. The results of p-y curve method and coefficient of subgrade reaction method are similar to the results of 3D soil modeling method, and 2D soil modeling method overestimates the displacement and member forces as compared with other methods. 수평하중이 지배적인 해상 풍력발전기 설계 시에는 지반-기초구조물 거동을 정확히 모사하여야 상부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거동예측이 가능하며, 합리적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지반 모델링 기법이 존재하나, 모노파일 기초 설계 시, 각 해석 기법에 대한 충분한 검증 절차 없이 해석 결과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구조물을 과다 및 과소하게 설계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 모델링 기법 차에 따른 모노파일의 부재력 및 수평변위 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검토 결과 고정단 모델은 최대 수평변위를 과소평가 하여 사용성 검토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단 모델, 지반강성행렬 모델은 모노파일의 부재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상고정점 모델은 모노파일의 부재력을 과대평가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반력계수 모델과 p-y곡선 모델의 경우 3D 지반 모델링 해석 결과와 비교적 유사한 수평변위 및 부재력을 나타냈으며, 지반을 2D로 모델링한 경우 타 모델링 기법에 비해 과대한 수평변위와 부재력을 산정했다.

      • KCI등재후보

        퓨처리즘과 동적 이미지 -퓨처리즘의 조형이념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장화섭 ( Hwa Sup J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분야에 다양하고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동적 이미지의 시각효과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적이미지에 대한 적극적인 조형적 해석을 통해 현대조형의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 퓨처리즘의 조형이념과 그 영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논고에 있어서는, 퓨처리즘의 조형이념이 당시 이탈리아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영향이 당시대의 작가들은 물론, 다양하게 전개되어 가는 전위예술운동에 까지 미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 이에 관련된 저서나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퓨처리즘의 등장에 직접적 계기가 되는 시대적 배경과 조형이념, 그리고 이후 전위예술운동에 미친 영향 등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퓨처리즘의 등장 배경에는 당시 유럽의 공업화 흐름과 상대적으로 그 흐름에 소외되었던 이탈리아 공업화의 후진성이 맞물려 있었다. 특히 움베르토 보쵸니 등 5명의 퓨처리스트가 기치를 올린 밀라노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공업도시였지만, 과거의 전통과 격렬한 사회적충돌의 개연성이 심각하게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퓨처리즘은, 과거의 뿌리 깊은 전통과 유물이 남아 있던 이탈리아 공업화의 후진적 잔재를 일소하기 위해, 기계문명의 역동성을 조형이념으로 승화시켜 급진적 쇄신을 시도한 것이다. 퓨처리즘의 조형이념은 이후 점차 독일이나 러시아, 동유럽 등으로 확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작가와 전위예술운동에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특히, 초기에는 큐비즘과 퓨리즘 등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후 페르낭 레제, 로베르 들로네, 프란티젝 쿠프카, 마르셀 뒤샹 등에게 영향을 끼친 흔적이 보인다. 또한 러시아 구성주의와 다다이즘, 쉬르리얼리즘은 물론 앵포르멜, 공간주의, 그리고 환경예술 등에 이르기까지 퓨처리즘의 조형이념과 표현형식의 흔적이 엿보여 퓨처리즘의 영향이 광범위하고 연속적이었음이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후 연구과제로서 다양한 전위예술운동의 흐름과 함께 변천을 거듭해 가는 퓨처리즘의 동적 이미지 표현형식에 대한 검토를 실시해 가도록 하겠다. This study,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visual effect of dynamic image which can be used diversely and widely in the field of visual design, conducted the research on formative ideas of Futurism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tream of modern Art & Design, and the examination of its influences through the aggressive formative interpretations on dynamic image. As for its argument, this study, by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the formative ideas of Futurism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time setting of Italy at that time, and its influence has reached up to diversely developing campaign for avant garde art, let alone the authors of the time, did multilateral consideration with focus on its related books or literature. As a result, this study was able to concretely confirm the influences on the time setting, ideas of Art & Design, which became a direct momentum to the emergence of Futurism, and later avant garde art movement, etc. In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Futurism, the flow of European industrialization at that time was interlocked with the backwardness of Italian industrialization which was relatively estranged from the flow. Particularly, Milan, where 5 futurists including Umberto Boccioni raised their banners high, was a representative industrial town of Italy, but there seriously inhered the probability of vehement social collision with the past traditions in Milan. Accordingly, Futurism, in an effort to get rid of the backward vestiges of industrialization of Italy where deep-rooted traditions and relics still remained, attempted a radical reform by sublimating the dynamism of machine civilization into the ideas of Art & Design. The ideas of Art & Design pursued by Futurism gradually spread over to Germany, Russia, and Eastern Europe, etc. and in this process, Futurism got to have an influence on or to be influenced by various authors and the avant garde art movement. Particularly, in its early period, Futurism was influenced by Cubism and Purism, etc., but afterwards, there remains a vestige of affecting Fernand Leger, Robert Delaunay, Franciszek Kupka, and Marcel Duchamp, etc. In addition, the vestiges of the formative ideas and expression forms of Futurism are glimpsed not only from the Constructivism in Russia, Dadaism, Surrealism but also from Informel, Spatialism, and Environmental Art, suggesting the influence of Futurism was far-reaching and consecutive. Accordingly, this study is going to conduct the examination over the forms of expression of the dynamic image of Futurism which has been repeating its transitions together with diverse avant garde art movements as its later research theme.

      • KCI등재

        요하네스 이텐의 디자인교육 이념과 구성체계

        장화섭(Jang, Hwa Sup)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본 연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주도하는 급격한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교육 체계를 모색하는 일환으로, 산업화라고 하는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부합하는 디자인교육 체계를 제시하여, 오늘날 디자인 교육에 큰 영향을 끼친 요하네스 이텐이 추구했던 교육 이념과 교육 구성체계에 대한 특징을 검토하였다. 논고에 있어서는, 이텐의 교육이념은 바우하우스 재직 시에 관련한 저서와 관련문헌을, 교육 구성체계는 지금까지 이텐에 관한 연구가 주로 색채론에 집중되었음에 주목하고, 이텐의 교육론 중에서 색채를 제외한 형태와 구성, 재료와 재질, 사고와 표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요하네스 이텐의 교육이념에서는, 집중적인 주입식 교육을 토대로 하던 아카데미적 전통 교육관에서 벗어나, 학생 주체의 창조성 계발이라는 교육을 표방하며 학생의 소질과 재능을 발전시키기 위한 자연주의적인 교육을 지향하는 특징이 엿 보였다. 교육 구성체계에서도 학생 주체라는 교육적 특징은 잘 나타나 있었다. 형태와 구성교육은 형태의 성질과 특징에 대한 분석, 그리고 통일이나 조화와 같은 조형언어의 이해를 토대로 학생들의 형태와 구성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켜가는 특징이 있었다. 재료와 재질 교육에서는 다종다양한 재료에 내재하는 여러 가지 성질의 분석을 토대로, 이것들을 조화롭고 균형있게 조합하고 구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분석력과 구성력을 발전시켜 나가는 특징이 엿 보였다. 사고와 표현 교육은 사고와 표현활동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 각자가 자신의 소질과 능력을 진단하고 보완점을 모색해서, 자신의 사고력과 표현력을 발전시켜 나가는 특징이 있었다. In order to search for a design education system that would correspond to various social needs caused by a new social structure also known as the digital technology-based information era, the study proposed a design education system that deals with new changes in the times called industrialization looking into educational ideals and education organizing system that Johannes Itten had pursued, who was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design education of today. For Itten"s educational ideals, the study referred to relevant references and other publications as well that Itten wrote as a teacher at Bauhaus. Having noticed that Itten had worked mostly on colors, the study discussed the education organizing system focusing on forms, components, materials, textures, thinking and expressions in Itten"s education theory with colors excluded. For the educational ideals by Johannes Itten, the conventional academic education view focusing on intensive teaching by rote was rejected and, some natural teaching originated from a learner-centered creativity development was adopted to help learners improve their talents and abilities.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was also found in the education organizing system. Forms and component education was appeared to support the learners to grow their nature with forms and components while that education helps the learners to analyze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of forms and also to understand formative terms as unification and harmony. In terms of material and texture education, it was determined to develop the learners" analytical skills and organizing ability by encouraging them to repeatedly coordinate and design many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various materials both in harmony and balance. For thinking and expression education, think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nd based on those types, the learners were helped to diagnose their talents and abilities as making up for any shortcomings. That way, the learners would eventually come to improve their abilities to think and expr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요하네스 이텐의 디자인교육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장화섭 ( Hwa Sup J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1 No.-

        봉 연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한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이로 인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교육체계를 모색하는 연구의 일환으로,산업화라고 새로운 사대적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디자인교육 방법론릐 제시를 통해 근.현대의 디자인교육애 큰 영향을 준 요하네스 이텐의 디자인교육론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체계의 검ㅌ노를 실시하였다.그 결과 요하네스 이텐이 주창했던 디자인교육론은 그가 추구했던 교육사상과 교육지표,교육내용 등을 토대로 체계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요하네스 이텐이 지향했던 교육사상에서는,주입식 교육을 토대로 한 기존의 아카데미적 전통 교육사상에서 벗어나,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교육울 표방하며,학생의 자연적 발달을 위해 자유로운 교육방식을 지향하는 특징이 엿 보였다. 특히,디자인에 관한 지식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창조적 자기발달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는데,이것은 학생 각자의 성격,재능,학습능력을 각각 연계시켜는 교육을 통해 구체적으로 발현하고자 하였다.또한,이텐이 지향했던 교육목표는 3가지로 그 내용은 학생을 모든 관습에서 해방시켜, 창조력과 조형적 재능을 신장시키고 창작의욕을 고취시키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이텐이 지향하는 디자인 교육목표가 창조적 인재의 육성에 있으며, 이를 위해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재능에 맞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가진 다양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실천적 교육론을 잘 나타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텐은 명확한 사고의 뒷받침 없이 창조적인 조형 활동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하고,시각이나 촉각 등의 감각훈련과 조형적 사고의 확장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결국 학생의 내적 감정과 감각을 자유롭게 하고 심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요하네스 이텐의 디자인교육 이론체계는,바우하우스의 기초교육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발현되었다.이 교육체계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형식과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평가되는데, 오늘날 디자인교육의 기본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carried out the review of design theory of Johanness ltten which had the great effect o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education and theory system to support by suggesting new design education methodology which meets the new periodical changes called industrialization as part of the syudies which seek the arrival of the digital technology-mediated information-oriented age and the design education system to meet various social demands due to it. Consequently, the design education theory that Johanness ltten advocated has found to be systemized based on educational thought, indicators, and contents that he sought. The educational though that Johanness ltten 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which escape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ecademic educational thought, claim to advocate education to aduce students` protential to the maximum, and aim at free education methods for their natural development. Especially, knowledge about design tried to be utilized as means of creative self-development, not being the purpose of itself. This tried to be concretely expressed through education which connects individual personality, talent,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to each other. And the educational goals that ltten aimed at three things of the contents to liberate students from all the customs, boost creativity and formative talent, and inspire creation desire. The contents like this can show the practical educational theory that design education goals by ltten tries to cultivate creative talented persons and maximize diversity of the students through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individual aptitude and talent for it. Furrhermore, ltten pointed out that creative form ative activity is impossible without support of clear thought and emphasized sensation training of vision and tactile sense. It is thought that this is to make internal feeling and sense of students free and intensified. Design education theory system of Johanness lttenas above was concretely expressed in the basic education process of Bauhaus. This education system was evaluated to consist of innovative forms ans contents at that time. Is is thought to need concrete reviews about i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basic system of design education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