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의학과 환경미화원의 일시 출입자 분류에 대한 고찰

        유재숙,장정찬,김호성,Yoo, Jae-Sook,Jang, Jeong-Chan,Kim, Ho-Seo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핵의학과 출입 환경미화원은 주기적으로 타과와 업무순환을 하고, 또한 작업 시간과 환경 등의 변화가 많기 때문에 관리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으며 따라서 이들의 분류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핵의학과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의 피폭 상황을 분석하여 일시 출입자로 분류된 조건의 타당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작업 환경의 변화 및 근무 시간의 조절이 필요한가를 알아보았다. 우선 먼저 PET실과 혈액 검사실에서 근무하는 환경미화원과 감마 카메라실에서 근무하는 환경 미화원 2명을 대상으로 한 달간 근무 시간 중에 OSL을 각각 착용시켜 개인 피폭 선량을 측정하였다. 둘째로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두 명의 환경미화원의 작업 환경, 근무 형태에 따라 시간대 별로 핵의학과 내 14개 구역을 선정, 총 10회 공간 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피폭 선량은 연간 1mSv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또한 연간 1 mSv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수치가 1 mSv에 근접하였다. 따라서 일시 출입자로써의 분류를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PET 안정실과 같은 피폭이 상대적으로 많은 구역에서의 노출 확률을 줄이기 위하여 이들에게 방사선 관리 구역내 교육을 실시하고, 또한 근무시간 및 근무 형태를 적절히 변경한다면 이들의 피폭 선량은 확연히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ose who access to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are classified as radiation workers, temporarily access group, and occasional access group as defined by the atomic energy law. The radiation workers and temporarily access people wear a personal radiation dosimeter for checking their own radiation absorbed dose periodically. However, because of the sanitation workers, classified as temporarily access group, who are working in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are moved in a cycle with other departments and their works are changeful, it is hard to control their radiation absorbed dose. Thus,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state of the sanitation worker's radiation absorbed dose, and then make sure whether they are classified as temporarily access group or not.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first instance, the first sanitation worker who works in vitro laboratory and PET room and the second sanitation worker who works in gamma camera rooms (invivo room) wore radiation dosimeter-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to measure their own radiation absorbed dose during work time from May to June 2011. Secondly, this study was taken place 5 places in gamma camera rooms, 2 places in PET bed room, operating room, waiting room and cyclotron room in PET and 4 places in vitro laboratory. And then to measure the radiation space dose rate, it is measured 10 times each of places as sanitation worker's work flow by using radiation survey meter. Results: The radiation absorbed dose on OSL of the first c who works in vitro laboratory and PET room and the second one who works in gamma camera rooms are 0.04, 0.02 mSv per month respectively. That means the estimated annual radiation absorbed doses are less than 1mSv as 0.48, 0.24 mSv/yr respectively. The radiation space dose rates as sanitation worker's work flow using survey meter are 0.0037, 0.0019 mSv/day, so the estimated annual radiation absorbed dose are 0.93, 0.47 mSv/yr respectively. The weighted exposure dose of first sanitation worker of each places are 1.62% in cyclotron room, 3.88% in waiting room, 2.39% in operating room, 81.01% in bed room of PET and 11.01% in vitro laboratory. The weighted exposure dose of second sanitation worker of each places are 45.22% in radiopharmaceutical laboratory, gamma 30.64% in camera rooms, 15.65% in waiting room, 8.49% in reading room. Conclusion: The annual radiation absorbed doses on OSL of both sanitation workers are less than 1 mSv per year and the annual radiation absorbed doses by using survey meter are less than 1mSv either, but close up to 1 mSv. Thus, to clarify whether the sanitation workers are temporarily access group or not, and to be lessen their s radiation absorbed dose, they should be educated about management of radiation and modified their work flow or work time appropriately, their radiation absorbed dose would be lessen certainly.

      • 핵의학과 일반 의료폐기물에서의 방사능 오염에 관한 고찰

        유재숙,장정찬,이동훈,차민경,남기표,Yoo, Jae-Sook,Jang, Jung-Chan,Lee, Dong-Hoon,Cha, Min-Kyeong,Nam, Ki-Py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1 핵의학 기술 Vol.15 No.1

        서울 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는 방사성폐기함을 다수 비치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수집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사성폐기물이 일반 의료폐기함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폐기물에서 측정되는 방사성폐기물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방사선관리구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물품 표면의 방사성물질의 오염도가 허용표면오염도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않거나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시하는 액체폐기물이 방사성 자체 폐기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먼저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본원 핵의학과 17개 구역의 방사능 측정값과 배후방사능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법적인 허용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이 중 11개 구역에서 의료 폐기함과 배후방사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실제 방사능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좀 더 정확한 방사능을 측정하고자 감마카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의료폐기함으로부터 알코올솜, poly glove, 방사의약실에서 배출되는 생리식염수에서 각각 30개씩 표본 추출하여 측정한 결과, 높은 수준의 방사능이 측정되었으며, 일부는 법적 허용치를 초과했다. 따라서 의료폐기함으로 폐기되는 알코올솜과 poly glove는 각 영상실과 방사의약실에 구비된 방사성폐기함에 폐기하고, 방사의약실에서 발생되는 생리식염수는 액체폐기물로써 RI정화조에 폐기하거나 또는 방사성 자체 폐기절차에 따라 일정기간 보관하여 충분히 감쇄시킨 후 폐기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In the Nuclear Medicine department of Asan Medical Center, radioactive waste has been disposed of by using several disposal boxes designed for nuclear waste. However, some quantity of radioactivity has been detected occasionally due to some radiologists' carelessness not only from radioactive waste, but also from medical waste such as uncontrolled radioactive waste related to patients, poly gloves or saline solution bottles from radiopharmaceuticals laboratory. Thus,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a solution to maintain the medical wastes made from controlled areas that can be below maximum permissible surface dose limits by finding the cause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taken place in 17 different places-2 medical wastebaskets in the waiting room, 2 medical wastebaskets in the PET room, 5 medical wastebaskets in the in vitro laboratory and 6 medical wastebaskets in the radiopharmaceuticals laboratory of the East building, 2 medical wastebaskets in the waiting room of the New building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in Asan Medical Center from April to August 2010. Mean radioactivity and its standard deviation of each place have been found by measuring surface contamination of medical wastebaskets and backgrounds twice a week, totaling 30 times. An independent t-test of SPSS (Ver. 12.0) statistic program has been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wabs, saline solution bottles and poly gloves collected from each place also measured 30 times, respectively. Results: This study analyzed medical waste and the backgrounds of each place by using survey meter detector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of five places did not exist, but existed statistically in twelve places (p<0.05). Also, swabs, saline solution bottles and poly gloves collected from each radioactive waste partly exceed the legal dose limit as a result of measuring by a gamma counter. Conclusion: Backgrounds and the surface doses of radioactive disposal box in all 17 places measured by the survey meter did not exceed the legal dose limit; however, it obviously showed that there were prominent differences in 12 places. Assuming that the cause of the differences was swabs, saline solution bottles and gloves, we examined them by gamma counter, and the results showed remarkably high doses of radioactivity. Consequently, swabs and poly gloves which are normally disposed in the general medical waste box should be disposed in the radioactive waste box furnished by radiopharmaceuticals laboratory. Also, saline solution discharged from radioactive pharmaceutical places is considered as radioactive liquid waste so that it should be disposed of by the septic tank specifically designed for radioactive liquid.

      • 핵의학과 종사자의 방사성동위원소 체내오염 측정

        정규환,김용재,장정찬,이재기,Jeong, Gyu-Hwan,Kim, Yong-Jae,Jang, Jeong-Chan,Lee, Jai-Ki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9 핵의학 기술 Vol.13 No.3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의료기관 종사자 중 핵의학과 종사자 일부를 선정하여 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체내오염 여부와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후 그 결과에 근거하여 선량을 평가하였다. 선량평가를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대형병원 3곳의 핵의학과 종사자 25명을 측정 대상자로 선정한 후 각 개인의 소변시료를 채취하여 측정하였다. 시료는 주 1회 채취하였으며 종사자에 따라 6~10회에 걸쳐 각 회당 100~200 mL 정도의 양을 채취한 후 고순도게르마늄반도체검출기를 사용하여 시료를 측정 하였다. 측정된 결과에 근거하여 방사성동위원소의 섭취량을 평가하였고 예탁유효선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IMBA 전산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IMBA 프로그램으로 평가가 불가능한 반감기가 매우 짧은 $^{99m}Tc$, $^{123}I$ 등과 같은 핵종에 의한 선량은 국제원자력기구에서 권고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선량을 평가하였다. 채취한 소변시료를 대상으로 방사성핵종을 계측, 분석한 결과 $^{99m}Tc$, $^{123}I$, $^{131}I$, $^{201}Tl$ 핵종 등이 검출되었고 양전자방출단층 촬영에 사용되는 $^{18}F$ 핵종도 검출되었다. 계측된 결과로부터 평가된 예탁유효선량은 0~5 mSv의 분포를 보였으나 대부분 1mSv 미만으로 나타났다. 1 mSv를 초과한 종사자는 모두 3명으로 이들 모두는 선원의 분배와 취급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종사자들이었고 간호사의 경우 1 mSv를 초과한 사람이 한 사람도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계절적 요인을 구분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측정대상자의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서는 대부분의 핵의학과 종사자들은 방사성 핵종에 의한 체내오염 정기 감시를 실시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여겨지며 그에 따른 방사선학적인 건강상의 영향도 우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불필요한 소량의 피폭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작업환경을 측정하거나 공기 중 방사성핵종 농도 감시를 가능한 한 자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We tested a sample of nuclear medicine workers at Korean healthcare institutions for internal contamination with radioactive isotopes, measuring concentrations and evaluating doses of individual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detection and measurement was performed on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25 nuclear medicine workers at three large hospitals located in Seoul.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once a week, 100~200 mL samples were gathered up to 6~10 times weekly. A high-purity germanium detector was used to measure gamma radiations in urine samples for the presence of radioactive isotope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we estimated the amounts of intake and committed effective doses using IMBA software. In cases where committed effective doses could not be adequately evaluated with IMBA software, we estimated individual committed effective doses for radionuclides with a very short half life such as $^{99m}Tc$ and $^{123}I$, using the methods recommended by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Results: Radionuclides det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urine samples included $^{99m}Tc$, $^{123}I$, $^{131}I$ and $^{201}Tl$, as well as $^{18}F$, a nuclide used i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examinations. The committed effective doses, calculated based on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urine samples, ranged from 0 to 5 mSv, but were, in the majority of cases, less than 1 mSv. The committed effective dose exceeded 1 mSv in three of the samples, and all three were workers directly handling radioactive sources. No nurses were found to have a committed effective dose in excess of 1 mSv. Conclusions: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sults, it may be necessary to conduct a long-term study, performed over a time span wide enough to allow the clear determination of the influence of seasonal factors. A larger sample should also help increase the reliability of results. However, as most Korean nuclear medicine workers are currently not necessary to monitored routinely for internal contamination with radionuclides. Notwithstanding, a continuous effort is recommended to reduce any unnecessary exposure to radioactive substances, even if in inconsequential amounts, by regularly surveying workplace environments and frequently monitoring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radionuclides.

      • PET 검사실 종사자의 업무 행위 별 방사선피폭 조사에 따른 피폭선량 저감화를 위한 연구

        고현수,김호성,남궁창경,윤순상,송재혁,류재광,정우영,장정찬,Ko, Hyun Soo,Kim, Ho Sung,Nam-Kung, Chang Kyeoung,Yoon, Soon Sang,Song, Jae Hyuk,Ryu, Jae Kwang,Jung, Woo Young,Chang, Jung Chan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5 핵의학 기술 Vol.19 No.1

        핵의학과 방사선 작업 종사자는 진단 방사선 발생장치를 사용하는 업무처럼 방사선원으로부터 완전히 격리 된 공간에서 근무하거나, 선원과의 거리를 멀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종사자는 시행하고 있는 업무 행위에 대해 익숙해지고 오랫동안 업무를 하게 되면, 본인이 시행하고 있는 업무가 최적화 된 방법이라고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환자 검사 및 정도 관리 행위마다 얼마만큼의 방사선피폭을 받는 지를 측정해보고, 개선 해야 할 업무 방법에 대해 모색하여 실제로 개선 하였을 경우 피폭 선량의 차이는 얼마나 되는지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PET 검사실에서 시행 되는 업무 형태를 행위 별로 장비 정도 관리, 주사, 영상획득, 기타 사항으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 하였다. 장비 정도 관리 업무 에서는 $^{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Daily) 정도 관리 중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방법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전 안내와 주사 후 안내 두 가지 방법으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에 있는 테이블 조종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의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하여 비교하였다. 행위 별 누적 피폭 선량을 측정하기 위해 시간 별 피폭 누적치(${\mu}Sv$) 측정이 가능한 Tracerco 사의 'PERSONAL ELECTRONIC DOSEMETER (PED)'를 사용하였다.$^{68}Ge$ cylinder phantom을 이용한 일 별정도 관리(Daily QC) 업무에서 테이블을 직접 조종 하는 경우에는 1회당 평균 $0.27{\pm}0.04{\mu}Sv$를,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경우에는 평균 $0.13{\pm}0.14{\mu}Sv$의 피폭을 받았다. 주사 업무에서는 주사 후 안내 시 한 명당 평균 $0.97{\pm}0.36{\mu}Sv$를, 주사 전 안내 시에는 $0.62{\pm}0.17{\mu}Sv$의 피폭을 받았다. 또한 영상획득 업무에서는 환자 바로 옆 테이블 조종 버튼 사용 시 한 명당 평균 $1.33{\pm}0.54{\mu}Sv$를, 멀리 떨어진 곳의 버튼 사용 시$0.94{\pm}0.50{\mu}Sv$의 피폭을 받았다. 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실험을 통해 PET 검사의 업무 행위 별로 1회 시행 시 어느 정도의 피폭을 받는지를 평균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행위 별로 업무 방식을 나누어 비교하여 얼마만큼의 피폭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확인 하였다. 같은 업무라 하더라도 개인 성향이나 습관에 따라 업무 방식이 다를 수 있고, 피폭을 최소화 하기 위한 업무 방법이 어떤 것인지 인식하고 있음에도 그렇게 실천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본 실험에서 비교한 업무 방법 이외에 더 추가적으로 피폭을 저감화 할 수 있는 방법을 더 모색한다면 PET 업무뿐 만 아니라 핵의학 검사에 있어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피폭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Purpose For nuclear medicine technologists, it is difficult to stay away from or to separate from radiation sources comparing with workers who are using radiation generating devices. Nuclear medicine technologists work is recognized as an optimized way when they are familiar with work practic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measure radiation exposure of technologists working in PET and to evaluat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We divided into four working types by QC for PET, injection, scan and etc. in PET scan procedure. In QC of PET,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controlling next to $^{68}Ge$ cylinder phantom directly to controlling the table in console room remotely. In injection,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guiding patient in waiting room before injection to after injection. In scan procedure of PET, we compared the radiation exposure moving the table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next to the patient to moving the table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in the far distance. PERSONAL ELECTRONIC DOSEMETER (PED), Tracerco$^{TM}$ was used for measuring exposed radiation doses. Results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0.27{\pm}0.04{\mu}Sv$ when controlling the table directly and $0.13{\pm}0.14{\mu}Sv$ when controlling the table remotely while performing QC.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0.97{\pm}0.36{\mu}Sv$ when guiding patient after injection and $0.62{\pm}0.17{\mu}Sv$ when guiding patient before injection. The average doses of exposed radiation were $1.33{\pm}0.54{\mu}Sv$ when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next to the patient and $0.94{\pm}0.50{\mu}Sv$ when using the control button located in far distance while acquiring image.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how much radiation doses technologists are exposed on average at each step of PET procedure while working in PET center and how we can reduc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And if we make effort to seek any other methods to reduce technologist occupational radiation, we can minimize and optimize exposed radiation doses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Conclusion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how much radiation doses technologists are exposed on average at each step of PET procedure while working in PET center and how we can reduce the occupational radiation dose after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lower exposure. And if we make effort to seek any other methods to reduce technologist occupational radiation, we can minimize and optimize exposed radiation doses i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