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부모의 교육관여 특성과 저해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장정숙(Jeongsuk J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부모의 교육 관여 특성과 저해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충남에 거주하는 북한출신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 이상 참여 관찰하고 심층 면접을 하였다. 면접 질문 완성과 분석결과 검토는 다수의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교육학 교수 2인과 탈북청소년지원센터의 책임연구원 1인의 자문 내용을 반영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교육 관여 특성, 한국 상황 관련 저해요인, 그리고 북한 경험 관련 저해요인 영역에 걸쳐 19개의 주제와 42개의 하위 구성요소, 120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다. 최종 도출된 주제는 자녀교육에 대한 낮은 기대, 자녀교육에 대한 무관심, 양육자신감 부족, 체념, 돈을 버는 것 중시, 의사소통 부족, 자녀의 행동 관리 감독 부족, 지식 부족, 시간 부족, 신분 노출에 대한 두려움, 지원에 대한 정보 부족, 남북한 교육 차이, 관계 맺음의 두려움, 의무교육 후의 진로 선택권 제한, 지식인에 대한 소득보장 상실, 교육수준과 사회적 지위의 불일치, 상명하복 참여 방식, 교육-직업-소득 간의 불연속성, 교육의 주체는 학교라는 인식이었다. 결론 북한이탈부모의 교육적 관여는 한국에서의 처한 상황뿐만 아니라 북한에서의 제도적, 사회적, 경제적 경험 때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가정의 교육적 관여를 지원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arental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factors that hinder them. Methods To do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who were from North Korea and reside in Chungn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19 themes, 42 sub-elements, and 120 meaningful statements were derived in the areas of the nature of involvement in education, obstacles related to the situation in South Korea, and obstacles related to the experience in North Korean society. The final topics were low expectations for children s education, indifference to children s education, lack of parenting confidence, resignation, emphasis on making money, lack of communication, lack of supervision of children s behavior, lack of knowledge, lack of time, fear of exposure to status. lack of information about children support, education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trictions on career options after compulsory education, loss of income guarantee for intellectuals, discrepancy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social status, upper and lower class participation method, education-job-income It was the perception that the school was the subject of discontinuity and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 educational involvement of North Korean parents were presented.

      • 북한이탈아동청소년의 읽기능력과 관련한 인지기능 및 어휘지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남북 간 언어차이 분석 :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장정숙(Jeongsuk Ja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3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언어차이가 남북한 아동청소년의 읽기와 관련된 인지능력과 어휘지식에의 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북한 언어의 차이를 살펴보고, 읽기능력과 관련된 핵심 인지능력과 어휘와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남북한 두 언어 간의 차이는 상당했으며, 어휘, 의미론, 음운론, 그리고 맞춤법에서 남북한 언어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두 언어 간의 차이점은 대부분의 경우 맞춤법에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맞춤법의 차이는 결국, 읽기능력과 관련한 핵심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쳐 처리 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학교에 재학 중인 북한이탈학생들의 읽기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교사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가 더 나은 교수법과 교실 활동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학생들의 문해발달을 지원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related to psychological factors for North Korean students in South Korean schools. The two Korean languages are often mistaken for the same language. However,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re significant. The areas of major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include the lexicon, semantics, phonology, and orthography. In many cases, these differences are reflected in their orthography. These orthographic differences in turn contribute to language performance errors. Thu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iverg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reading outcomes among North Korean students in South Korea. Its findings carry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children’s literacy instruction. They may inform classroom instruction and help develop better teaching approaches, methods, and activities.

      • 컴퓨터과학 : 하노이 탑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고 패턴에 관한 심층 분석

        윤지현 ( Jihyun Yoon ),장정숙 ( Jeongsuk Jang ),전영국 ( Youngcook Ju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정보과학적 사고는 지식정보가 기반이 되는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하게 요구되어진다. 문제를 분석하고,설계하고,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가 나타나며 그러한 과정의 반복 속에서 분석적이고 재귀적인 사고가 나타나게 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설계 구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고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가능하게 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과학적 사고의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면담과 비디오 촬영, 비디오 회상 인터뷰를 통해 문제 해결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 KCI등재

        혁신교육지구에 대한 교원의 인식 차이 연구 : 인천교육혁신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최서린 ( Choi Seorin ),박상옥 ( Park Sangok ),장정숙 ( Jang Jeongsu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하고, 다양한 교원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천교육혁신지구 7개 지역의 교원 9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교원의 전반적인 인식은 지역특화, 학교지역연계, 비전 및 계획, 민관학 협력체제, 지속가능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원의 학교 근무 특성에 따른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원이 근무하는 학교급에 따라서는 중학교 교원이 초등학교 교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20대 집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교원 경력이 10년 미만인 경우 인식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교원의 직급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원의 혁신교육지구 사업 참여경험에 따른 인식 차이는 참여경험이 있는 경우와 참여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질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혁신교육지구의 질적 제고를 위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various teache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42 teachers in seven regions of the Incheon Education Innovation District.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was high in the order of regional specialization, school regional linkage, vision and plann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system, and sustainability. Second,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chool work indicate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were higher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ccording to age, the group in their 20s was lower than other age groups. By career, the level of perception was low when the teacher's experience was less than 10 yea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eacher's position. Thir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eachers' experience in participating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was significant when they had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 participation period was more than one ye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Furthermor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