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의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 분석

        장은아,양길석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2 No.-

        Chang EunaYang Kilsoek. 2006. 10. 30. Detecting the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by Gender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Bilingual Research 32, 291-324.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according to gender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tem.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s, the results of three Tests(7th, 8th, and 9th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re used. SIBTEST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is applied to extract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from the tes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two-folded: First, there are several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influenced by gender for area of vocabularygrammar,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respectively. Second, 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item contents, item pattern, answer sheet pattern, and text type. From the results, it is recommended for the more fair and reliable tes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Differently Functioned Items by in-depth analysis.(Language Education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 KCI우수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은아,정혜원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5

        This study reveals, from a middle school student perspective, th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adaptation and grit. Moreover, it explor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Wave 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 (9th grade, N = 2,320),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chool adaptation. Seco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hir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apt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grit.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ut in terms of impact on schoo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 and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to improve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그릿,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3차년도(2020년)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 2,320명의 응답 자료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그릿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친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방해자극의 정서가 목표자극의 정서판단과 재인에 미치는 영향

        장은아,이윤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distracters on target processing. Experiment 1 examined whether emotional distracter affects target processing using a negative affective priming task. As results, the evaluations of positive probe targets were slower when positive distracters were presented in the prime. However, the evaluations of negative probe targets were faster when negative distracters were presented in the prime. The purpose of experiment 2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distracters on target recognition. Participants performed an intentional learning task and then were asked to judge whether each target was shown when they performed the intentional learning task. The result showed that affective targets were better remembered in order of negative emotion, positive emotion, neutral emotion. Interestingly, when negative emotional distracters were presented, they were more commonly regarded as targets. Overall, the two experiments clearly showed that negative distracters are not properly suppre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목표자극의 주변에 제시되는 방해자극의 정서가 이후 목표자극의 정서판단과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1에서는 부적 점화 과제를 이용하여 점화자극의 정서가 목표자극의 정서와 일치하는지 여부가 이후 목표자극의 정서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점화시행 시 가운데에 제시되는 사진을 응시하도록 요구받았으며 탐지시행 시는 가운데 사진에 대해 정서판단을 하도록 요구받았다. 실험 결과 무시해야 하는 방해자극이 긍정정서인 경우에는 방해자극이 이후 긍정정서 목표자극의 탐지에 방해를 준 반면, 무시해야 하는 방해자극이 부정정서인 경우에는 오히려 방해자극이 이후 부정정서 목표자극의 탐지에 도움을 주었다. 연구 2에서는 목표자극과 그 주변에 제시되는 방해자극의 정서가 이후 목표자극의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실험 참가자들은 제시되는 사진들 중 가운데 사진에 대해 정서를 판단하면서 그 사진을 기억하도록 요구받았다. 실험 결과 부정정서 목표자극에 대한 재인율이 가장 좋았지만 방해자극이 부정정서인 경우에 그 방해자극을 목표자극으로 잘못 재인하는 경우도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정서 자극이 필요시에도 적절히 억제되지 못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장은아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7 No.-

        This study generally explores findings of the Korean education assessment studies that were conducted from the intial stag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2011, categorizes and analyzes them in order to understand its history of studies and changes. To do this, 1) relevant papers and books were classified by year, 2) theses, dissertations and brief papers were classified by type, and 3) the general Korean education, proficiency tests,achievement tests, academic purpose tests, performance evaluation and other types of assessment were categorized by topic. On the basis of the analysis,improvements and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the assessment research of the future Korean education.

      • KCI등재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눈치,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은아,한유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in Adultsin Their 20s and 30s on Adaptive Performance:Mediation Effect of Air Reading and PlayfulnessEunah Jang & Youjin H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of air reading and playfulness in adults in their 20s and 30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402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daptation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layfulness. Second, the order of perceived control, air reading and perceived control, and playfulness showed influence on adaptive performance. Finally, air reading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on adaptive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internal factors of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adaptation.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corporate counseling for adults who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and developing programs for adaptation of members in companies. Key Words: Perceived Control, Adaptive Performance, Air Reading, Playfulness, Mediation Effect 20-30대 성인의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눈치, 놀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장 은 아**ㆍ한 유 진*** 연구 목적: 이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눈치, 놀이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20-30대 성인 40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결과 적응수행은 지각된 통제감, 눈치, 놀이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지각된 통제감, 눈치 및 지각된 통제감, 놀이성 순으로 적응수행에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통제감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눈치, 놀이성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적응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20-30대 성인의 개인 내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적응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을 위한 기업상담 및 기업에서 구성원들의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핵심어: 지각된 통제감, 적응수행, 눈치, 놀이성,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2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Myongji Univ., Email: girl9641@hanmail.net)*** 교신저자,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Myongji Univ., Email: yjhan@mju.ac.kr)

      • KCI등재

        제 1상 임상시험에서 용량 감량을 허용하는 MTD 추정법

        장은아,김동재,Jang, Eunah,Kim, Dongjae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7

        제 1상 임상시험의 주목적은 시험약의 독성을 평가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적정 용량인 최대허용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의 추정이다. 기존에 최대허용용량 추정 방법에는 SM방법(Storer, 1989; Korn 등, 1994), ATD방법(Simon 등, 1997) 그리고 DM방법(Dixon과 Mood, 1948)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가속 단계를 적용하여 약효가 없는 낮은 용량에 많은 피험자들이 배정되는 점을 보완하고, 이 초기 가속 단계로 빠르게 용량을 증가함으로 인해 떨어진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용량감량을 허용하는 방법을 적용시켜 MTD 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방법들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phase I clinical trials is to estimate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which minimizes side effect and assures safety of a new drug by evaluating the toxicity at each dose-level. The conventional MTD estimation methods is Standard method (Storer, 1989; Korn et al., 1994), Accelerated Titration Designs (Simon et al., 1997) and DM method (Dixon and Mood, 1948) etc. In this paper, MTD estimation method with de-escalation is suggested phase I clinical trials. The proposed MTD estimation method is compared to Accelerated Titration Designs, SM3 without de-escalation method and SM3 with de-escalation method using a Monte Carlo simulation.

      • KCI등재

        경영수학입문 교과목 교수-학습지도 개선 방안 - Webwork 시스템 활용 과제를 중심으로

        장은아,표용수,Jang, Eun-Ah,Pyo, Yong-Soo 영남수학회 2009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25 No.3

        In this paper, we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test on the basic scholastic ability of the students who register for the course, Introduction of Business Mathematics. We want to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this course. Especially, the registered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the following the course because they have not studied Calculus in their high school. So we give them several assignments on the Webwork system, an internet based homework management system, and analyze its effect on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And we propose a teaching-learning method suitable for the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