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ODIS NDVI 시계열 패턴 변화를 이용한 산림식생변화 모니터링 방법론

        정명희,이상훈,장은미,홍성욱,Jung, Myung-Hee,Lee, Sang-Hoon,Chang, Eun-Mi,Hong, Sung-Woo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has been used to measure and monitor plant growth, vegetation cover, and biomass from multispectral satellite data. It is also a valuable index in forest applications, providing forest resource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an approach for monitoring forest change using MODIS NDVI time series data is explored. NDVI difference-based approaches for a specific point in time have possible accuracy problems and are lacking in monitoring long-term forest cover change. It means that a multi-time NDVI pattern change needs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an efficient methodology to consider long-term NDVI pattern is suggested using a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reconstructs MODIS NDVI time series data through application of the harmonic model, which corrects missing and erroneous data. Then NDVI pattern is analyzed based on estimated values of the harmonic model.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49 NDVI time series data from Aug. 21, 2009 to Sep. 6, 2011 and its usefulness was shown through an experiment.

      • GIS기법을 이용한 다도해국립공원의 수달 서식가능지 분석과 지역개발 정책에 관하여

        장은미,박경,채희영,Chang, Eun-Mi,Park, Kyeong,Chae, Hee-Yo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3

        Hongdo and Huksando belong to the Dadohae national park parks in Korea and are famous sightseeing spots in Shinahn-gun. One of the keystone species in this area is otter (Lutra lutra). We accomplished field works for finding its present habitat and condition analyses for the potential habitat in the area via spatial analyses with digital elevation model and satellite imagery. Isolated condition with coastal cliffs was one of the superior conditions over habitat in the main land, but the road kills of small animals were also observed. Three underground eco-corridors were suggested for the protection of otter habitat in the Shinahn-gun are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Shinahn-gun should be focused on the protection of safe and pristine habitat for otter population.

      • 조선시대 왕릉의 공간적 분포특성 - 위성영상분석과 지질.지형분석의 방법으로 -

        장은미,박경,Chang, Eun-Mi,Park, K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3

        We aim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oyal tombs of Chosun Dynasty by using GIS technique and remotely-sensed data. Most of the royal tombs are located on the banded gneiss and granite and over the south- and east. facing slopes and have altitudinal ranges of 150 to 200 meters. Due to the time gaps, exact locational preferences of the royal families can not be understood at this moment and also proximity to the running water is hard to be quantified. Close examination of Gwangneung indicates that the artificial modification and weathering have severe impacts on the slope and stone artefacts.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can be useful to preserve the valueless cultural heritages.

      • KCI등재

        조직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

        정화향(Zheng Hua Xiang),이정원(Lee Jeong Won),장은미(Chang Eun mi) 한국인사관리학회 201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0 No.2

        연봉제의 도입과 실행은 조직 차원의 변화이기에 구성원들의 수용성에 따라 그 효과는 달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도의 도입 혹은 실행과정에서 구성원의 수용성에 대한 연구, 특히 수용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는 회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교환 또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다루는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으로 다시 불거진 연봉제 실효성에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정보 교환(information exchange) 관점에서 조직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연봉제의 수용성은 제도 특성 자체에 대한 인지는 물론, 제도와 관련된 조직과 구성원 간 정보 교환 및 비대칭 현상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각에서, 신호이론(signaling theory)과 불확실성 감소이론(uncertainty reduction theory)을 기반으로, 연봉제 관련 커뮤니케이션이 연봉제 수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 안에 연봉제를 도입한 18개 기업의 199명 직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봉제의 특성(성과급 비율의 적정성 인지)은 연봉제 수용성(도구성 인지 및 정서적 몰입) 중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신호 이론에 기반을 둔 정보제공 적절성에 대한 인지는 구성원들의 연봉제 수용성인 도구성 인지 및 정서적 몰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급 비율의 적정성 인지와 조직구성원들의 정보추구행동이 상호작용하여 연봉제 수용성 중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mplementing individual pay for performance(individual P4P) is an organizational level institutional change. Thus, its effectiveness depends on the employee acceptance of the practice. However, in wage system study, research on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and especially the role of information exchange or communication between organization and employees, is limited until today. The current research, based on signaling theory and uncertainty reduction theory, explored the predictors of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dividual P4P-related communicat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ceived the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dividual P4P-related communication on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ffective commitment). This thesis used a sample from both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s which are implementing individual P4P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to individual P4P, and the perceived the quality of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on perceived instrumentality and affective commitment of employee acceptance of individual P4P.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perceived propriety of incentive intensity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affective commitment to P4P was significant as well.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건물 임차형 개신교 교회의 공간분포특성과 운영실태 - 서울을 중심으로 -

        장은미(Eun mi Chang),정영희(Young hee J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6 문화 역사 지리 Vol.28 No.1

        Churches have been recognized as an exclusive space for worship to gods. While protestant churches had contributed to build schools and hospitals at the early diffusion stage, some churches behave the opposite way now. We aim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urches which take lease auditoriums of schools in Seoul, Korea. We collected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search for the basic properties at first and interviewed pastors and attenders to the church without building and gathered eight questionnaires in detail. These churches distributed mainly in Songpa-gu, Gangnam-gu, Seocho-gu in Seoul. These churches have relatively tight and regular relationship to and carry out activities for students, teachers, and neighborhood. The distribution of Christians belonging to these churches spread more widely. Four different combination types were observed based on whether church management offices or extra space for community service or not, and whether the management styles are independent of or not. We may need a new point of view to interpret the phenomena of churches without building such as equal access theory, non-exclusive space for not only religious activities but also cultural services. Key words: Protestant churches in Seoul, churches leasing schools, spatial characteristics. 교회건물은 종교적 활동을 위한 기능적 전용공간으로, 서양에서는 지역사회의 종교적 성향을 나타내는 문화경관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기독교 유입초기에 선교사들이 학교와 병원시설 등을 세웠던 것과 반대현상으로, 교회가 고유의 건물이 없이 공공성격을 띈 학교건물을 임차하는 현상을 주시하여, 문화지리학적 차원에서 이러한 교회 분포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비건축”을 특성으로 내세우는 교회에 대한 조사는 1차적으로 인터넷 홈페이지와 보고서 및 기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목회자 및 교인들의 인터뷰와 설문지를 통해 변천 과정 및 운영상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가운데도 세부적으로 네 가지의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공립학교보다는 사립학교의 임대를 선호한 까닭에 강남구와 송파구에 집중되고 있으며, 하나의 교회가 분립과정을 통해 서울 중심에서 외곽지역으로 여러 학교를 임차하여 사용하는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교회들은 건물을 임차한 재단, 교사와 학생, 지역사회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교인의 범위와 봉사하는 대상지역이 교인의 수에 비해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비배타적 공간으로서 종교적 활동공간과 문화서비스 공간, 교육공간의 공평한 접근과 활용이라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국내 미국과 일본의 다국적기업의 통제에 관한 비교 분석

        장은미(Eun Mi Chang) 한국경영학회 1995 경영학연구 Vol.24 No.2

        The dramatic growth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since WWII,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economy of virtually all industrialized nations. With subsidiaries operating in different countries, MNCs face a degree of complexity and cultural diversity that far exceed those faced by domestic corporations. This diversity and complexity increase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body of knowledge about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Research on management control has been a topic of much interest within international business, but past studies have been largely atheoretical in nature. Thu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strengthen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on management control in MNCs by applying agency theory as an explanatory mechanism for the degree of control. The study used a survey-based,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that examined foreign subsidiaries in Korea. Korea was selected as a sample country because it has nurtured many MNCs during its dramatic economic development over the last two decades.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ownership degree affected the degree of agency control exerted by the parent company, and that some of the agency characteristics - measured by relative importance of the agency in terms of size, number of employees, mission, and task interdependence - moderated the degree of control. MNC`s nationality also affected the type of agency conrtrol in that Japanese MNCs showed more cultural control than American MNCs. In genera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usefulness of agency theory as an explanation of the degree of management control.

      • KCI등재

        GIS 산업에 있어서 지리학의 역할 및 수요에 대한 분석

        장은미(Eun-mi Chang) 대한지리학회 2004 대한지리학회지 Vol.39 No.4

        본고는 지리학의 사회참여라는 주제 하에 한국의 지리학 전공자가 GIS산업에 기여한 것과 수행한 역할을 가늠해보고자 시작되었다. 후학들의 기대수준과 실제적인 지리정보시스템을 비 지리학자의 요구사항과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GIS산업 현장에서 인정하고 있는 자격증 사안에 대한 소개와 향후 GIS산업의 방향을 예측하는 자료를 생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한국의 GIS 산업의 시기별 특성과 각 단계에 있어 지리학 전공자의 기여도 정리하였으며, 주요기관별 지리학 전공자의 비중 및 수행업무에 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GIS사업에 관련된 공공기관의 2003년 2004년의 중장기 기술개발 및 사업개발 계획을 분석하여 차후에 GIS산업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산업계와 연구계의 수요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는 GIS산업의 진출을 위한 지리학과의 GIS교육의 SWOT (강점, 약점, 기회, 위협)분석으로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실습과 프로그래밍 중심의 훈련이 강조된 반면, 지리학과의 강점에 해당되는 다양한 세계 지리적 지식, 인간과 환경을 아우르는 종합적 시각, 통합능력, 학제간 연구훈련 등은 저평가되고 있었다. 대기업에서의 지리학과 전공자의 비중이 오히려 높았으며 이는 중소기업이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현부분에 기술적으로 치중하기 때문이다. 텔레매틱스와 같이 신성장동력으로 일컬어지는 산업에 GIS가 일부 포함되어 있기에, 지리학과의 GIS교육은 문화지리와 연계된 지역마케팅, GIS 교육 분야, 새로운 위치기반의 서비스 모형개발 등에 기회가 있다고 여겨지며, 이는 학제간 협력보다는 지리학 내의 협동연구를 통한 핵심역량 강화에 치중해야할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what geographers have contributed to GIS industries and national needs. To-be-geographers and geographers are expected to meet the gap between what we have learned in school and what we have to do after grad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GIS industry in the 1990 are summarized with approximate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of geographers in each stage. Author introduced the requirement for the licenses of geomatics and geospatial engineering experts and the other licenses, which are important to get a job in GIS industry from 2003 to 2004. A set of questionnaire on the user’s requirements was given to GIS people in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GIS research centers and analyzed. Author found that they put an emphasis on hands-on experiences and programming skills. The advantages of geography such as capability of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were not appreciated. The prospects for the GIS tend to be positive but the reflectance of the prospect was not accompanied by at the same degree of preference for geography. Most government strategies for the next ten years’ GIS focus on new-growth leading industries.<br/>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analysis of geography for GIS industry will give some directions such as telematics, regional marketing strategies with web-based GIS technology, location based service. That means intra-disciplinary study in geography will evoke the potentiality of GIS, compared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화산재해지도 구성요소 도출 및 활용 방안

        장은미(Eun Mi Chang),박경(Kyeong Park),김은경(Eun Kyung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1

        이 논문은 화산재해지도가 갖는 특성을 규명하고, 국내외 화산재해지도의 사례조사를 통해 유형화하였다. 저자들은 해외의 화산재해지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백두산을 대상으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 외 화산재해지도에 대해 세 가지 유형(Hazard Map, Risk Map, Damage Map)의 재해지도 분석틀을 통해 검토하고, 화산재해지도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화산재해지도 구성요소는 1) 과거이력 누적 지도, 2) 확률론적 위험 지도, 3) 시나리오 기반 지도이며, 이를 바탕으로 활용사례별(피난활용형, 방재정보형, 방재교육형) 화산재해지도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o classify the foreign volcanic disaster maps. Authors try to extract the components of volcanic disaster maps and apply them to the Mt. Baekdu volcano that receives worldwide attention recently has been on an early stage in Korea. Internationally, volcano ash disaster maps are derived and reviewed through three analytical framework components: Hazard Map, Risk Map, and Damage Map. These derived components of volcano ash disaster mapping systems are: 1) cumulative map of past disaster records, 2) probabilistic risk map, 3) scenario-based map and case-by-case utilization maps (evacuation response type, emergency information type,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type) based on this components a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