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Green ODA 요건에 따른 산림 분야 공적개발원조 대상국 탐색

        장은경,최가영,문주연,전철현,최은호,최형순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2

        While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has continued globally, global society has been making efforts to prevent deforestation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R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s link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eradication of poverty and upholding of human rights. Fore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restores the global forest land, and increases the public benefit. Bilateral forest ODA projects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gradually increased and most of those projects have currently been concentrated in Asian countries. Selecting recipient countries for forest ODA requires more comprehensive approach since the global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widely adapted to ODA strategic plans. We proposed potentially promising countries that are eligible for receiving ‘Green ODA’ in perspective of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 to implement 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degradation (REDD+), conserving biodiversity, and combating desertification.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s that forestry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from Asian countries more toward South America and African countries. In addition, we emphasized the need to promot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with green technology to fundamentally solve the negative impacts of deforestation such as food, energy, water resource shortages, and forest fires. We advocated expanding bilateral ODA in the forestry sector through diversification of project activities, financial sources, and participants. Our study can contribute to the provision of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long-term strategies to expand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forestry sector.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 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 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 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사회⋅환경 부문의 이행 준비 및 필요성을 분석하여 ‘그린 ODA’에 충족될 수 있는 협력 대상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산림 협력이 중점 적으로 이루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나아가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로 산림 협력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식량⋅에너지⋅수자원⋅산불 등 산림 전용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녹색기술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사업 활동 과 재원, 참여자의 다각화를 통해 산림분야 양자 ODA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부문 양자 협력 대 상국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 산림 파괴가 진행 중인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데이터 마이닝의 Model Tree를 활용한 내성천의 유사량 산정 및 안정하도 평가

        장은경,지운,안명희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11

        A Model Tree technique of data mining was applied to derive optimal equations for sediment discharge assessment based on the measured sediment data and then to evaluate stable channel design for Naesung Stream. The sediment discharge formula as a function of channel width, velocity, depth, slope and median grain diameter which was developed by a Model Tree technique with sediment discharge data measured in Korean River had a high goodness-of-fit between measured and calculated results. In case of the sediment discharge formula as a function of channel width, velocity, depth and median grain diameter which was developed by a Model Tree technique with sediment discharge data only measured in Naesung Stream represented the highest goodness-of-fit. Two types of sediment discharge formulas were applied to evaluate stable channel analysis for Yonghyeol Station of Naesung Stream. As a result, bed erosion was expected in the study section compared to the current section. It was also presented that the be slope might be changed to be a milder slope than the current slope to reach equilibrium condition in the long term.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하천에서 실측한 유사량 자료를 기초로 데이터 마이닝의 Model Tree 기법을 통해 유사량 산정 공식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내성천에서의 안정하도 단면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유사량 공식은 국내 모래하상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 하폭, 유속, 수심, 경사, 하상토 중앙입경을 선택하였을때 적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성천으로 자료의 범위를 한정한 경우에는 경사를 제외한 하폭, 유속, 수심, 하상토 중앙입경을 선택한 유사량 공식의 적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각의 Model Tree 공식들은 내성천 영주댐 하류 용혈 지점에서의 안정하도 단면 평가를 수행하는데 적용되었으며, 현재 내성천의 단면과 비교했을 때 향후 안정하도 단면으로의 변화를 위해 하상의 침식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현재 하상보다 완만한 경사가 유지될 경우 장기적으로 평형상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성요소 분석

        장은경,공병천,이진형 한국정부학회 2011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12

        본 연구는 증도사례를 중심으로 지역관광발전을 위한 협력기제로써 지역에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관광거버넌스 구축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는 어떤 것이고, 우선적으로 지향해야 할 핵심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한 물음에 답을 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성요소의 중요성이 외부전문가와 지역주민 전문가간에 시각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거버넌스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정한 참여성, 파트너십, 제도화의 핵심상위구성요소와 각 요소별 하위구성요소인 참여성 부문의 자발성, 역량 및 전문성, 공동체 의식, 파트너십 부문의 신뢰성, 민주성, 투명성, 제도화 부문의 역할성, 규범성, 독립성에 대한 AHP를 활용 분석결과, 상위구성요소(계층 Ⅰ)에서는 참여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파트너십과 제도화 순으로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하위구성요인(계층 Ⅱ)에서는 참여성의 공동체 의식과 자발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그간의 거버넌스에 관한 일반적 논의에 기초한 지역기반의 관광거버넌스 논의를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향에서 논의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자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KCI등재

        사이언스 뮤지엄의 전시 콘텐츠 연출 전략 연구

        장은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3

        현대사회는 과거에 변화되어 온 그 어떤 발전보다도 더욱 빠르게 변화해 나가고 있다. 디지털 혁명이라고까지 불리 우는 멀티미디어 환경은 전시분야에도 다양한 일반 수용자의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전시분야의 전시연출 방식에도 디지털이라는 매체를 전시연출에 활용하여 관람객의 요구에 맞춘 전시 콘텐츠가 적절하게 제공되어져야만 전시 주최자 측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시자체가 단순 진열이나 전시물을 보여주는데 국한되어서는 안되고, 뚜렷한 목적에 맞는 내용으로 전시연출이 되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표출되어야 하므로 효과적인 전시콘텐츠의 연출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람객의 수요를 반영하여 제작되어지는 국내외 사이언스 뮤지엄의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보여주고자하는 내용의 전시연출의 특성 및 매체 구성방법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전시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연출이 최근의 관람객들의 요구를 적극 수용 및 반영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시연출 표현 방법임을 알 수 있다. 향후에도 전시 커뮤니케이션은 관람객의 감성적 요구에 부응 할 수 있는 디지털미디어의 새로운 시도와 발전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Our society is nowadays changing more rapidly than ever before. We can say nobody is not being affected by multimedia environment which have been built throughout 'digital renovation.' The multimedia oriented social environment is ever broadening and strengthening its scope and influences, communication methods among people have been changed. Media convergence; borderless between each media range and Inter-activity among each communication method are two phenomena that we are faced with. In addition to that, the advent of cyber space fasten to break through the border between two different nations, communities and cultures. Moreover it changes people's manner toward mass media, and individual's mentality. It is time to develop brand new exhibition method satisfying needs coming out several changes such as above mentioned. Internet is the new leader in multimedia era, in terms of its attribute to integrate character, voice, graphic and animated picture information. Internet is easily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media methods due to its interactive characteristic. However, Internet still has its limits of expressing due to its lack of presenting realism. Thus digital method should be integrated in existing exhibition methods to have sympathy between the exhibition principal and its spectators. This study focus on digital media to investigate newly developed display methods based on technical innovation and also it tries to establish the definite notion of public relation activities of entreprene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gital media imbedded exhibition environment presenting new exhibition elements such as space, exhibition itself and methods of expression and representation.

      • KCI등재

        중년에서 이혼과 신체건강의 관련성: 성별에 따른 가족/사회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장은경,최희정 한국가족관계학회 201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중·노년 기혼자와 이혼자의 신체건강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이 때 가족관계만족도와 사회관계만족도가 매개하여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였다. 또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전 연구는 이혼의 영향을 주로 정신건강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여, 이혼자의 신체건강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복지패널 12차(2017)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결혼 지위가 기혼과 이혼인 중·노년 남녀이다. 중년은 4,167명, 노년은 3,164명으로 회귀분석과 PROCESS (A. F. Hayes, 2013)을 사용하여 이혼의 직, 간접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노년 이혼자는 기혼자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았고, 중년 이혼 여성의 경우는 남성에 비해 부정적 영향이 컸다. 또한 중년의 경우 가족관계만족도를 매개하여 이혼이 신체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유의미하였으며, 이혼 중년 남성이 여성에 비해 부정적 영향이 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혼자의 신체건강 수준에 주목해야 하며, 연령과 성차를 고려해야함을 밝히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vorce might be associated with physical health, and whether the association might be mediated by family and other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lso evaluated if the ways in which family and other socialrelationships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vorce and physcial health might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Methods: The analytic sample of this study was drawn from the 12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2017), consisting of 4,167 middle-ag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40 and 64 who were either married or divorced at the time of the study. For analyses, medi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PROCESS. Results: Results suggest that midlife divorced individuals had lower self-rated health than their married counterparts and the negative impact of divorce on self-rated health was mediated by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Gender moderated the mediation, such that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was found only among divorced men. For women, neither family nor other social relationship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vorce and self-rated health. No signifiant associations were found between divorce, family or social relationships, and chronic disease treatment duration.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tending prior research on divorce that primarily focus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divorce and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