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lationships Between Exhaled Nitric Oxide and Atopy Profiles in Children With Asthma

        장원녕,박인수,최창희,Siegfried Bauer,Samuel Harmin,서성철,최익선,정지태,유영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3 Allergy, Asthma & Immunology Research Vol.5 No.3

        Purpose: We examined whether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levels are associated with atopy profiles in terms of mono-sensitization andpoly-sensitization in asthmatic children. Methods: A total of 119 children underwent an assessment that included FeNO measurements, spirometry,methacholine challenge, and measurement of blood eosinophil count, serum total IgE,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We also examinedsensitization to five classes of aeroallergens (house dust mites, animal danders, pollens, molds, and cockroach) using skin prick testing. The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sensitization profiles to these aeroallergens (non-sensitized, mono-sensitized, and polysensitized). Results: The geometric means (range of 1 SD) of FeN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non-sensitized, 18.6 ppb[10.0-34.7 ppb]; mono-sensitized, 28.8 ppb [16.6-50.1 ppb]; and poly-sensitized, 44.7 ppb [24.5-81.3 ppb], P=0.001). FeNO levels were correlatedwith serum total IgE concentrations,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and serum ECP levels to different degrees. Conclusions: FeNO levels vary accordingto the profile of atopy, as determined by positive skin prick test results to various classes of aeroallergens. FeNO is also moderately correlatedwith serum total IgE, blood eosinophilia, and serum ECP.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sensitized asthmatic children may have the highest riskof airway inflammation.

      • KCI등재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기침과 천명음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기침-홀터 모니터링의 유용성

        박하늘,장원녕,남효경,강인순,서성철,Siegfried Bauer,최익선,정지태,유영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2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2 No.4

        Purpose:Cough and wheezing are the most common respiratory symptoms in children. Recently, the cough-holter monitoring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objectively.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ough-holter monitoring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of cough and wheezing in the hospitalized children with respiratory symptoms. Methods:Cough-holter monitoring was performed in 59 children who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We obtained the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from the parents, a pediatrician, and cough-holter monitor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were taken by parents, and the pediatrician estimated the wheezing score by using a stethoscope. We assess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S scores, wheezing score, and cough-holter monitoring data. Results: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cough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r=0.301, P=0.032; and r=0.540, P=0.001, respectively) and 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wheezing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Wheezing scores. (r=0.335, P=0.011; and r=0.457, P=0.001, respectively) The wheezing intensity did not correlate with the Wheezing score in wheezing children. (r=0.321, P=0.089)Conclusion:Cough-holter monito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and the wheezing scores. Cough-holter monitoring appears to be a useful objective assessment tool for the children who have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목적:임상에서 기침, 천명에 대한 평가는 환자나 보호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과 의사의 신체 진찰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일회성이며 주관적인 측면이 있어 기침이나 천명음의 양적인 평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제한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침-홀터 모니터에서 측정된 기침,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와 호소하는 증상 및 청진 결과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이에 따른 임상적 이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기침이나 천명음을 주소로 2011년 2월 1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호흡기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입원한 5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들은 야간에 약 12시간 동안 기침-홀터 모니터를 사용하여 기침과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와 보호자에 의해 설문 작성된 VAS score,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 상 wheezing score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전체 대상군에서 기침-홀터는 VAS score와 기침의 빈도,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wheezing score도 천명음의 빈도와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천명군과 비천명군 모두에서 기침-홀터는 기침 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천명군에서 wheezing score와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에서 기침-홀터로 측정한 기침, 천명음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호소하는 기침 증상 및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을 통한 주관적 평가 결과와 유의하게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침-홀터는 임상에서 급, 만성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를 평가하는 객관적 평가 도구의 하나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소아 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김은진,권영란,송강훈,장원녕,이진,장진근,차성호 대한소아감염학회 2010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7 No.2

        Purpose : Recurrent otitis media (ROM) is usually defined as ≥3 distinct and well-documented episodes within 6 months or ≥4 episodes within 12 months. ROM is sufficiently important to warrant consideration of chemoprophylaxis, tympanostomy tube placement. There also is evidence that children with ROM are at risk for both hearing loss and speech delay. However,studies of ROM have been notably insufficient. In addition, even though environmental, racial,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can affect risk factors,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recurrent otitis media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09 to January 2010 with infants and children who were younger than 60months old,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s at Han-Il General Hospital and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using a pre-formed sheet. Among a total of 892 infants and children, 457 were excluded, and the remaining 435 were allocated to 104 with ROM and 331 as a control group. Results : Attendance at daycare centers (P <0.001, OR=2.85), allergic rhinitis (P =0.026, OR=2.32), past history of bronchiolitis (P =0.003, OR=2.33),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P =0.005, OR=2.00) were found to have a clos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OM. Risk factors such as sex, having a sibling, breast-feeding, use of pacifiers, atopy, pneumococcal vaccination,influenza vaccination, smoking of parents, and indoor smoking are not relevant. Conclusion : Attendance at daycare centers, allergic rhinitis, past history of bronchiolitis,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have been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ROM. 목 적:재발성 중이염은 말하기, 언어, 인지 능력 지연및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청력 소실 혹은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재발성 중이염을 앓는 소아들은 예방적 항생제 투여, 고막 절개와 튜브 삽입, 아데노이드 절제의 고려 대상이 된다. 하지만 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며,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연구가 아직까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의 소아재발성 중이염의 위험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1월까지 한일 병원과경희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방문한 60개월 미만의소아를 대상으로, 104명의 재발성 중이염군과 331명의대조군을 대면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성별, 모유수유,인공 젖꼭지 사용, 어린이집 이용, 알레르기 비염 병력,모세기관지염의 병력, 소득 수준,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흡연, 폐구균 백신 및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력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위험인자와 재발성 중이염간의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통한 단변량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의미 있었던 위험인자들 간의 교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한 다변량 분석도 시행하였다. 결 과:단변량 분석에서는 어린이집 이용, 알레르기 비염, 아토피, 모세기관지염,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 흡연,낮은 사회경제 상태가 의미 있는 위험인자였다. 하지만폐구균 백신 접종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교란변수를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아토피, 부모 흡연, 집안에서의 흡연을 제외한, 어린이집 이용(P <0.001, OR=2.85), 알레르기 비염(P =0.026, OR=2.32), 모세기관지염(P =0.003, OR=2.33), 낮은 경제상태(P =0.005,OR=2.00)가 의미 있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였다. 결 론 : 알레르기 비염과 모세기관지염의 병력이 있고,낮은 사회경제 상태에 있으며,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소아일수록 재발성 중이염에 걸릴 위험이 높았다.

      •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기침과 천명음의 객관적 평가를 위한 기침-홀터 모니터링의 유용성

        박하늘 ( Ha Neul Park ),장원녕 ( Won Nyung Jang ),남효경 ( Hyo Kyoung Nam ),강인순 ( In Soon Kang ),서성철 ( Sung Chul Seo ),( Siegfried Bauer ),최익선 ( Ic Sun Choi ),정지태 ( Ji Tae Choung ),유영 ( Young Yoo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2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2 No.4

        목 적 : 임상에서 기침, 천명에 대한 평가는 환자나 보호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과 의사의 신체 진찰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일회성이며 주관적인 측면이 있어 기침이나 천명음의 양적인 평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제한점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침-홀터 모니터에서 측정된 기침,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와 호소하는 증상 및 청진 결과의 일치도를 평가하여 이에 따른 임상적 이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침이나 천명음을 주소로 2011년 2월 1일부터 2011년 10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호흡기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입원한 5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환아들은 야간에 약 12시간 동안 기침-홀터 모니터를 사용하여 기침과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와 보호자에 의해 설문 작성된 VAS score,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 상 wheezing score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대상군에서 기침-홀터는 VAS score와 기침의 빈도,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wheezing score도 천명음의 빈도와 강도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천명군과 비천명군 모두에서 기침-홀터는 기침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천명군에서 whee-zing score와 천명음의 빈도 및 강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기침-홀터로 측정한 기침, 천명음은 환자 또는 보호자가 호소하는 기침 증상 및 소아청소년과 의사의 청진을 통한 주관적 평가 결과와 유의하게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침-홀터는 임상에서 급, 만성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는 소아를 평가하는 객관적 평가 도구의 하나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Cough and wheezing are the most common respiratory symptoms in children. Recently, the cough-holter monitoring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objectively.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ough-holter monitoring for the objective assessment of cough and wheezing in the hospitalized children with respiratory symptoms. Methods : Cough-holter monitoring was performed in 59 children who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We obtained the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ugh and wheezing from the parents, a pediatrician, and cough-holter monitor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were taken by parents, and the pediatrician estimated the wheezing score by using a stethoscope. We assess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VAS scores, wheezing score, and cough-holter monitoring data. Results : 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cough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r=0.301, P =0.032; and r=0.540, P =0.001, respectively) and 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wheezing also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Wheezing scores. (r=0.335, P =0.011; and r=0.457, P=0.001, respectively) The wheezing intensity did not correlate with the Wheezing score in wheezing children. (r=0.321, P=0.089) Conclusion : Cough-holter monitoring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VAS scores and the wheezing scores. Cough-holter monitoring appears to be a useful objective assessment tool for the children who have suffered from cough and/or wheezing.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2;22:344-35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