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우진,윤지희,오민규 한국생물공학회 2022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7 No.2
Deriving both carbon and energy from formate, a single-carbon substrate, for the microbial production of value-added products allows its use as the main feedstock in biorefinery, with consequent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Methylorubrum extorquens AM1, a strain capable of growth solely on formate, is a known producer of the biopolymer polyhydroxyalkanoate (PHA), during nitrogendeficient growth. Based on findings from our previous report, the gene ftfL was selected for overexpression to enhance growth and PHA production using formate. Its overexpression in a po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producing strain yielded improved growth and a 1.4-fold increase in PHBV production. The strain could thus be tested for long-term fermentation, intended for optimized growth and production in formate. A customized fermentation regimen was established by incorporating both the conventional two-phase fermentation method for PHA production and a repeated fed-batch fermentation process designed to resolve the problem of sodium accumulation. The poly-3-hydroxybutyrate and PHBV copolymer-producing strains resulted in 11.07 g/L and 2.76 g/L of bio-degradable polymers, respectively, in the fermentation process.
박찬욱 감독의 복수 삼부작 : 초점화와 보이스오버 전략
장우진 한국영화학회 2019 영화연구 Vol.0 No.79
Chan-Wook Park’s films Sympathy for Mr. Vengeance(2002), Old Boy(2003), and Sympathy for Lady Vengeance(2005) are a vengeance trilogy that addresses the issues of sin, vengeance, and salvation. These films have one thing in common: namely, all of them use voice-ov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oice-over strategies are used by Park to control the volume of information about story and characters, as well as to create psychological distances to and form attitudes towards them in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theme of each film. To this end, I analyze what focalization types and voice-over strategies are used in these three films. Sympathy for Mr. Vengeance deals with the ambiguity of the division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irony of the situation where a revenger becomes himself the target of revenge by another person. This film is divided into two parts, with different focalization; the irony of the theme is enhanced by limiting the focalization to the target of revenge in the first half and inducing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using the target’s voice-over. Old Boy deals with the reversibility of sin and vengeance through the reversal where the avenger realized that he himself was the target of vengeance. This film makes the new discovery and reversal shocking by inducing strong empathy of the audience with only one character by continuously using his voice-over, although he is just one of the two persons forming the avenger-the target interrelationship. Sympathy for Lady Vengeance asks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vengeance as penitence and salvation through the vengeance. This film spurs the audience’ critical judgement by blocking the audience’s empathy with Geum-Ja and by maintaining a sense of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Geum-Ja through a third person’s omniscient voice-over, as well as through diverse speeches of other characters. 박찬욱 감독의 영화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는 죄와복수, 구원의 문제를 다룬 복수 삼부작이다. 이 영화들은 모두 등장인물의 보이스오버를 활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연구는 작품의 주제 의식에 따라 등장인물 에 대한 관객의 정보량과 심리적 거리와 태도를 통제하기 위해 각 작품에서 어떠한 초점화 유형과 보이스오버 구사 전략을 활용하는지 분석한다. <복수는 나의 것>은 선악 구분의 모호함과 복수를 감행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는 복수의 대상이 되기도 하는 아이러니를 다룬다. 이 영화는 전반부와 후반부를 나누어 초점화의 대상을 달리하는데, 전반부에 초점화의 대상을 복수의 대상으로 제한하고 그의 (대체된) 보이스오버를 활용하여 관객의 동일시를 유도함으로써 주제의 아이러니를 강화한다. <올드보이>는 복수의 주체가 거꾸로 복수의 대상이 되는 반전을 통해 죄와 복수의 이중성을 다룬다. 이 영화는 복수의 주체-대상의 관계를 형성하는 두 인물 중 한 인물의 보이스오버만을 지속적으로 활용하여 한 인물에 대한 관객의 강한 감정이입을 유도함으로써 새로운 사실의 발견과 반전을 충격적인 것으로 만든다. <친절한 금자씨>는 참회로서의 복수와 그것을 통한 구원의 가능성을 질문한다. 이 영화는 제3자의 전지적 보이스오버와주변인물들의 다양한 발화를 통해 금자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을 차단하고 거리감을 유지함으로써 관객의 비판적 성찰을 이끌어낸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제공 방향 연구
장우진,유창호,정동훈 경인행정학회 2013 한국정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3차원·동적인 정보를 연계·통합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개방적·공개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국가공간정보정책 기본계획(2011~2015)’의 기본방향 그리고 실천적 전략으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서비스를 전제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 방향과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현실성 있는 프레임 제시, 그리고 3차원 지적공간정보 유형에 따른 서비스 제공방향과 이·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시스템 구축에 있어서는 공간정보 오픈플랫폼과의 연계는 물론, ‘속도’,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등 3가지 항목의 연관성 측면에서의 시스템의 요구사항과 주요 기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4개의 등록객체를 대상으로 하는 3차원 지적공간정보 구축에 있어서는 특히, 분산된 민간 데이터의 활용과 관련한 기술적 측면(DB 표준화 및 호환가능성, 보안성 및 암호화)을 고려하여 3단계의 정보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3차원 지적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방향과 관련하여서는 데이터 유형별, 서비스 대상자(공공기관, 민간기업, 개발자, 이용자)를 고려하여 웹연동과 데이터 구매 등과 같은 제공방식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서비스에 따른 활용 방향으로서 공공기관(효율적 토지관리, 입체적 도시계획, 시설물 유지관리, 인허가 심의, 지방세 징구, 소유자 재산권보호, 방재정보 제공, 해양관리 등), 민간기업(인허가 준비, 사업성 검토, 수익률 제고, 관광단지 운영 컨텐츠 개발 등), 개발자(웹연동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수익모델 창출, 맞춤형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용자(교육현장 활용, 거주지 주변 도시계획 시설 확인, 부동산 매매정보(일조권, 조망권, 경사도 등) 취득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지역성에 기반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향
장우진,홍성우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1 地域發展硏究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전환적 기제 중의 하나로서, 지역성에 기반한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업무의 효율화, 대민서비스 향상, 행정의 투명성 제고,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발굴 및 육성 지원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전략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과 목적 하에, 제2장에서는 사회적기업의 현재적 과제를 검토하였고, 제3장에서는 고용노동부(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종합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른 한계와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검토와 논의를 토대로 제4장에서는 지역성에 기반한 사회적기업종합정보시스템의 구축방향을 아키텍처 설계를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기업종합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아키텍처는 이론적인 개념 틀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향후 사회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 관련 학술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방안 : 충청북도의 제도적 · 행정적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장우진,김렬,유근환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2 No.4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사회적기업육성법(법률 제8217호)」이 제정된 이후, 현재 전국에 324개의 사회적기업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이들 사회적기업의 대부분은 사회적?경제적 가치의 혼합에서 파생되는 본질적 한계로 인해 경영안정과 자립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에 관한 제도적?운영적 실태를 분석하여 제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충청북도에서 설립?운영되는 16개 사회적기업의 경우 저소득자, 고령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비정규직 고용비율이 높으며, 총수입 및 총지출 측면에서 재무상황도 매우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향후 정부 지원이 만료되어 본격적인 경쟁시장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취약계층 근로자의 직업안정과 기업 자체의 자립생존은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고 경영구조를 안정화시켜 자립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다양한 지원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관련 조례의 개정 및 규칙의 정비, 전담부서 및 지원센터 설치, 행?재정적 지원 및 연계체제 구축, 프로보노(Pro Bono)의 적극 활용, 우선구매 및 판로개척 등 지원 강화, 민간기업의 참여 촉진 등 제반 조치들이 추진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