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및 친구 관계, 그릿, 학업 무기력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장수연 ( Jang Suyeon ),정제영 ( Chung Jae You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교사와 친구 관계가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 무기력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중학교 1학년 패널의 1차년도(2018) 자료(N=2,590)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릿(Grit)은 ‘흥미 유지’와 ‘노력 지속’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긍정적인 교사 및 친구 관계는 그릿의 흥미 유지와 노력 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모든 잠재변수와 학업 무기력 간에는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 및 친구 관계와 학업 무기력 간에 그릿-흥미 유지와 그릿-노력 지속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교사 변수의 직·간접효과가 더 높게 추정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사와의 관계가 그릿-흥미 유지에 미치는 경로계수에서 성차(남<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조절된 매개효과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교사 및 친구 관계, 그릿(Grit)이 학업 무기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relationship, friendship, grit, and academic helplessness, and to analyze differences by gender. Drawing on the first wave of data of the middle school panels (N=2,590)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is study conducts a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articular, grit is verified by dividing it into two subfactors of ‘consistency of interest’ and ‘perseverance of effor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nd friends’ variables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s two components, and negative effects were found between all latent variables and academic helplessness. Second, grit's two component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with all variable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eacher variables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friend variables. Third, the result of a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path coefficient for ‘consistency of interest’ concerning 'teacher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female);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was not significant by gend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friends, and grit are variables closely related to academic helplessness,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간호대학 실습생들의 성격/행동유형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양상 및 대처 방식간의 관계

        장수연,김소정,김영지,서인영,송채림,오홍금,이인재,이지,이지은,홍다혜,김정은,Jang, Suyeon,Kim, So Jeong,Kim, Yeong Ji,Suh, In Young,Song, Chearim,Oh, Hong Kum,Lee, In Jae,Lee, Ji Yun,Lee, Ji Eun,Hong, Da Hye,Kim, Jeongeun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7 간호학의 지평 Vol.14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level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3 third- and fourth-grade nursing students in 14 nursing colleges who had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nstruments to identify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and Conscientiousness (DISC) personality/behavior types, clinical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using the SPSS 24.0 program. Results: The DISC pattern showed high priority in Steadiness (48.3%), followed by Conscientiousness (21.0%), Influence (16.1%), and Dominance (14.7%), in that order. The steadiness type showed the lowest level of stress among four pattern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sonality/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differ. Additionally, different personality/behavior types can be attributed to stress levels and stress coping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different personality and behavior types of nursing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to manage their stress levels related to the clinical practicum experience.

      • KCI등재

        초ㆍ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추지윤(Jiyun Chu),장선희(Seonhee Jang),장수연(Suyeon Ja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교육논총 Vol.44 No.1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제1차년도(2021년) 자료를 활용하여 초ㆍ중등 교사 (n=2,418)들이 학교 현장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에 따라 교사 갈등 상황 경험의 결과변인으로 볼 수 있는 교사의 ‘소진(Burn-out)’과 ‘직무만족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교사의 갈등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는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활용하였고, 갈등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는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중등 교사의 갈등 유형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도출되었으며 각각 ‘갈등 최저집단’, ‘갈등 저집단’, ‘갈등 보통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예측요인을 탐색한 결과, 초등교사의 경우, 갈등이 낮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개인 요인은 성별, 담임 여부, 교직 선택의 내재적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고, 업무환경 변인은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중등교사의 경우, 개인 요인 중에서는 성별, 교직 경력, 비정규직 근무 여부가, 업무 환경 요인 중에서는 업무 부담, 교사 자율성, 구성원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결과 변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초ㆍ중등교사 모두 갈등이 낮은 집단에서 교사의 소진이 낮고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서울 교원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flict typ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flict types. In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 level of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the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acher conflict. For this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flict types of teachers were deriv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lowest conflict group’, ‘low conflict group’, and ‘the average conflict group’. During the exploration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low-conflict group were gender, homeroom status,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burden, teachers’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members of the staff.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gender, the work burden, the teachers’ autonomy,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staff members, teaching career, and temporary worker statu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 ficant factors. Since the differences were assessed based on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it was found that teachers’ burnout was low and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group with low conflict, in both group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희숙(Lee, Heesook),정제영(Chung, Jae Young),장수연(Jang, Suyeon),장선희(Jang, Seonhee),김재령(Kim, Jaerye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1패널의 6차년도 자료(n=1,768)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일수록, 독서시간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정일수록, 학교생활의 적응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다문화 수용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도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주요 논의사항은 첫째, 적절한 부모의 관심과 보살핌을 받은 아동의 다문화 수용도가 높으므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이나 가정문제에 대한 상담서비스가 적극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다문화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도울 수 있어야 하고, 성차를 반영한 다문화 교육이나 다문화 가정과의 교류 시간 등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비교과 활동 운영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교육정책은 초등학생의 타 문화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높이고 사고와 인식 체계를 폭넓게 하는 독서 활동을 장려하며 학교 교육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상호이해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공감과 배려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다문화 학생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다문화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 역량을 강화시키고, 학생 간 문화의 이해도를 높이는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 Drawing on data from the sixth wave of the elementary school year 1 panel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is study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elementary students’ level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ender(female), reading time, self-esteem, multi-cultural family, adaptation level to school life, and level of local community consciousness positively affect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elementary students. On the other hand, parents’ neglectful parenting attitudes negatively affect it. These findings imply the following: First, counseling services for parental education or family problems should be provided. Second, school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issu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multi-cultural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at school into accounts. Additionally, there is a real need to operate practical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raise the level of multi-cultural acceptance. Third,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adopted to encourage more reading activities. Furthermore,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should be promoted through school based education programs.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ll students, including multi-cultural students themselve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System Reformation in the Philippines and Myanmar

        Krizia Magallanes,Nwe Nwe Htun,장수연(Jang, Suyeon),정제영(Jae Young Ch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필리핀과 미얀마에서 진행된 학제개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비교 분석을 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리핀과 미얀마는 최근 초중등교육의 학제를 12년제로 개편하였다. 교육개혁의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심층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교육개혁의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동의 과정을 정책주기이론(Policy Cycle Theory)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책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부의 공식 문서, 출판물, 그리고 연구자료를 통해 문헌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필리핀과 미얀마에서 이루어진 교육개혁의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부가 교육개혁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갈등관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와의 협의과정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공립학교와 달리 사립학교에 대해서는 혁신의 과정에서 더 많은 자율성이 부여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개혁의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필리핀과 미얀마의 학제개편 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육제도의 혁신을 위해서는 구상에서 실현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교육개혁을 위해서는 실제 이루어진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를 사전에 해소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ocess of academic reorganization in the Philippines and Myanmar. These two countries recently reformed thei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system to a 12-year system.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during the process of education reform. [Method]The process of change in the education reform was analyzed using Policy Cycle Theory. To analyze the policy,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publications, and research data. [Results]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reform process in the Philippines and Myanmar,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presented. First, the consultation process with stakeholders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resolve conflicts arising in the process of education reform. Second, unlike public schools, private schools need to be given more autonomy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Third,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reform,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Conclusion]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system reform process in the Philippines and Myanmar, it was found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to innovate the education system from conception to implementa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developing countries. In conclusion, for successful educational reform, policy efforts to solve problems in advance through actual case analysis will b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