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 취재관행 및 프레임 분석

        장수아,남재일 한국지역언론학회 2022 언론과학연구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the transgender representation method in Korean newspapers, focusing on ‘reporting practices’ and ‘frames’. The total articles analyzed were 695 and all transgender-related in the three newspapers, Kookmin Ilbo, Chosun Ilbo, and Hankyoreh Newspaper, for 20 years from 2001 to 2020. To analyze these articles, ‘the number of reporting’, ‘article length’, ‘article type’, ‘edited page’, and ‘sourcing’ were used to examine ‘reporting practices’ and for the ‘frame’ analysis, nine types were used - disease frame, religious sin frame, social confusion frame, sexual objectification frame, minority protection frame, social recognition frame, emphasis for public rights frame, social achievement frame, and victim fra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okmin Ilbo and the Hankyoreh Newspaper have shown the high interests in the terms of the number of reports, but the Chosun Ilbo has shown very little interest in transgender issues. As for the sourcing, while the Hankyoreh Newspaper used a lot of LGBTQ people and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the Kookmin Ilbo ha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anti-minority and religious groups. The tendency of sourcing in Chosun Ilbo was closer to the Hankyoreh Newspaper than the Kookmin Ilbo. The frame analysis result shows a similar pattern to the reporting practice analysis result. The Hankyoreh Newspaper has put high weight on opposing discourses such as minority protection frame, social recognition frame, emphasis for public rights frame, social achievement frame, and victim frame, while the Kookmin Ilbo has produced more predominant discourses such as disease frame, religious sin frame, social confusion frame, and sexual objectification frame. The Chosun Ilbo’s frame analysis results were ambiguous and had a lot of room for interpretation.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most prominent problem with the representation of transgender in Korean newspapers was still underrepresentation such as non-reporting. 이 연구는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 방식을 취재관행과 프레임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대상 기사는 <국민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 세 신문의 2001년부터 2020년까지 20년 간 트랜스젠더 관련 기사 695건이다. 취재관행 분석유목은 보도량, 기사길이, 기사유형, 게재면, 취재원 등 5개이고, 프레임 유형은 질병 프레임, 종교적 죄악 프레임, 사회 질서 혼란 프레임, 성적 대상화 프레임, 소수자 보호 프레임, 사회적 인정 프레임, 공적 권리 강조 프레임, 사회적 성취 프레임, 피해자 프레임 등 9개다. 분석 결과, <국민일보>와 <한겨레>는 보도량에서 관심도가 높았지만, <조선일보>는 보도량이 매우 적어 트랜스젠더 사안에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원의 경우, <한겨레>가 성소수자 당사자와 관련 인권단체를 많이 이용하는 반면 <국민일보>는 반성소수자 단체와 종교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조선일보>의 취재원 이용 경향은 <국민일보>보다 <한겨레>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임 분석결과는 취재관행 분석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한겨레>에서 소수자 보호 프레임, 사회적 인정 프레임, 공적 권리 강조 프레임, 사회적 성취 프레임, 피해자 프레임 등 대항담론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반면 <국민일보>는 질병프레임, 종교적 죄악 프레임, 사회 질서 혼란 프레임, 성적 대상화 프레임 등 지배담론이 더 많았다. <조선일보>는 프레임 분석결과가 모호하고 해석의 여지가 많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국 신문의 트랜스젠더 재현의 가장 두드러진 문제는 무보도 등 과소재현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체 개발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구축 유인 분석

        장수아,김상택 정보통신정책학회 2018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5 No.4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effectively reduces delay and enhances network performance in data transmission by distributing content from the nearest cache server to end users. In 2016, over one half of all internet traffic was carried by CDNs. In particular, much CDN traffic was delivered by private CDNs (or self-provisioning CDNs), built by content providers for their own use. Although self-provisioning CDNs dramatically improve data transmission speed and service quality, not all large content providers follow their competitors in building their own CDN servers. This study examines theoretically the existence of an asymmetric equilibrium in which one content provider builds a private CDN while another content provider maintains a preexisting server far away from end users. Our results show that when a first-mover builds a private CDN in the market, the follower will not build a CDN server if this would lead to an insufficient improvement in the speed of service.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the asymmetric equilibrium is inefficient since some content users experience slow service.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는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였을 때 요청자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캐시 서버(cache server)가 반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가 장거리를 오가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최소화한다. 그중에서도 콘텐츠 공급자가 자신의 데이터만을 처리하기 위하여 구축한 자체 개발 CDN(private 또는 self-provisioning CDN)은 오늘날 네트워크 시장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경제학적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체 개발 CDN을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형 콘텐츠 공급자는 자신의 경쟁자들과는 달리 CDN 서버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고, 경제 이론적으로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미 자체 개발 CDN으로 시장을 선점한 경쟁자가 존재하고 개별 CDN을 구축함으로써 개선되는 서비스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다면 후발주자는 CDN 설치를 포기하게 되는데, 이는 사회 후생의 관점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용자들이 자신의 선호와 일치하지 않는 콘텐츠를 소비할 때 느끼는 비효용이 커지면 후발주자도 CDN을 설치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의 비교 연구

        장수아,김윤영,박원희,이영수,Jang, Soo-Ah,Kim, Yoon-Young,Park, Won-Hee,Lee, Young-S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3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금속도재관과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제1대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교합면 1.5 mm, 변연은 1.0 mm 폭의 rounded shoulder로 하고 축면 경사각이 $6^{\circ}$가 되도록 삭제하여 금속 다이 64개를 제작하였다.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ZIRKONZAHN CAD/CAM을 이용하여 Prettau zirconia blanks를 절삭하여 48개의 크라운을 제작하고 교합면 교두정의 두께에 따라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1.0 mm). 16개의 금속도재관을 제작하여 교합면 교두정 도재의 두께에 따라 2개 군으로 분류하였다(1.0 mm, 1.5 mm). 완성된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금속도재관은 만능시험기 상에서 치아 교합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하도록 하여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와 t-test (${\alpha}=.05$)로 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 1군은 가장 낮은 값(646.48 N)을 나타내었고(P<.05), 실험 2, 3, 4, 5군은 교합면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파절강도는 증가하였지만 (866.40 N, 978.82 N, 1196.82 N, 1222.41 N)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실험 6군은 다른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값(1781.24 N)을 나타내었다(P<.05). 2. 대조군의 파절강도는 도재의 두께가 1.0 mm와 1.5 mm일때각각2515.71 N, 3473.31 N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결론: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대구치부에서 최대교합력보다 높은 파절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1.0 mm이상의 두께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 of traditional metal-ceramic crowns and full zirconia crowns according to the occlusal thickness. Materials and methods: A mandibular first molar resin tooth was prepared with 1.5 mm occlusal reduction, 1.0 mm rounded shoulder margin and $6^{\circ}$ taperness in the axial wall. Duplicating the resin tooth, 64 metal dies were fabricated. 48 full zirconia crowns were fabricated using Prettau zirconia blanks by ZIRKONZAHN CAD/CAM and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occlusal thickness (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1.0 mm). 16 metal-ceramic crowns were fabricated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occlusal porcelain thickness (1.0 mm, 1.5 mm). All crowns were cemented on each metal die and mounted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load was directed at the functional cusp of each specimen until catastrophic failure occurred. One-way ANOVA,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 and t-test (${\alpha}=.05$)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est 1 group (646.48 N) showed the lowest fracture strength (P<.05), and the value of the test 2.3.4.5 groups (866.40 N, 978.82 N, 1196.82 N, 1222.41 N) increased as thickness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with the groups (P>.05). The value of test 6 group (1781.24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P<.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fracture strength of metal ceramic crowns according to occlusal porcelain thickness 1.0 mm (2515.71 N) and 1.5 mm (3473.31 N) (P<.05). Conclusion: Full zirconia crown needs to be 1.0 mm or over in occlusal thickness for the posterior area to have higher fracture strength than maximum bite force.

      • KCI등재

        상업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서버 위치 결정에 관한 분석

        장수아,김상택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0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6 No.2

        By distributing multiple cache servers, content delivery network(CDN) reduces latency in data transmission and enhances quality of experience of Internet users. Many studies argued that server placemen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determinants of CDN performance, but only few economic studies had been done regarding to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empirical economic analysis for commercial CDN firms' strategic cache server location choice to verify the intuitions about server distribution determinants. A simple logit model is used for the estimation with some reasonable assump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DN firms are likely to distribute cache servers in a country with low user-perceived internet performance, but not on a site with slow absolute connection spee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cost reducing effect of internet exchange points overwhelms the competition effect among CDN firms.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란, 콘텐츠 복사본이 저장된 서버를 분산·설치하고 요청에 따라 가장 근접한 지점에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인터넷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오늘날 절반 이상의 인터넷 트래픽이 CDN으로 운반되는 만큼 CDN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인 서버 배치 관련 논의가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이에 대한 경제학적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체계적으로 수집된 바 없는 상업 CDN 기업의 국제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선행 연구들의 직관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기업의 서버 구축 유인을 설명하는 요인이 국가의 절대적 인터넷 속도가 아닌 사용자 체감 속도임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업자와 동시에 연결 가능한 인터넷 연동 지점의 서버 호스팅 비용 절감 효과가 동종 사업자의 집결에 따른 경쟁 효과를 상쇄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그 외에도, 국가 및 기업별 특성이 상업 CDN 기업의 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와 연계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 내 범죄예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연구

        장수아 ( Jang Su A ),반영환 ( Pan Young Hwan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3

        대마 관련 범죄가 증가하는 가운데 경상북도 안동시가 경북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특구의 목적과는 달리 종자를 남용하는 사례가 발생해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의 범죄 예방을 위한 서비스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현장조사(Field Research),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 쉐도잉(Shadowing)과 같은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해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의 범죄 발생 3요소(주체, 내부 환경, 작물 특성)를 정의했으며, 5가지의 서비스 핵심이슈를 도출하였다. 이후, 도출된 핵심이슈를 바탕으로 아이데이션 워크숍(Ideation Workshop)을 진행하고 그 결과로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의 범죄예방 3요소(구조, 시스템, 운영)와 각 요소에 따른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과 밀접 이해관계자를 바탕으로 시행된 최초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의료용 대마 재배시설의 표준 운영방안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Andong City, Gyeongsangbuk-do was designated as Industrial Hemp Regulation Free Special Zone. However, There is a case of abuse of seeds, raising concer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rvice design for crime prevention of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facilities. In this study, three factors(Criminal, Internal Environment, Plant characteristics) of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facilities were defined by using service design methodology such as Field Research, Contextual Interview, and Shadowing, and five core issues were derived. After that, based on the core issues, Ideation Workshop was conducted. As a result, Three factors of crime prevention(Structure, System, Operation) and solutions of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facilities were defined and solutions were designed according to each fact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conducted based on actual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facilities and close stakeholder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designing standard operation plan of medical cannabis cultivation facil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수면 문제 선별 질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불면증상을 중심으로

        이주열,최선우,신현경,석정호,장수아 대한수면의학회 2023 수면·정신생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불면증상 뿐만 아니라 과다수면, 하지불안증후군을 포함하여 수면 문제를 포괄적으로 평가 하기 위한 수면 문제 선별 설문지(Sleep Problem Screen¬ing Questionnaire, SPSQ)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불면증상(SPSQi), 과다수면(SPSQh), 하지불안증 후군(SPSQr)의 세 가지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SPSQ를 개 발하였다. 다음으로, 불면장애 임상군 222명 및 건강군 78 명을 대상으로 SPSQ와 비교 척도인 불면증 심각도 척도 (Korean version of Insomnia Severity Index)를 진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Q는 수용할만한 내적 일관성과 수렴·변별 타당도를 보여 수면장애의 측정에 타당한 도구로 평가되었 다. ROC curve 분석 결과, 불면장애의 임상적 유의미성 판 단을 위한 절단점은 SPSQi 6점,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0.94, 0.96이었다. 해당 연구결과는 SPSQ가 일반 성인 인구의 수면 문제를 선별하는데 있어 신뢰할 수 있고 유효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단, 하지불안증후군 및 과다수면 관련 척도와 비 교 검증이 수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해야겠다.

      • KCI등재

        경도인지장애 선별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인지기능평가의 개발: 예비 연구

        강민재,이은,석정호,노현웅,손상준,채헌주,최선우,장수아,김우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2 신경정신의학 Vol.61 No.3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known to have a high rate of progression to Alzheimer’s diseas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MCI are of great interest in psychiatric and socioeconomic aspects. There are various screening tools for MCI, but thei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ry greatly. This study assessed the usefulness of virtual reality (VR) neurocognitive tests as an assessment tool for neurocognitive function deficit in MCI. Methods Both VR neurocognitive tests and conventional neurocognitive tests, including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 and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SNSB), were conducted, and 21 participants completed the tests. The test results of the MCI and normal groups were compared,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R neurocognitive tests and SNSB were examined. Results The mean VR neurocognitive test total score of the MCI participa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participants (30.0±1.0 vs. 36.9±6.4; p<0.0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NSB, MMSE, and MoCA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VR neurocognitive total sco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MMSE, MoCA, and SNSB total scores (r=0.61, r=0.54, r=0.50, respectively; p<0.05). The scores of the subdomains of VR neurocognitive tes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ose of MMSE, MoCA, and subdomains of SNSB, with VR executive function and visuospatial function score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SNSB executive function (r=0.46; p<0.05) and visuospatial function (r=0.60; p<0.01) scores,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at the VR neurocognitive test can be a feasible and realistic tool for assessing the subtle but complex cognitive deficits in MCI, emphasizing spatial reasoning and executive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