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의 제조 및 물성

        장송이(Song Yi Jang),김대수(Dae Su Kim) 한국고분자학회 2015 폴리머 Vol.39 No.1

        셀룰로오스는 그린 복합재의 보강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용융혼합 및 압축성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셀룰로오스의 계면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말레산 무수물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MAPP)을 사용하였다.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만능재료시험기와 아이조드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TGA와 DSC를 사용하였다. 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한 복합재의 파단면 관찰 결과 MAPP가 폴리프로필렌/셀룰로오스 계면결합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셀룰로오스 함량 대비 MAPP의 함량이 3 wt%일 때 복합재의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이 최고치를 나타냈다.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충격강도는 감소하는 반면 인장강도와 인장탄성률은 증가하였다. Cellulos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potential reinforcements in green composites. In this study, polypropylene (PP)/cellulose composites were prepared by melt-blending followed by compression molding. To improve interfacial bonding between PP and cellulose, maleic anhydride-grafted polypropylene (MAPP) was us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P/cellulos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UTM and izod impact tester. Thermal properties of the PP/cellulose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TGA and DSC. SEM images for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composites showed that the MAPP was effective in improving PP/cellulose interfacial bonding.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the composite were maxima when MAPP content, based on cellulose content, was 3 wt%. With increasing cellulose content, the impact strength of the composites decreased but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increased.

      • KCI등재

        분류 활동을 통한 직각삼각형 개념 지도에 관한 연구

        노은환,김정훈,강미정,신한영,장송이,Roh, Eun Hwan,Kim, Jung Hoon,Kang, Mi Jeong,Shin, Han Young,Jang, Song Yi 영남수학회 2018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4 No.4

        The researchers set up a research question to find out how to teach the concept of a right triangle through classification activities after listening to the conversations of fellow teachers about the recently revised textbooks. First, a questionnaire was created to confirm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proble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offlin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me of the respondents. As a result, it confirm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research study about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curriculum called 'student participation centered' and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learning objective'. Then, we analyzed the critical interpretations used in the third grade math textbook Lesson 2. 'Plane Figure' part 4 and 5. Finally,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analysis and textbook analysis, we proposed two learning methods which can link the triangle classification activity and the right triangle concep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obtained suggestions that a teaching should be made regarding that the classification proces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and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ewpoin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인식 및 지식 개선을 위한 치매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강현민(Hyun-Min Kang),장송이(Song-Yi Jang),홍미영(Mi-Young Hong)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3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에 대한 노인의 인식 및 지식을 조사하고 치매교육 프로그램 전, 후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충청북도 E군 노인회관을 이용하는 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치매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교육 전과 후의 질문지 점수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치매인식에 대한 사전 점수는 3.02이었고 사후 점수는 평균 3.44로, 0.42점 향상되었다. 치매 지식에 대한 사전 점수는 3.70이며 사후 점수는 5.70로, 2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치매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과 지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임상적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임상에서의 치매노인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knowledge of dementia among the elderl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0 elderly individuals using the Senior Community Center in E City, Chungcheongbuk-do. A dementia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and after the program concluded, the scores from questionnaires take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re-test score for dementia perception was 3.02, and the post test score increased to an average of 3.44, showing an improvement of 0.42 points. For dementia knowledge, the pre test score was 3.70, and the post test score increased to 5.70, showing an improvement of 2point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evidence in developing effective dementia education programs that can positively change the perception of dementia among the elderl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practical program developmen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individual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will be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