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沈大允의 『儀禮正論』, 『喪服』편에 대한 연구

        장병한(Jang, beoung-ha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Sim Dae-yun(1806〜1872)’s basic position on Chinese classics is to embrace the spirits of worshiping and respecting the monarch. He, however, maintains the position that Three Rites cannot be accepted as the saint’s scriptures. In 1872, a few months before he died, he wrote the Right Interpretation of Book of Rites, The Right Theory on Rites, and Criticism on the Rites of Zhou, with the attachment of truth and falsehood comments thereto, as well as his own right interpretation, right theories and criticism. Regarding the classical text and quotations (the Zixia Chapter) in the Right Theory on Rites and Mourning Clothes, he argued about truth and falsehood, and added his comments thereto, and that is the Right Theory. Sim Dae-yun’s Right Theory discusses the author’s position on mourning clothes as follows. First, the rite system should be set up according to the times’ customs. Second, mourning clothes should be convenient and cost-effective. Third, the period for wearing mourning clothes and the mourning clothes system should not be distinguished between men and women. Fourth, the king’s and his subjects’ limitations should be strictly applied, and public and private things should be distinguished. Fifth, there should be distinction between the legitimate child and the child of a concubine, and between the eldest son of the head family and the commoner. This spirit of Sim Dae-yun’s Uirye jeongnon is deemed to be a bridge in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system of subsequent 20th century early modern and modern rite studies, namely, non-class, practicality, usefulness, and simplicity.

      • KCI등재

        간재(艮齋) 문하(門下) 용암(勇菴) 김사우(金思禹)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 간재학의 계승과 극복의 `일리(一理)`적(的) 체용심성론(體用心性論)을 중심으로 ―

        장병한 ( Jang Beoung-ha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5 No.-

        勇菴 金思禹(1857-1907)는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간재의 高足 弟子이다. 용암의 現實의 憂患意識 및 學者的 處世觀, 그리고 華夷論과 異端 批判 및 그 對應論은 대체로 스승 간재와 함께 보조를 취하여 계승하는 입장에 서고 있다. 특히 이단 배척에 있어, 용암은 당시 `心卽理`설을 주장하고 있는 한주학파와 心을 理로 주장하려는 즉 主心家들인 화서학파와 노사학파들의 설을 이단 학설로 규정하고 비판한다. 반면 正學은 스승 간재의 `心本性`학과 주자학과 율곡학을 대두시켜 계승 발전시킬 것을 맹서한다. 그런 반면 용암은 知覺, 知識, 三達德설을 비롯한 심성리설에 있어서는 스승 간재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고 자득의 이론을 제안한다. 간재 역시 이들 문제에 대한 용암의 견해에 대해 심각한 병통의식으로 고민한다. 용암은 당시의 도술분열의 관건이 되고 있는 즉, 리기심성의 主從·師弟·尊卑의 관계성 논리의 대안으로 經緯·體用論을 제안한다. 존비와 주종관계는 優劣의 논리에 기인하고 있지만 체용논리는 그러한 우열의식을 다소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一理字`上의 經緯·體用論을 제안한다. 이렇게 되면 華西의 `本心卽理`설의 理, 蘆沙의 `理尊無對`의 理, 寒洲의 `心卽理`의 理를 동시에 모두 어느 정도 섭용하는 가운데, 자파의 심본성설에도 크게 위배되지 않기 때문이다. 요컨대 주자 `性卽理`學의 근원지인 `一理`學으로 歸敬하여 대동적 사상 통일을 구현해 보자는 것이다. 그런 한편 용암은 자신의 자파인 간재학의 `性師心弟說`, `性尊心卑說`, `心本性說` 역시 당면한 시대와 현실에 부응하기에는 많은 한계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직시하고 간재선생에게 합일점을 찾기를 충언한다. 그래서 그는 간재 선생과의 논의를 통해, 心의 중요도를 약화시키기 위해 誠의 중요도를 강조하는 가운데, `性體道用`論과 `達德(道之體)·達道(性之用)論 및 `誠本道用`論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선생이 삼덕이 心의 用이라는 주장에 대해, 용암은 주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三德卽性(理)之同`이라고 하여 理(性)學으로 귀결시키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용암의 `理`一字上의 經緯·體用論的 理心性說의 展開는 30년간 스승 간재 師門에서 듣고 배운 과정을 통해 일생동안 參究하고 思索하며 考驗하는 것에서 自得한 것이다. 이러한 용암의 이기심성설의 자득론은 당시 일제 강점기 바로 직전의 심성설 논쟁으로 인한 학파 분열을 理學으로 통일 귀속시켜 제국주의의 침략과 일본의 침탈에 항거하는 지침 즉, 大一統의 大同的 民族主體 思想에 근간하고 있다는 것에서,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당시 國亡의 克復을 위한 용암의 이와 같은 憂國衷情의 정신체계를 미래의 통일을 위한 指南處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Yongam Kim Sa-u(1857∼1907) was the principal disciple of Ganjae who is not known to the academia to date. His Virtue Establishment and Deep Learning are evaluated as the pillar of the academia, and the cream of the Confucian scholars. Yongam`s concerning mind of the reality, his scholarly worldview, his criticism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the Civilized and Barbarians, and response theory generally keep abreast with his master Ganjae, and inherit them. Yet, in relation to his master Ganjae`s worldview, Yongam did not hesitate to present counsel and advice, and vowed to consolidate mutual ties among his scholarly colleagues to respond to the times and thoughts. Yongam was deeply concerned about the then problem of the Techniques of the Way being divided. The division of schools and political parties led to the division of the state`s public opinions and the weakening of the state power, eventually to the fall of the state due to external powers. Thus, Yongam asked his master Ganjae to unify thoughts. Yet, he developed his philosophy and reasoning and acquired this learning from 30 years of the studies with his master Ganjae, as well as from self-study, thinking and experience. Such self-acquisition theory of Yongam is based on the guideline under which, prior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division of studies due to arguments about the Mind theory is unified into the reasoning studies so as to resist the imperial invasion and Japanese deprivation of Korea, making it significant. We should take Yongam`s patriotic mentality for overcoming the state`s difficulties as the guideline for our future unification of Korea.

      • KCI등재

        茶山 丁若鏞의 佛敎詩에 관한 一考察* 1) - 現實 世界의 幻化的 認識과 脫俗淸眞의 詩世界를 중심으로 -

        장병한(Jang Beoung-ha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다산의 佛敎詩 創作의 背景에는 現實 世界에 대한 幻化認識이 자리하고 있다. 말하자면 모든 세간의 존재하는 사물은 假工된 것으로의 幻化物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다산은 이러한 세간의 無常함에 대해 절망 하거나 부정적으로 흐르지 않고 오히려 불가의 無爲的 空性(空囊)이 유가의 作爲的 括囊보다 나은 이치임을 현시한다. 그러면서 다산은 창작 주체인 시인은 세속의 塵滓를 깨끗이 하여 그 淸眞함을 일으켜 시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와 같은 경지에 이른 시인으로 과거 陶淵明, 杜甫, 賈島, 仲殊(호 蜜殊), 思聰(자 聞復), 王維(자 摩詰), 白居易(자 樂天)를 들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다산은 詩와 眞如 즉 시인의 自性淸眞의 정신세계는 둘(二)이 아닌 하나(一)라는 것을 강조하다. 요컨대 청진한 시는 곧 시인 자신의 淸淨自性의 진여를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시와 진여는 둘이 아닌 하나라는 것이다. 다산의 불교시 이론체계와 작품에는 眞如·不二·淸眞·平等· 無爭의 詩的 美學이 주요하게 자리하고 있는 가운데, 대체적으로 幻化認識 ⇛脫俗의 追求⇛自覺(自悟)의 境地⇛淸眞의 詩的 形象化의 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다산의 불교시 세계에는 불교 경전 능엄경의 五陰幻妄과 如來藏 妙眞如, 대승기신론의 一心二門(眞如門,生滅門), 반야경의 空, 유마경의 不二 사상이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특히 다산의 현실 세계에 대한 幻化的 인식과 淸眞의 시세계의 지향은 혜장 아암의 중도적 자연 순리를 통한 眞의 탐구의 시세계와 맥이 닿고 있다. 그리고 사물 각각 자체가 淸淨해지면 자연적으로 天趣을 證得할 수 있기 때문에 유가와 불가는 다툴 필요가 없다는 즉, 유·불간의 和會의 노력은 연담 유일의 一心和會思想에 맥이 닿고 있다. 위와 같은 다산의 불교시 세계는 기존의 그의 유가적 풍모의 시세계인 愛國憂民과 傷時憤俗 및 致君澤民, 그리고 구체적 현실의 실용성과 실천성 에 기반한 실학적 시세계와는 또 다른 차별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내고 있다. 게다가 무엇보다 다산의 ‘詩卽眞如’論은 19세기 전·중반기 申緯(1769〜 1845)와 金正喜(1786〜1856)가 중심이 되어 제시하였던 禪과 詩가 하나라는 즉, ‘禪詩一致論’의 전개 과정과는 또 다른 佛敎 詩作의 美學的 이론 체계를 제시하고 있다는 것에서, 19세기 불교 시문학사에서의 적지 않은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Dasan s awareness of the real world, which could be the background to his creation of Buddhist poems, is roughly based on the Buddhist scripture Banyagyeong, understands all things in the world as no real things, fabricated things, or illusioned beings. Dasan, however, is not disappointed or does not negate such a world, and overcomes through the Buddhist middle-road emptiness truth, a belief of all things returning to emptiness. Yet, he embodies his out-of-the-world ideal theory, Buddhist middle-road emptiness truth system, in his poetry through his poetic imagination. In other words, clean and clear poems are Tathātā (truthfulness) of the poet s own nature of being clean and clear, so he insists on poetry and Tathātā being not the two but one. The poetic aesthetics of cleanness, clearness, truth, equality, and not being the two are considered the major part of Dasan s poetry theory and poem imagining based on Buddhist Zen performance. As such, Dasan s aesthetics are considered depending on Buddhist scripture Neungeomgyeong  s Five Skandhas and Illusions and Tathāgatagarbha sūtras true suchness, Daeseunggisillon(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s One Heart Two Gates (thusness, gate of life and destruction), Banyagyeong s emptiness, andYumagyeong s thought of not being the two. In particular, Dasan s theory of ‘poetry being equal to Tathātā shows yet another aspect different from the first-half 19th-century Sin Wi and Kim Jeong-hui-led discussion of Zen and poetry being one, suggesting that he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Korean history of Chinese classical poetry.

      • KCI등재

        승조(僧肇)의 ‘범부(凡夫)의 육신(肉身)과 대승(大乘) 불(佛)ㆍ보살(菩薩)의 법신(法身)’론(論)에 관한 연구(硏究) - 승조 선(選)『주유마힐경(注維摩詰經)』의 주해(註解)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

        장병한 ( Jang Beoung Han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7

        승조의 법신론은 스승 구마라집의 비유비무(非有非無)의 중도 실상, 무자성의 공(空), 무상(無相)·무위(無爲)론을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승조의 법신론에는 이전 붓다 중심의 생신과 법신이라는 2신설 구도를 벗어나 세간 범부의 육신과 출세간의 대승 불·보살의 법신이라는 2신설로 전환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범부의 육신은 대승의 법신에 의해 구제되어야 하는 것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승조의 불·보살의 대승 정신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마라집의 불신론은 초기 대승불교의 2신설에서 중기 대승불교의 삼신설로 발전하는 중간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승조 역시 이의 연장선에서 법신·응화신·보신의 삼신설을 더욱 확장하여 짙게 드러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여기에서 법신은 삼계를 초월해 있는 것으로, 또 응신과 화신은 법신의 방편으로서의 몸으로 중생의 구제를 위해 일시적으로 세간에 드러내고 있는 것에 비하여, 보신은 삼계에 두루 퍼져있으면서 모든 육정의 작용에 의해 생긴 번뇌에서 일어나 분별의 상을 짓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또한 대승 방편으로서의 응신과 화신에 비교하여 보신이 오히려 폄하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승조는 ‘깊은 뜻을 담고 있는 경전’ 즉 ‘심경’을 대승의 불신이며 법신이라고 주장하여, 대승의 방등경을 공(空)·무상(無相)·무작(無作)·무기(無起)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또한 구마라집까지의 법신과 색신의 2신설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강력한 법신 중심의 불신론을 제안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할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은 당시 남쪽의 여산 혜원이 불변하는 법체가 항상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는 상반된 것이어서 더욱 주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5세기 전후의 법신론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Sengzhao's theory of Buddha-body is characterized by shedding the previous structure of the two-body theory of Buddha-centered Born-Body and Dharmakaya, and then shifting to the two-body theory of the normal physical body of an ordinary man and the supra-mundane world‘s Dharmakaya of Buddha & Bodhisattva of the Mahayana. With such a change, concrete theories have yet to be established, but terms such as Sambhogakaya and Nirmanakaya and Transformation-body are found to be frequently used. Here, in particular, Nirmanakaya and Transformation-body do not make formulation(無作相) and discrimination(無分別), thus have a planar structure like Dharmakaya which has transcended the three realms (Kama-dhatu, Rupa-dhatu, and the realm of formlessness). Meanwhile, Sambhogakaya remains in the three realms and has accumulated karma yet, thus bing disparaged as making discrimination (分別) and formulation(作相). And, Mahayana Bodhisattva in a higher class than the sixth stage of cultivation(六住) has entered the position of Dharmakaya, and has gained true mind of no-hindrance(無?), and wisdom of mind with tranquility, thus entering and remaining in samadhi permanently. If Kumarajiva's view of Dharmakaya has been in the intermediate phase between the two-body theory of early Mahayana Buddhism and the trikaya theory of middle Mahayana Buddhism, then the emergence of Sengzhao's theory of Dharmakaya and Nirmanakaya and Transformation-body is seen to follow the same orbit. However, to more accurately discuss the issues related to Kumarajiva's and Sengzhao's theory of Dharmakaya, it is necessary to make an in-depth comparison and observation of their notes in the annotations on the Vimalakirti sutra.

      • KCI등재

        사상 : 심대윤(沈大允)의 『예기(禮記)』 "구설(舊說)"과 "신주(新注)"에 대한 변정(辨正) 의미(意味) -심대윤의 『예기정해』 「단궁(檀弓)」편의 분석(分析)을 중심(中心)으로-

        장병한 ( Beoung Han J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2 No.-

        심대윤은 조선의 『예기』 연구에서 전례 없을 정도로 전편 원문에 걸쳐경문과 비경문을 분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관학의 중심에 있었던‘구설’과 ‘신주’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비판을 통한 변정을 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구설’인 鄭(玄)註·孔(潁達)疏’가 선왕의 예를 奇異하고 奇詭한 것으로 만들어 예가 인간의 常情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며, ‘신주’인 陳澔의 『예기집설』이 道를 奇異한 것으로 인식하여 인간의 常理와 常道가 虛荒한 것이 되었다고 진단한다. 이에 그는 ‘舊說’을 인용하고 “이는 聖經의 뜻에 어긋나서 근거가 없는 말이다.(背經而無據矣)”,신주인 진호의 『예기집설』을 인용하고 “이 설은 잘못되었다.(此說非也)또는 이 설은 거짓이다(此說妄也)”고 하여 강도 높은 비판과 함께 전면적인 변정을 전개하고 있다. 아울러 『예기집설』의 제가설인 方氏ㆍ吳氏ㆍ氏ㆍ胡氏등에 대해서도 일면 수용하는 가운데 강도 높은 비판의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전의 조선시대 『예기』 연구에서는 부분적으로 ‘구설’과 ‘신주’에 대한 비판과 수용이 있었지만, 심대윤과 같이 전편에 걸친 비판과 변정을 가한 학자나 시대는 없었다. 요컨대 조선시대 『예기』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던 권근의 『예기천견록』은 주자학의 이념에 입각하여 진호가 미흡하게 드러냈거나 또는 잘못 드러낸 주희의 견해를 바로잡는데 치중하였고, 이어 최석정의 『예기류편』 역시 진호가 주자학적 맥락에서 『예기』를 주석하면서도 편장 체제에 반영하지 않았던 것을 보완하려는 의도즉, 일종의 주자학적 예학론에 기초하고 있으며, 김재로의 『예기보주』는 주희의 예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가운데 『예기집설』의 주석들에 불분명하게 나타난 주자학적 맥락을 명확히 드러내려는 작업이 전면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19세기 중반 심대윤과 동시대에 살았던 性齋許傳(1797∼1886)은 당대 관료 학자로서 퇴계 학맥에 닿아 있으면서 南人近畿實學派의 학통을 계승하여 眉嫂許穆(1595∼1682)과 星湖李瀷(1681∼1763) 등의 조선 후기 실용적 학풍을 이어가고 있었는데, 그 역시『禮記』 연구는 대체로 理氣論적 철학적 분석에 입각한 해석, 古禮(古經)를 회복하고자 하는 관점과 태도를 가지는 것, 聖學의 목적을 성취하기위한 방법으로서 예의 중시 등이 중심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이전 『예기』의 漢儒저작설과 牽强附會論과 같은 것에 동의하지 않고 오히려 『三禮』를 古經으로 인식하였다. 위의 조선 『예기』 연구자들과는 달리, 少論으로서 하곡의 양명학적전통을 일면 계승하고 있는 심대윤은 『삼례』의 古經에 대한 不信的態度, 經文과 非經文의 변별 시도, ‘구설’과 ‘신주’에 의한 선왕 예의 變質ㆍ變色주장, 修己治民으로서의 예학적 가치관 정립, 人道ㆍ人禮ㆍ人情에 기반한 日常的行爲로서의 禮觀, 大夫·士·庶人에서의 동일한 예제 적용 강조, 예 적용에서의 유연성과 변통성의 필요성 강조, 공자ㆍ증자ㆍ자사를 비롯한 주변 親人들의 예관 辯護을 통한 유학의 도통 정립 등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 『예기』『단궁』의 ‘구설’과 ‘신주’에 대한 변정에서 드러난 심대윤의 예학적 특징 즉 ‘人卽禮’, ‘道卽禮’, ‘常卽禮’, ‘情卽禮’ 등은 19세기 이전성리학적 질서 체제에서의 예학관인 ‘理卽禮’, ‘天卽禮’, ‘性卽禮’, ‘聖卽禮’와는 많은 부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측면에서, 한국 예학사에서의 그 의미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겠다. Sim Dae-yun``s thoughts on the study of rites, which are shown in his discussion on the old annotation and new annotation of Tangong of The Book of Rites, are found to be much different, in diverse aspects, from the rites system of Heo Jeon who was a contemporary of Sim Dae-yun in the mid-19th century and who inherited Toegye``s authentic academic tradition. In the study on The Book of Rites, conducted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Jeon as a member of Namin School, who inherited Toegye``s s academic tradition, The Book of Rites was analyzed generally based on the rational theory and philosophical viewpoints, on the viewpoint and attitude of restoring ancient rites (ancient scriptures), and on regarding the rites as important as a mean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acred Book.*69)On the other hand, found in the study on The Book of Rites, conducted by Sim Dae-yun, who inherited the tradition of Hagok``s Wang Yangming``s study as a member of Soron School were the mistrustful attitude about the ancient scriptures on the Three Rites, an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scriptural texts and non-scriptural texts, argument over the previous kings`` distortion of rites by old annotation and new annotation, the establishment of rite values through the practice of self discipline and governing the nation, the viewpoint on rites as ordinary acts based on the human way, human rites, and human sentiments, the emphasis on applying the same ancestral rites in all classes of people, including nobility, scholars and grassroots, the emphasis on the need of flexibility and changeability in applying rites, and the defending of the viewpoints of rites, held by respectable figures including Confucius, Zengzi and Zisi. The rite characteristics of Sim Dae-yun``s discussions on the old and new annotation of Tangong of The Book of Rites - which include "humans are right the rite," "morality is right the rite," "routines are right the rite," and "sentiments are right the rite" - are much different from the pre-19th century Neo-Confucian order system``s viewpoints of rites which embrace "Reasoning is right the rite," "Heaven is right the rite," "Character is right the rite," and "Sacredness is right the rite." As such, Sim Dae-yun``s viewpoint is profound in Korea`` history of rites.

      • KCI등재

        僧肇 選 『注維摩詰經』, 「弟子品」에 대한 연구

        장병한(Jang Beoung Ha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7 道敎文化硏究 Vol.47 No.-

        중국 5세기 초기에 저작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僧肇 選 『注維摩詰經』, 「弟子品」에서의 승조 주해에서, 특히 승조의 小乘 批判을 통한 大乘 讚揚의 전개 논의에는 중국 전통의 老莊과 유가 『주역』의 사상체계가 일정 부분 섭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도의 대승가이며 그의 스승인 구마라집의 주해 역시 일정 부분 引據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後秦 5세기 초, 구마라집은 대승불교의 모체인 『般若經』과 용수의 中觀계열의 論書를 傳譯하고 강설하여 般若 中觀사상의 正法性을 일깨워 대승사상을 전파하는 데 힘쓰고 있었다. 그가 중국에 오기 전까지 중국의 불교도들은 대승과 소승불교에 대한 인식이 확실치 않았으며, 대승의 空사상에 대한 이해 또한 명확치 못했다. 이때 승조는 스승 구마라집의 인도 대승의 제법 실상론을 계승하는 동시에 중국 전통 유가와 도가의 사상체계를 섭용하여, 소승 비판을 통한 중국의 창의적 대승불교 정신을 정립 확산하였다. 그래서 그는 인도의 대승 사상을 정립한 용수와 이를 계승 발전시킨 구마라집의 般若·空·中觀·諸法實相의 대승 사상체계를 수용하는 가운데, 중국의 전통 사상으로서 당시에 三玄學으로 손꼽히는 노자의 『도덕경』과 莊周의 『莊子』 및 유가의 『周易』에 담지되어 있는 대승적인 논의들을 그의 소승 비판을 통한 대승 실상론의 전개에 일정 부분 攝合하여 활용하였다. 특히 승조는 『莊子』의 ‘枯木死灰’의 수양론을 사리불의 소승 좌선법에 비유하며 비판하는 반면, 老子 『道德經』의 ‘和光同塵’의 수양론을 유마힐의 대승적 좌선법에 비유하며 찬양하고 있다는 것과 『莊子』, 「齊物論」의 ‘天地一指’, ‘萬物一觀’, "萬物與我爲一"론을 섭용하여 대승 불교의 一指·一觀·一相의 정신에 기초한 즉, ‘平等正化法’과 莫二의 道(不二의 道)를 제안하고 있다는 것에서, 승조의 불교학에서 중국 전통의 노장사상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의 정도를 읽을 수 있다. 이에 승조의 『주유마힐경』에 함의되어 있을 그의 중국적인 불교 세계관에는 그의 천재적 저술로 일컬어지고 있는 즉, 조론에 못지않은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僧肇選『注維摩詰經』에 나타난 方便의 理解

        장병한(Jang, Beoung Han)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승조 選』주유마힐경』에 나타나 있는 ‘보살의 방편사상’과 관련하여, 佛道品의 “智度, 菩薩母, 方便, 以為父.”와問疾品의 “慧·方便의 有無와 縛·解의 關係”에 대한 ‘라집’과 승조의주해를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그럼에 있어 방편과 지혜의 의미 규정과 관계성에 유의하여 살펴보았다. ‘라집’은 인도의 전통 속에 머물러 있는 가운데, 여래지·불지와 보살의 無生忍(無生慧), 체(智度-어머니)와 用(方便-아버지), 소승의 自利적 방편과 대승의 利他적 방편, 세간의 법(有相의 慧)과 출세간의법(無相의 慧) 등에서 主從또는 上下관계의 原理가 주요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런 한편 해탈의 경계로서 칠주 이상(출세간의 법)과 육주 이하(세간의 법)로서 구분하지만, 육주 이하와 신학 보살에게도 세간의 법을 적용하여 해탈의 길을 열어 놓고 있다는 점은 특이하다. 그런 가운데 대승의 불법으로써 방편력과 신통력을 주요하게 제안하고 있으며, 인도 龍樹의 』十住毘婆沙論』의 難行道와 중도 사상도 강하게 계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승조는 지혜(內-어머니)와 권도(外-아버지)를 마음의 內外的인 平等構圖로 잡아가는 가운데, 부처와 보살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대승의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동행자로 보고 있다. 그리고 권도인漚和(아버지)와 般若인 지혜(어머니) 역시 相依또는 相卽의 관계로서 상호 필요한 평등구조를 기획하고 있다. 특히 승조는 소승적 二乘의 수행 체계를 해탈의 경계에서 제외하고 있는 한편, 보살과 중생의 同時·同行的인 대승적 해탈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그리고 六住이하의 보살은 有相의 행을 가짐으로 혜는 있으나 교방편이 없음으로 결박에 머무르고, 七住이상의 보살은 無相의 行을 가짐으로 혜행과 방편행이 구족하여 해탈에 머무를 수 있다. 그런데 六住이하의 보살에 대한 해탈 여부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The extant Seungjo s 10-volume』Commentary on the Vimalakīrti Sutra』(38 books) is the combination by a later-period scholar of single commentaries of scholars such as Gumanajip(344-413), Seungjo(384-414), and Chukdosaeng(?-434), Chukdoyung(?-?), who lived in the 4th to 5th centuries. The tome is the oldest commentary on the Vimalakirti Sutra, which later deeply influenced the Chinese Buddhism of Sanlun Learning and Tiāntāi Learning. In this regard, Seungjo proposes his position of thought to unify Buddha and the Great Bodhisattva s Way of Unimaginableness and Liberation, the Principle of Confucian Changes of Zhou, namely, the opening of the new civilization,and the Taoist truth of dim the radiance and mingle with the dust. Yet, he raises the two gates of means (power) and wisdom as the foundation of achieving the unimaginableness realm. Gumarajip names Buddha and Tathāgata s wisdom(wisdom, 10 Paramitas wisdom) as the Buddhist wisdom and Tathāgata wisdom, while naming wisdom of Bodhisattva as patience of non-production or wisdom of non-production (panna of 6 Paramitas), dualizing the thought. Meanwhile, Seungjo bases the numerous practices of 『Vimalakīrti Sutra’』on right(virtue, expedient means) and wisdom (panna of 6 Paramitas), regarding them as the master. He regards both Buddha and Bodhisattva as wisdom, the mother, and as the right, the father, and insists on achieving the Great Bodhisattva embracing First attain enlightenment through cultivation, then save all beings. In the meantime, Gumanajip sees the 7th-stageof- abiding or higher-ranking Bodhisattva as having wisdom of no-form, and bases the gates of wisdom and means on supramundane teachings, while seeing under 7th-stageof- abidingBodhisattva or Sinhak(新學)Bodhisattva as wisdom of true-form, and bases it on the worldly truth. In the meanwhile, Seungjo sees that under 6th-stage-of-abiding Bodhisattva have not yet mastered existence·non-existence with sincere hearts, and thus have no means, but can control their minds with three emptinesses (emptiness<空>·no-form<無相>·no-action<無作) and thus have wise acts. However, 7th-stage-of-abiding or higher-rankingBodhisattva are all equipped with the acts of means and wise acts, and thus can reach the realm of Nirvana, because their mind-wisdom istranquil, allowing them to accumulate virtues in an inactive state of mind, namely, due to the acts of no-form(無相)

      • KCI등재

        특집 1: 백운 심대윤의 문학과 사상 : 심대윤의 『례기정해(禮記正解)』에 대한 연구 -19세기 양명학적(陽明學的) 례학론(禮學論)의 한 특징(特徵) 파악(把握)을 中心으로-

        장병한 ( Beoung Han Jang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30

        심대윤(1806∼1872)은 당시 19세기 전·중반의 시기를 위기적 국면으로 진단하고, 그와 같은 위기의 원인처로서 이전 관학의 보호아래 정치와 사상의 중심에 있었던 鄭玄·孔穎達·朱熹·陳澔의 예설을 주목하였다. 요컨대 심대윤은 이들의 예설이 선왕의 禮와 道를 奇異한 것으로 變貌하게 함에 따라, 그만 예가 인간의 常情과 常理에서 멀어지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이에 선왕의 예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기존의 예설에 대한 變通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된다. 그는 공자의 禮觀에 基準하여 오직 옛 것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大同의 정치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君子에 의한 禮學의 變通政策이 요망됨을 先唱하였다. 심대윤은 이에 스스로 시대의 군자로 자처한다. 그래서 당시의 위기적 국면의 현실 타개책으로 기존의 禮經으로 崇仰視되어 온 『禮記』와 전통적 관학의 중심에 있었던 한·당·송의 예학 체계에 대한 변통을 試圖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그는 기존의 정주학적 예학론에 대한 비판과 해체를 통해 새로운 예학적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다. 즉 첫째, 禮는 人禮이며 人道이다. 둘째, 예는 實文이며 實利이다. 셋째, 禮制는 때에 따라 편리함을 선택한다. 위에서 본 바, 심대윤의 예학적 특징들은 기존의 한국 통치 이념과 예학의 중심에 있었던 정주학 계열의 游氏와 李氏, 주희 그리고 진호의 예설과는 많은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 한편 특히 심대윤 예학에 있어 實利와 文飾 및 便利의 강조, 仁의 조절성을 중요시 하는 등은 기존 하곡의 양명학적 예론의 특징 즉, 仁의 精神根幹, 從簡主義, 奢侈와 文飾의 拒絶, 實用과 實利의 重視등에 많은 부분 접맥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를 통해 19세기 심대윤의 학적 체계가 17~18세기 하곡의 학맥을 계승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있다. 그리고 심대윤의 예학 특징 가운데, 人民(農·工·商人)의 禮重視, 人情과 事理및 公利와 公益의 강조, 實文과 實利및 便利·常情·常理·多衆·公利·大同의 제시 등은 한국의 실학성과 근대성의 가치 지향에도 일면 편입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그의 예학사적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im Dae-yun saw the first and middle periods of then 19th century as a crisis situation, and paid attention to the rite theories - as the cause of such crisis - of Jeong Hyeon, Gong Yeong-dal, Ju Hwi and Jinho which took the center of politics and thoughts under the previous government schools. He indicated that the existing theories of rites by Jeong Hyeon in Han and by Gong Yeong-dal in Tang misled the earlier-time kings`` rites into being queer and strange, thereby leading rites to be distanced from people``s ordinary sensibilities. Also, SimDae-yun reported that the theories of rites by Ju Hwi in Song and by Jin Ho in Yuan misled the earlier-time kings`` way (rites) into being absurd, thereby leading rites to being distanced from people``s ordinary sensibilities. He thus diagnosed such distorted theories of rites as the cause of the then state crisis, and criticized and interpreted the rite theories in the Book of Rites and the Three Ritual Classics, as well as the Rite Learning of Han, Tang and Song, and proposed the then right new rite paradigm. He positioned people (farmers, engineers, and merchants) in the place of Heaven (sacredness), and positioned emotions (works) and profits in the place of nature and reasoning. He also boldly shed the position of falsehood and rhetorical embellishments, and instead embraced the spiritual world of practical literature and practical profits. Moreover, words, including convenience, ordinary sensibilities, ordinary theories, populace, public interests, and grand unity are appealing as the new rite paradigm of Sim Dae-yun. In such new rite paradigm, we can find a series of lead to Yangming``s practical thoughts, and certain characteristics of Korea``s modernity.

      • KCI등재

        茶山學에서의 佛敎 敎學의 意味와 工夫論

        張炳漢(Jang Beoung ha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8 No.-

        다산은 유배 초기에서부터 두 가지 難題 즉 성리학 중심의 이단정책의 해체와 그 이론 체계의 비판과 극복에 대한 해법을 찾기 위해 고심하였다. 그는 이단 개념과 범주의 희석화 또는 해체화 작업에 착수하여, 사환기 때는 불교, 좌천기 때는 천주학의 이단성을 공격하는 가운데, 유배기에서는 짧은 성현의 警句를 입론하여 그것을 자신 종파나 학파의 교의로 삼는 모든 학적 체계와 사상은 모두 이단이라고 규정한다. 뿐만 아니라 민생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이나 사상체계라도 군자가 추구하는 학문에 害가 되면 무조건 이단의 범주에 속한다고 하여, 이단의 개념과 범주가 거의 有名無實하게 될 정도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그는 기존의 송학 특히 정주학자들이 이단으로 주장하는 바, 즉 楊朱・墨翟・老子・佛氏만을 이르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런 가운데 다산은 정주 성리학의 주요 철학과 사상 체계들이 유학의 이단인 불교 교학에 근거 또는 근접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기에 집중한다. 예컨대, 정주학의 舊染・仁義禮智 四德・性卽理・明鏡止水의 해석 체계가 불교의 新薰・佛性・眞如本體・明鏡止水說에 근거하고 있음을 변석한다. 그는 이를 통해 정주 성리학 역시 유교 전통의 이단학인 불교학의 한 연장선 상에 자리하고 있는 즉, 또 다른 유학의 이단학임을 고발한다. 그런 과정에서 또 다산은 유학의 육경 사서의 경전 내용을 근거로 하여 정주 성리학의 해석 체계 역시 孔子 洙泗之學과도 어긋나고 있음을 입증한다. 이어 다산은 다시 수사학의 경전적 권위에 의지하여 인간 중심의 실천・실용・현실적인 공부론을 제안한다. 즉 ◯1 ‘蒙養以正’論 : 오직 어릴 때부터 바른[正] 것으로써 양육한다면 오염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2 ‘傳種・靈明’論 : 일반적인 동물과 식물은 種子에 의해 번식되어 轉生을 하지만, 이와 달리 인간은 인의예지의 사덕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의 靈明性만을 하늘로부터 부여받았다. ◯3 ‘用力執持’論 : 인간은 후천적으로 끊임없는공부와 수양을 통해 성인의 경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다산은 암울한 질곡의 사상 체계인 이단 정책을 해체하고 성리학의 이단성을 고발함을 통해 구시대의 강압적이고 폐쇄적인 사상 통제에서의 해방을 기획하였다. 이어 다산보다 한 세대 뒤를 살면서 다산의 欽欽新書 에 대한 반론격의 논문으로서 欽書駁論 을 저술하였던 沈大允(1806~1872) 역시 다산과는 또 다르게 周易 과 氣學에 근간하여 성리학의 비판과 극복에 競走하였다. 19세기 이 두 위대한 학자의 실학적체계에 힘입어 그 오랫동안 滔滔하게 君臨하였던 성리학의 威勢는 마침내 19세기 말에 이르면서 그 힘을 잃게 되어 시대와 사상의 뒷전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Dasan Jeong Yak-yong(1762~1836), during his exile period, conducted a Confucian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of the cosmogony, the nature of mind, and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the Song Learning and the Neo- Confucianism of Chengzi. Dasan thus focused on revealing that the major philosophies and thoughts system of Neo-Confucianism of Chengzi were closer to Buddhist teachings, a heresy of Confucianism. For instance, he suggested that the calmness and tranquility of Chengzi Learning s “old staining,” the four virtues of benevolence, justice, courtesy and wisdom, and “nature is reason” was founded on Buddhism s new perfume theory, Buddha nature theory, and the calmness and tranquility theory of true suchness and fundamental substance, revealing that Neo-Confucianism is also an heresy of Buddhism. Yet, Dasan, borrowing the scriptural authority of the rhetorics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quoting relevant references, suggested that such classics are different from the philosophical system of Neo-Confucianism. He further, using the scriptural authority of rhetorics, proposed a humanoriented, practical, pragmatic and realistic theory of study. In other words, such theories included the theory of ‘if one studies what is right from childhood, he will not be tainted,’ the theory of ‘things are transferred by means of seed, while humans have received spiritual luminosity,’ and the theory of ‘one can reach the realm of sainthood through efforts and studying.’ Through the dilution or dismantling of hereditary policies, and criticism and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system of Song Learning and Neo-Confucianism, Dasan overcame all ideologies, thoughts and religious systems of the bleak and trying old-era, endeavoring to promoting a new Joseon. As such, Dasan was indeed a pioneer of philosophical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