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Aprotinin의 안전성

        장병철,김정택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5

        초 저체온 및 순환정지하 개심수술시 Aprotinin을 사용하는 경우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신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1992년 11월부터 95년 8월까지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대 동맥 수술을 한 44례 환자 중 고농도 Aprotinin을 사용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주요장기에 미치 는 aprotin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저체온하 순환정지 시에는 좌측대퇴동맥을 통하려 저혈류로 순환시켜 흉부대동맥내로 공기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순환정지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대동맥궁을 치 환하는 경우에는 선택적뇌관류를 하였다. 순환정지시 활성응고시간은 639초에서 1531초로 1례를 제외한 모 든 환자에서 활성응고시간을 750초 이상 유지하였다. 대상환자 20례중 수술사망은 4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원인은 출혈 1례, 폐출혈 1례, 좌 관상동맥 박리에 따른 좌심실 기능부전이 1례, 근리고 다발성 뇌경색이 1례 있었다. 수술 후 뇌손상이 2례에서 발생하였으나 1례는 수술전 부터 자측 총경동맥 박리가 원인이었고 1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얼었다. 생존한 환자중 수 술 후 신 기능이나 간기능의 이상은 얼\ulcorner다. 결론적으로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를 이용한 대동맥수술시 avotinin을 사용한 결과 ACT를 750초이상 충분 히 유지하고, low flow retrograde perfusion을 유지하는 경우 신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합 병증이 증가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was reported that use of aprotinin in elderly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renal dysfunction, and myocardial infarction as a result of intravascular coagulation. We reviewed 20 patients who received high-dose aprotinin unde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with(NP group, n= 11) or without selective cerebral perfusion(SP group, n=9). The activated clotting time was exceeded 750 seconds in all but 1 patient. After opening aortic arch, retrograde low flow perfusion was maintained through femoral artery to prevent air embolization to the visceral arteries. Four patients among 20 died during hospitalization'due to bleeding, coronary artery dissection pulmonary hemorrhage and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Postoperatively, cerebrovascular accidents occurred in two patients; one with preoperative carotid artery dissection and the other with unknown multiple cerebral infarction. In conclusion, use of aprotinin in young patients undergoing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renal dysfunction or intravascular coagulation if ACT during circulatory arrest is maintained to exceed 750 seconds with low-flow perfusion.

      • KCI등재

        64채널 심장전기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장병철,김남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 의공학회지 Vol.16 No.1

        It is well known that multipoint and computerized intraoperative mapping systems improve the results of surgery for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and show tremendous potential for opening an entirely new era of surgical intervention for the more common and lethal types of supraventricular tachyarrhythmias such as atrial flutter and atrial fibrillation. In addition, the ability to map and ablate the sometimes fleeting automatic atrial tachycardia is greatly enhanced by computerized mapping system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64 channel computerized data analysis system using microcomputer (Macintosh ${II}_{x}$) for basic research of electrophysiology and electrical propagation. The bipolar electrogram information is acquired from 64 cardiac sites simultaneously at a sampling rate of 1 ksampls/sec with continuous and total data storage of up to 30 seconds. When the reference electrogram is selected and reference point is picked up, delay time from the reference point is displayed on two dimensional diagram of the heart. System design permits easy expansion to almost 256 simultaneous sites. this system is expected to enable us to study pathophysiology of cardiac arrhythmia and to improve the result of diagnosis and surgical treatment for cardiac arrhythmia.

      • SCOPUSKCI등재

        개심수술후 혈량 증가를 위한 10% Pentastarch와 5% Albumin 용액의 비교연구

        장병철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7 No.3

        Pentastarch is a hydroxyethyl starch similar to hetastarch, but lower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fewer hydroxyethyl groups which result in enhanced enzymatic hydrolysis and faster renal elimination.This repor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10 % pentastarch[Pentaspan , group I] for plasma volume expansion after open heart surgery with that of 5% albumin[Plasmanate, group II].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I [n=18] and group II [n:19] in the preoperative parameters [age, sex, body weight] and operative parameters[bypass time, aorta cross clamping time]. During the first 24 hours after arrival of the patient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colloid solution [500--1000 ml] was infused to maintain left atrial pressure of more than 8 mmHg, or cardiac index of 2.0 L/min/M2 of more. In results, there were 3 complications of hypotension immediately after infusion of 5 % albumin solution and 2 among the 3 patients were excluded for the study. However there was no complication after infusion of 10 % pentastarch solution. Hemodynamic responses to infusion was similar for both groups, although in group I a greater increase in both left atrial pressure[mean 1.8 versus 0.7 mmHg, p< 0.05] and right atrial pressure [mean 2.2 versus 1.7 mmHg, p < 0.05] was observed during infusion of the first 500 m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of the measured respiratory parameters[PaO2, intrapulmonary shunt, and effective lung compliance]. Homodilution with colloid significantly reduced hemoglobin [mean 1.2 versus 0.8 gm/dl], and serum protein and albumin level[total protein;4.8$\pm$ 0.5 versus 5.2 $\pm$0.5 gm/dl, p < 0.05: albumin: 3.2 $\pm$0.4 versus 3.6 $\pm$0.6 gm/dl, p < 0.05] by 6:00 AM on 1 day postopera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7 day postoperatively. The mean serum colloid osmotic pressure and osmolarity was similar in both group.There were no abnormal findings of liver function and kidney function in all the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bleeding time, platelets, prothrombin tim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nd amount of chest tube output measured on 1st and 7th postoperative day.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10% pentastarch is more effective and safe for plasma volume expension than 5 % albumin solution with no adverse effects on coagulation. Also 10 % pentastarch is less expensive than 5 % albumin and it would appeare to be a reasonable first choice for plasma volume expansion.

      • SCOPUSKCI등재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 수술의 장기 결과

        장병철,맹대현,강정한,조상호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00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3 No.11

        배경: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의 경우 그 기간이 길면 승모판막 질환을 수술하여도 동성 율동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질환에 동반된 심방세동에 대한 변형 Maze 수술후 장기 결과와 심방세도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으로 외과적 요법을 시행받은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방세동의 평균 유병기간은 평균 7.7$\pm$4.5년이었고 수술은 승모판막 대치술 34례(재수술 3례)와 승모판막 성형술 1례를 시행하였고 승모판 질환 수술 외에 동반 수술로는 삼첨판륜 성형술 4례, 삼첨판막 대치술 3례 였다. 심 방세동에 대한 수술은 좌측 폐정맥 부위는 격리하지 않는 변형 Maze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동성 율동으로 회복여부,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과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직후 2례를 제외한 33례(93.9%)에서 동성율동으로 돌아왔으나 수술 후 퇴원 전에 12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수술환자중 1례에서 수술 후 3일에 동성 정지에 따른 심정지가 발생하여 소생되었으나 뇌손상으로 수술 후 15일에 사망하였다. 심방세동이 재발된 경우 수술 후 약 2개월에서 6개월 사이에 항부정맥 약물(mquinidine)과 전기적 제세동으로 치료하여 12례중 10례에서 동성 율동으로 돌아온 환자는 항부정맥 약물을 모두 중단하 였으며, 수술 후 3년에서 9년(평균 71.1$\pm$17.5개월) 추적 관찰 중 9례에서 심방세동이 재발되어 장기간 동성 율동이 유지된 환자는 34명중 25명으로 73.5%이었다. 승모판 질환이 있던 환자에서 수술 후 심방세동의 재발에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한 결과 수술전 심방세동의 기간(동성율동 유지군 : 재발군=6.3년 : 10.3년, P=0.008)과 수술 전 단순 흉부 X선상 심흉비율(0.58 : 0.72, p=0.009)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심초음파 검사상 좌심방의 직경(57.2mm : 77.4mm, p=0.106)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에서 동반 질환 수술시 병행하여 수술한다면 정상 동성 율동으로 회복될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수술후 재발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술기의 변형에 대한 연구와 약물요법의 병행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21세기를 향한 공장혁신 방향

        장병철 한국제품안전협회 1994 제품안전 Vol.25 No.-

        기업은 변화에 빠른 업체만이 살아 남게 되며 변화하는 업체가 21세기를 향하는 기업이 될 것이다. 공장혁신은 의식혁신, 생산성혁신, 기술혁신의 3대혁신을 축으로 한다. 어느 한쪽도 치우쳐지면 21세기를 향하기 어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