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장품 원료개발을 위한 파리유충과 土龍추출물의 생리활성기능 조절에 관한 연구

        장문정,안명수 대한피부미용학회 2004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2 No.1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the available resources for cosmetics including health foods or medicine from natural resources. The bio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anti-microbial activity, antioxidation activity, and immune modulation activity were investigated by using several extracts from earthworm, maggot and seaweeds. In result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aggots and earth worms, both hot water and solvent extracts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reptococcus, g(+), Salmonella, choleraesuis subup. g(-), Pseudomaonas aeruginosa g(-), Escherichia coli. g(-), Bacillus subtilis g(+). Meanwhile, the earthworm including intestine contents was extracted with ethanol,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observed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g(-). In case of Escherichia coli. g(-), anti-microbial activity was only observed in the earthworm extracts excluding intestinal contents. Furthermo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arthworm extracts against fungus such as Staphylococcus warneri, Staphylococcus xylosus and Staphylococcus hominis subup. Hominis, was only found in the extracts including intestinal contents. In case of extracts of earthworm excluding intestinal contents, both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warneri,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Staphylococcus xylosu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hominis subup. hominis was found only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extracts of earthworm excluding intestinal by ethanol. The maggot extracts showed the clear increase of proliferation activity at the level of 100ppm, bu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maggot extract showed the lower proliferative activities, and cytotoxic effect was observed in splenocytes treated with over 5000ppm of maggot extract. Meanwhile, when splenocytes were treated with 100ppm and 500ppm of earthworm extracts, the proliferation activity was increased in dose dependent manner. In the results of antioxidation activities of maggot and earthworm extracts, DPPH production was not inhibited by earthworm extracts but maggot extract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f DPPH production as much as 50% of Vitamin C when treated with 10000ppm. It has been thought that the comparatively lower effects of earthworm extracts on DPPH inhibition may be due to the lower concentration of responsible compound in the extracts. Likely the case of DPPH inhibition, the earthworm extracts did not show any inhibitory effects on TBARS. In summary, the extracts of maggot, seaweeds and earthworm showed increased anti-microbial activities, anti-oxidative function and immune modulation activities. All togeth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extracts from natural product such as maggot and earthworm can be developed and used for functional substances in the fields of cosmetics.

      • KCI등재

        메를로-퐁티 언어철학에서 소쉬르의 영향

        장문정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9 No.-

        이 글은 메를로-퐁티 작업에서 소쉬르의 영향을 추적하고 그것을 통해서 그의 후기 철 학의 주요 개념인 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얽힘 문제를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단지 메를로-퐁티의 기호론적 관점을 드러내거나 언어철학적 측면을 드러 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기호론적 관점에서 그의 정치, 사회철학적인 측면을 명료하게 드러 내기 위한 예비적 시도이기도 하다. 메를로-퐁티의 관점에서 소쉬르의 기호론은 다음처 럼 정리하여 환언할 수 있겠다. 1. 먼저 기호를 기표와 기의의 관계로 한정한 소쉬르 기호 학에 대한 첫 번째 분석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환원과 그것의 언어학적 적용을 분명 하게 드러낸다. 2. 두 번째 기호의 임의성 분석은 기호와 의미작용 사이의 관계를 다룬 메 를로-퐁티의 다양하지만 ‘애매한’ 언급들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3. 세 번째, 의미는 차 이에서 온다는 소쉬르의 체계이론은 아동심리학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거울단계 분석을 통해 구체화되고 메를로-퐁티의 언어에서 기표와 얽히게 되는 보이지 않는 것의 존재를 예시한다. 4. 네 번째 소쉬르에서의 일탈로 언급되는 메를로-퐁티의 파롤의 강조는 소쉬 르의 심리주의적 흔적을 관통하면서 보이는 파롤과 보이지 않는 랑그의 얽힘이나 교차 문 제를 일깨운다. 5. 다섯 번째 소쉬르의 랑그의 확실성과 관련하여 메를로-퐁티의 침묵의 코기토 언급은 보이는 것과 얽혀 있는 보이지 않는 것의 존재와 그 권리를 확실히 한다. This thesis is another attempt to show how to be intertwined(the chiam) of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in Merleau-Ponty's late philosophy, which has been especially influenced by Saussure's semiology. As tracing the influence of Saussure we can make the ambiguity of Merleau-Ponty's philosophy clear and can introduce the uncompleted project of his own social views based on the semiology. Saussure's semiology can be summed up as that and said in other words. The sign consists of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é,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signifiant is to the visible, the signifié is to the invisible, both are intertwined, which Saussure called the arbitrairity. 1. Saussure's definition of the sign(as far as he ruled out the other factors except the signifiant and the signifié) implicates the reduction phenomenological in Merleau-Ponty's body-subject philosophy. 2. The arbitrairity of signs implicates the ambiguous relation(difference) between the signs and the significations in Merleau-Ponty's language philosophy and Plato's dialogues about language. 3. Saussure's 'system of difference' implicates the Lacan's insights about the mirror image stage in child psychology and the being of the écart(difference), that is the invisible in Merleau-Ponty. 4. Saussure's langue(invisible) is important and intertwined with parol(visible) as much in Merleau-Ponty, if the psychological prejudices of Saussure's semiology should be taken off 5. The tacit cogito of Merleau-Ponty implicates the certainty of langue(and parol), that is Lebenswelt, especially the being of the difference and the invisible. It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cogito of words in Decarte.

      • KCI등재

        기술복제시대 예술의 정치적 가능성 - 소쉬르의 기호학을 경유하여 -

        장문정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이 글은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에서 암시된 대중 예술의 정치적 가능성을 모색 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도의 특징은 예술에서의 아우라의 종말에 대한 그의 유명한 언 급을 바탕으로 예술의 기술적 성격을 새롭게 환기시키고 이를 소쉬르 기호학의 철학적 재해석 을 통해 구체화시킨다. 더불어 포스트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죽음에 처해진 근대 개인주의적 예 술의 성격을 쇄신하고 예술의 사회적 정치적 함의를 회복할 것을 촉구한다. 이 과정에서 현대 대중 예술, 즉 복제기술을 발판으로 광범위하게 생산되는 문화상품들의 등장과 부르주아적 예술 적 실천의 쇠퇴, 그리고 인문학적 주체의 죽음 문제가 다루어지는데, 이를 통해 소위 포스트-모 더니즘적 비관주의나 상대주의 유혹을 돌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제기 된 문제의식을 전면에 내세우는데, 당대 비관주의자들의 이상국에 대한 비판이 그러했듯이 이상 (ideal)의 실재는 현실에서 의심스럽기 그지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는 현대인들이 그러하듯이 현실을 거짓된 이상(시뮬라크르)로 대체해버리는 일종의 물신주의로 퇴행해서는 안 된다는 것 이다. 플라톤이 이상국에서 추방하고자 하는 ‘예술’은 시뮬라크르, 즉 물신주의에 빠져 그것이 꿈인 줄 모르는 꿈을 꾸고 있는 현대인의 자화상이다. 그래서 예술이 진리가 아니라 그저 시뮬 라크르임에도 그것의 가능성이 모색될 수 있다면, 그것은 그것이 시뮬라크르임을 아는 탈물신화 된 주체, 즉 꿈에서 깨어난 각성된 주체를 요청하기 때문이다. 아우라가 사라진 대중예술은 꿈꾸 는 부르주아적 개인이 아니라 각성한 민주주의적 혁명적 주체인 ‘우리’를 일깨울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make sure the art's political possibility especially in the age of the technological reproduction. Since Benjamin declared the death of the 'aura' in the modern art, the concept of the art has been criticized and changed, that of the simulacre which Plato had blamed in his 'republics' newly appeared passing through the post-modern application of Baudrillard. But the simulacre is not negative any more here, even though it was the side effect of the mimesis(the poetic process, so long as it is not oblivious that simulacre is just the fake reality as Plato and Baudrillard said, it was different from the real. The artwork could not be free from the destiny of the dream, for it is available after awakening out of it. In the post-modernism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ream and the real disappeared, which could be linked to understanding the fetishism of the technological reproduction widely spreading among the highly industrialized people. The semiology of Saussure could be borrowed to make people isolated of it awakened to the revolutionary subject. That is to say, if the simulacre is like the dreaming, to draw the social revolutionary possibility of it, they need to overcome these fetishism, that is, the learning that this dream is not the reality, and after that they can leap as another subject perceiving the power of that dream. According Freud, the dream is based on the unconscious process of the empty signs. And the teaching of 'the signs of the equivalent differences' in Saussure makes us free from the essentialism of the word(a sort of the fetishism), know that we are so much as the sign or the citizen empty in it, and so get to know that we need another signs, or neighbors even though, and for they are empty, too. The revolutionary subject is not based on the great individual subject but the empty(lost) 'us' that so need to associate each other. And the post-modern art, popular mass art can help us being social subjects. That is what Benjamin had dreamed in post-aura art through 'the artworks in the age of the technological reproduction'.

      • KCI등재

        성적 존재로서의 신체 ― 메를로-뽕띠의 프로이트 읽기와 페미니즘 ―

        장문정 대동철학회 2001 大同哲學 Vol.13 No.-

        이 글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하는 성욕(sexualité에 대한 메를로-뽕띠의 신체 현상학적 해석을 논의하고자 한다. 프로이트의 이론들은 남근중심적 보편 담론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계승자들에 의해서 그것의 페미니즘적 함축이 계발되면서 페미니즘 운동의 새로운 전환을 이끌어 왔다. 마찬가지로 메를로-뽕띠의 신체 현상학이 여전히 이성중심적인 보편 담론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명시적으로는 여성 문제를 다루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그의 신체성 개념은 기존의 지배 담론의 사각지대에서 이성의 불완전함이나 결여로 치부되고 있었던 타자로서의 여성성에 대한 온당한 자리매김과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중요한 전환적 개념틀로 작용할 수 있다. 페미니즘 논의에 신체성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은 보부아르의 실존적 페미니즘이 딜레마에 봉착하면서 절실히 제기된다. 그녀는 여성의 젠더가 여성의 생물학적 신체 조건에 환원되어 부당하게 논의되는 현실에 분개하고 여성 스스로가 이러한 억압을 의지적으로 뛰어넘으면서 남성과 동등한 자율적인 주체로 변모되어야 함을 설파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여성성 논의의 핵심을 담당하고 있는 여성의 신체적 조건을 무시하고 평가절하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자신도 모르게 남성중심적��Ä��Ã이성중심적 담론의 희생자가 되었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신체라는 선험성을 통해 주체와 세계를 구성하는 메를로-뽕띠의 현상학은 여성의 신체적 조건이 이성의 결여로 해석되거나 남성 지배의 빌미로 이용되지 않고 남성의 신체성이 그러하듯이 정당하게 여성자신의 사회적 실존의 의미작용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프로이트가 당시에 음성적으로 은밀하지만 기계��Ä��Ã생물학적인 의미로 통용되었던 성욕 개념을 해체하고 그것을 주체 형성의 중요한 의미작용으로 환원시킴으로써 이성중심적인 주체의 개념에 타격을 입혔던 것과 동일한 문맥에 속해있다. 비교적으로 열등하거나 억압당하거나 혹은 피상적으로 남성에 의해 보호되어야 마땅한 여성의 특이한 성적 본질이란 존재하지 않는데, 가부장적 사회에서 현저한 젠더의 역학관계는 초월적인 본질의 유무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실존의 관계적이고 변이적인 의미작용을 통해서 파생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작용은 동시에 신체적 실존의 실천에 의해서 변혁될 수있는 역동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메를로-뽕띠의 이러한 담론들이 남성중심적 역사를 은폐하고 있는 보편 담론과 이성 담론의 형식을 통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 그의 이러한 익명적이고 중성적인 글쓰기를 통해서 이성의 결여나 남성성의 부정으로서가 아닌 긍정적 차이로서의 여성성에 대한 타자성 담론이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인데, 결국 침묵 속에 남아 있는 그의 신체 현상학의 페미니즘적 함의는 후대의 정신분석학적 페미니스트들이나 푸코와 같은 학자들의 ‘말’에 의해서 본격적으로 계발될 수 있었다. Cet essai traite la interpréation phéoméologique du corps par Merleau-Ponty de la sexuallitéqui fonctionne comme le concept principal dans la psychanalyse de Freud. Malgréles dogmes de Freud sont les discours universels et phalluscentriques, ils a convertéle mouvement feministe en élaircirant ses implicationes feministes par ses héitièes. Pareilment, quoique la philosophie de Merleau-Ponty se fait en forme du dicours universel logocentirque et se tait les sugets feministes, son concept de corporété fonctionne le problematique qui occasionne àréablir les droits de la feminitécomme autrui qui est prit comme le manque du raison dans la borne des discours dominants. Surtout, ce corporétése doit introduire en feminisme àcause du dilemme du feminisme existentiel de Bauvoir. Quoique elle se a mis en colèe àréuire gender social de la femme àsa condition biologique et a insistéàsurmonter ce refoulement et changer la altéitéde la femme pour le sujetivitélibre comme l'homme, elle a fait une faute de néliger et sousestimer sa condition corporelle qui a dûoccuper le noyau dans le problèe de la féinité Donc, la transcendence du corps par Merleau-Ponty fait tourner le corps de la femme àsa signification existentielle sociale. C'est àle mêe contexte que Freud a déonstruit le concept de la sexualitéqui en a circulésecret et mechanique-biologique et le a réuit àma signification principale de la formation du sujet, alors il a attaquéle concept du sujet logocentrique. En conclusion, la nature sexué de la femme qui est inféièe, se devoit refouler, et protéer par les hommes n'existe pas. La partialité du sexe ne vient pas de oui ou non de l'essence transcendente mais de la déivation des significationes relatives et variés de l'existence corporelle. Donc, ces sinificationes ne sont pas déerminés, que se peuvent reformer par l'exercice de l'existence corporelle. Pourtant, ce ne se doit pas passer que les discours de Merleau-Ponty se ont constituéen forme des discours universelles et logocentriques. On le soupçnne de pouvoire réliser le discours de la féinitécomme la difféence positive avec sa ériture anonyme. Anfin, les implicationes feministes de la phéoméologie du corps par Merleau-Ponty qui sont silencieuses se peuvent déelopper d'une manièe concrèe par les feministes psychanalytiques et Foucault etc.

      • KCI등재

        트랜스포트 계층 이동성 지원 방안에서의 오류 및 혼잡제어 알고리즘 성능분석

        장문정,이미정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2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transport layer mobility support leveraging the SCTP extension dubbed dynamic address reconfiguration in IPv6 networks. Timing issues related to the end-to-end address management, and a novel error recovery mechanism associated with a handover are discussed. The proposed error recovery mechanism is analyz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plain SCTP to show that it reduces the handover latency and error recovery time. IPv6 네트워크에서 SCTP를 기반으로 하여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안에서는 단말의 이동에 따라 SCTP 연결에 매핑되는 종단 주소를 변경하기 위한 적절한 시점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안하였고, 핸드오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오류 복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수치적 분석을 통해 기존 SCTP에 비하여 제안하는 방안이 핸드오버 지연과 손실복구시간을 줄임을 보였다.

      • KCI등재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억압론을 통해서 본 예술과 광기의 문제

        장문정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8 No.-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이 예술과 인문학에 끼친 영향은 잘 알려져 있다. 프로이트는 임상적 연구를 넘어서 고대 예술가나 작품, 혹은 당대의 문학작품에 대한 정신분석적 분석을 적잖이 수행했고 이는 예술비평에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해주었다. 예로부터 영감과 관련된 예술은 광기와 관계가 깊다. 근대 광인에 대한 배타적 태도와 관련해볼 때 근대에 비이성의 예술이 점하는 위치는 가히 예외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근대 이성중심주의적 문명의 정점에서 모순적으로 이루어진 비이성적 예술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본 글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예술 이론 사이의 수많은 관련점들 가운데 광기에 초점을 맞추어 그가 비이성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특히 그의 무의식과 억압이론이 철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코기토, 의미작용 문제와 연루되면서 그가 어떻게 자신도 모르게 서양 문명의 이성중심주의를 해체하게 되는지도 살펴본다. Freud's psychoanalysis had an great influence on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e was known that he analysed the pictures of Leonardo Da vinci and the other contemporary writers and their works, and showed the different approach in the history of the criticism of art. Since antiquity the art as the concept has been related with the inspiration which is not different from madness. Compared with negative attitude in the classical age, the exceptional status of the modern art is contradictory. This contradictory relations between the art of the unreason and the lunatic of the unreason need to be explained. So this thesis is to chase how Freud touched upon the unreason as problem. He showed the exceptional attitude about art works, but applied the same theories to analyse him and his works as ones taken from his patients, nevertheless didn't call the artists the abnormal. Especially the unconscious, repression and sublimation as problematic concepts in his works need to be interpreted philosophically with the 'cogito' and 'signification' theory. This can be so called deconstruction. Through this approach his egocentrism finally gets to be broken down, his distinction between the normal and the abnormal gets to be obscure.

      • KCI등재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근대 광학과 빈 공간에 대한 철학적 시론

        장문정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7 No.-

        이 글은 메를로-퐁티의 후기 작업 노트에서 단절적인 아이디어의 기록으로 흩어져 있는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그의 화두를 구체화하는 하나의 시론이다. 무엇이 보이는 것이며 무엇이 보이지 않는 것인지 그 경계를 정하는 일부터 애매한데, 그의 표현대로 하자면 그 둘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 비전을 잃어버린 언어의 시대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푸코가 고전주의 시기를 말과 사물의 분리를 통해 기술했던 맥락과 유사하다. 본 시도는 근대 광학자들이나 철학자들의 빛의 매혹이 아이러니하게 비전의 상실로 이어지는 맥락을 따라가면서 현대 문명의 소외 양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자 한다. 이 소외의 양상으로서 근대와 후기 근대의 암묵적 화두가 되었던 광기의 문제를 거론하고자 하는데, 이 배제의 기제는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게 만드는 ‘과학’을 통해서 은폐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신분석학이 그러했듯이 소외된 언어의 시대에 우리가 잃어버린 것을 회복하고자 한다면,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광인의 체험을 통해서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를 볼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근대 이후로 기호의 작동 논리에 반대하면서 메를로-퐁티가 지속적으로 제안해왔던 발생적 기호의 개념을 여는 전주곡에 해당한다. This thesis is a essay to visualize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of Merleau-Ponty, which was the collections of the fragmented ideas in his late notebook and would have been written as a amazing book by him unless he died suddenly. It is tough to say what is the visible and what is the invisible. Because both are interwound according to him, in addition we have lived in the sign field which already lost the visible, and we can't find it any more in my view. Foucault told it as the division of the word and the object, through that structure he depicted the history of the alienated technological civilization since the modern era. This essay is to chase and figure the fascination with the invisible light of the modern optical scientists, which brought about the lost of the vision. The lost of the visible is related to the alienation of the human, one of those symptoms was the extension and exclusion of the madness, which have been privy theme since the modern philosophy. The madness as the problematic has been imprisoned in the silence in which the word has been deprived of and has been suppressed by the name of the science which has made the visible into the invisible by the modern power. So if we try to find the lost world, we could get unexpectable clues about what has been lost so far only through the depiction of the lived world of the lunatic who could see something in the invisible, as the psychoanalyst method had been originated like that. In the same context Merleau-Ponty opened the doctrine of an embryonic signification in which the vision as the base of the invisible sound was not yet erased, to criticize the alienated signification of the words since the modern era, which had been developed in the next phrase of his philosophy.

      • 섬유육종세포배양에서 C2 세라마이드첨가가 세포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장문정 국민대학교 2003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Vol.22 No.-

        Sphingolipids, which include ceramide and sphingosine, are essential structural components of cell membranes that also have messenger functions that regulate the proliferation, survival, and death of cells. Apoptosis of cancer cells contribute to anti-tumor activity. In this study, exogenous application of C2 ceramide on cell proliferation and caspase-3 activity in human fibrosarcoma cell were evaluated (HT 1080). HT 1080 cells in the presence of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or 20uM) of C2 ceramide were incubated. C2 ceramide caused a complet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5). C2 ceramide-induced cell death was characterized with the changes in activation of caspase-3 activity(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fibrosarcoma cell loss by apoptosis can be regulated, in part, by C2 ceramide which increases caspase-3 activity. Thus, pharmacological manupulation of sphingolipid metabolism to enhance tumor cell offers a novel approach to cancer chemo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