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명캡과 침형 절개도를 이용하여 치료한 젠커게실 1예

        박철진 ( Chol Jin Park ),이준 ( Jun Lee ),장광표 ( Kwang Pyo Jang ),김은정 ( Eun Jeong Kim ),김영대 ( Young Dae Kim ),박찬국 ( Chan Guk Park ),김만우 ( Man Woo Kim )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5 No.2

        젠커게실의 치료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표준 치료는 정립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장기간 비교연구가 필요하겠지만 투명 캡을 장착하고, swift 응고 모드로 침형절개도를 이용하여 윤상인두근 절제하는 연성 내시경 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저자들은 성공적으로 윤상인두근을 절개하여 젠커게실을 치료한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 한다. Zenker diverticulum is a rare condition with a reported prevalence of 0.01% to 0.11% in the general population. Challenges that can arise when treating a Zenker diverticulum through flexible endoscopy include maintaining a stable position and avoiding hemorrhage or perforation. Nevertheless, this approach is associated with less morbidity and a shorter hospital stay than conventional treatment consisting of open surgery or rigid endoscopic treatment with diverticuloscopy. We report a case of transparent cap-assisted flexible endoscopic septoplasty using a needle knife. (Korean J Med 2013;85:174-177)

      •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와 폐고혈압 및 폐성심으로 진행과의 상관관계

        김형호,박철진,이준,장광표,하성일,이재록,하재화,권세훈,권용운,윤성호,이승일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7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2 No.2

        Background: From many previous studies, Pulmonary hypertension is the known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 of the mortality in COPD. Also pulmonary hypertension is the major cardiovascular complication of COPD and is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to cor pulmonale and poor prognosis. Author want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hypertension and the severity of COPD which are classified b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the extent of progression to corpulmonale. Methods: Retro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118 patients with COPD who had pulmonary function test and echocardiogaphy more than one times during one-year follow-up (from June, 2005 to May, 2006) at respiratory division in chosun university hospital, and then 50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classified the severity from FEVl in pulmonary function test based on the GOLD guideline, also this was comparably analyzed with RVSP, RVIDd, Visual Grading from echocardiography. Results: 16 patients out of 50 were classified as moderate severity, 25 patients were severe, and 9 patients were very severe group. RVSP was higher in more severe groups than less severe groups but when it comes to pulmonary hypertension that RVSP is over 35 mmHg, there was no valid difference lies in those groups. As FEVl decreases RVSP and RVIDd increases, and observed relationship between RVSP which was classified as below 35 mm and above 35 mm groups and visual grading which was classified as normal and dilatated groups revealed valid correlation, Conclusion: As pulmonary function decreases, progression to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r pulmonale increases but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of prevalence in above moderate severity groups. 연구배경 폐고혈압은 이전의 많은 연구에서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독립적인 사망의 예측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폐고혈압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주요한 심혈관계 합병증이며, 폐성심으로의 진행 및 불량한 예후와도 관련되어 있다. 이에 저자는 폐고혈압과 1초간 노력성호기량으로 분류되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중증도 및 폐성심으로의 진행 정도를 비교 분석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보고자 한다. 방법 2005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1년 동안 본 병원 호흡기 내과에서 폐기능검사와 심장초음파 검사를 각각 1회 이상 시행한 적이 있는 118명에 한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이 중에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능검사 시행 결과 얻은 1초간 노력성호기량을 바탕으로 GOLD guideline에 따라 중증도를 분류하였으며 이를 심초음파 시행 결과 얻은 우심실수축기압, 확장기말 우심실내부간격, 시각등급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50명중 16명은 중등증, 25명은 중증, 9명은 최고중증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우심실수축기압은 중증도가 높은 그룹에서 낮은 그룹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나 폐고혈압에 해당하는 우심실수축기압이 35 mmHg이상인 환자에 있어사는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확장기말 우심실내부간격, 시각등급 또한 중증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안항ㅆ다. 1초간 노력성호기량이 감소함에 따라서는 우심실수축기압, 시각등급은 증가하였으며 우심실수축기압을 35mmHg 미만과 이상인 그룹으로, 시각등급을 정상과 확장이 있는 그룹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폐기능이 감소할수록 페고혈압 및 폐성심으로의 진행이 증가하였으나 폐기능검사에서 중등도 이상의 그룹에서 유병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