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9세기 神貞王后 趙氏의 생애와 垂簾聽政

        임혜련(Lim Hye-ryun)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神貞王后 趙氏는 豊壞 趙氏 趙萬永의 딸로 순조의 세자였던 孝明世子의 부인이며, 憲宗의 어머니였다. 그녀는 대리청정 중이던 효명세자가 승하하여 왕비가 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아들 헌종이 왕이 되자 왕대비가 되었고, 철종대 대왕대비였던 純元王后가 죽자 대왕대비가 되었다. 그리고 철종이 후사왕을 정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신정왕후는 고종을 즉위하도록 하고 4년간 垂簾聽政을 하였다. 신정왕후의 풍양 조씨는 19세기에 安東 金氏와 함께 정국을 주도하였던 외척가문이었다. 勢道政治는 국왕이 외척에게 다음 왕을 부탁하는 임무를 부여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외척 가문은 정국을 주도할 수 있었다. 正祖는 순조를 金祖淳에게 부탁하면서 세도정치를 열었다. 순조도 역시 헌종을 신정왕후의 숙부인 趙寅永에게 부탁하였다. 이로 인해 풍양 조씨는 가세가 번성하였다. 그렇지만 철종대 풍양 조씨와 안동 김씨의 대립이 심화되었으며, 그 가운데 풍양 조씨는 세력이 약화되었다. 수렴청정을 하였던 신정왕후는 고종을 자신과 남편인 효명세자의 아들로 입후하여 즉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매우 적극적으로 수렴청정을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고종을 즉위시킨 그녀의 책임감과 안동 김씨 출신의 哲仁王后가 있었기 때문에 수렴청정을 하기 위해 적극적이었던 것이다. 신정왕후는 수렴청정기에 次對와 김見을 통해 정국을 운영하였다. 신정왕후는 차대에서 주도적으로 하교를 내려 정치에 참여하였다. 소견에서는 지방관이나 사신 이외에도 기존의 관료들과 국정을 운영하였다. 이를 통해 공적으로 정치에 참여하였으며, 주도적으로 정치를 이끌어 갔다. 신정왕후가 강조하였던 정책은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고 사회적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 왕실의 권위를 강화하려는 신정왕후의 의지는 景福宮을 중건하고, 조선의 건국을 강조하였다. 한편 사회적 폐단이었던 과거의 폐단을 개선하고 탐관오리의 비리를 근절하였으며, 엄격한 법 적용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국가의 기강을 확립하려는 것이었다. 선정왕후의 정책의 많은 부분은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할 때 추진하였던 것을 계승한 것이다. Shinjeong Wanghoo(神貞王后) from Cho family of Poongyang(豊壞 趙氏) was a wife of prince(趙萬永) Hyomyeong(孝明) of SoonJo(純祖) to a daughter JoManYeong (趙萬永), and were mothers of HeonJong(憲宗). She was not able to become a queen as died prince Hyomyeong during a prince substitutes for a king, and administering previously a nation. However, she became WangDaeBi(王大妃) as soon as a king was son HeonJong and Soonwon Wanghoo(純元王后) would die, and became DaeWangDaeBi at Cheoljong times. And CheolJong cannot decide on a successor king and passed away so that an enthronement did GoJong, and started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for four years. Shinjeong Wanghoo(神貞王后) from Cho family of Poongyang(豊壞 趙氏) was maternal families of the royal family which led a political situation with kim family of Andong(安東 金氏) in the 19th century. Mean that political power(勢道政治) to have given a task that a king asks a favor of the following king to maternal families. Maternal families of these times was able to lead a political situation. JeongJo(正祖) opened power politics while asking a favor of Soonjo to GimJoSun(金祖淳). Soonjo also asked a favor of Heonjong to the JoInYeong(趙寅永) which was an uncle of Shinjeong Wanghoo(神貞王后). And then Cho family of Poongyang(豊壞 趙氏) circumstances thrived. But a contraposition of CheolJong times Cho family of Poongyang and Kim family of Andong was deepened, and the Cho family of Poongyang the influence was weakened. Shinjeong Wanghoo led the enthronement of Gojong after having him adopted as the son of herself and husband prince Hyomyeong and started Sooryeomcheongjeong(垂簾聽政). And she endeavored positively in order to Sooryeomcheongjeong. This is to have been active managed as there was her responsibility of led the enthronement of Gojong and Chulin Wanghoo(哲仁王后) from Kim family of Andong in order to Sooryeomcheongjeong. She operated a political situation through Chadae(次對) and Sogyeon(召見). She participated actively in a command to politics at Chadae and managed the existing bureaucracies about national administration besides public officers or envoys at Sogyeon. She participated to officially politics and led positively through these. She tried hard to tighten the discipline in the royal court and attempted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and improved the social problems. Intention of Shinjeong Wanghoo builds Kyongbokkung(景福宮) in order to strengthen an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and emphasized to the founding of Chosun. And improved the historic abuse that was social abuse, and destroyed irrationality of covetous official, and emphasized to strict law application. This was in order to establish national discipline. A lot of sections of policy of Shinjeong Wanghoo are following the policies of prince Hyomyeong substitutes for a king when he administered a country.

      • KCI등재후보

        조선 영조대 親蠶禮 시행과 의의 : 1767년(영조 43) ‘丁亥蠶禮’을 중심으로

        임혜련(Lim Hye-ry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장서각 Vol.0 No.25

        親蠶禮는 왕비가 중심이 되어 직접 뽕잎을 따고 누에에게 뽕잎을 먹이고, 성충이 된 누에에서 고치를 거두던 일련의 의식을 의미한다. 성종대에 처음으로 시행된 친잠례는 선조 이후로 300년간 시행되지 못하다 1767년(영조 43)에 의례를 회복할 수 있었다. 영조 43년에 친잠례를 시행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성들에게 양잠을 장려하려는 爲民觀이다. 둘째, 古學에 대한 관심과 古禮의 시행 의지로 시행될 수 있었다. 셋째, 영조년간 꾸준히 추진된 조선 초기 체제를 중시하며 국제를 정비하였던 것과 연관된다. 넷째, 蕩平을 통해 왕권을 강화한 영조가 왕실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였다. 1767년(영조 43) 시행된 친잠례는 영조 스스로 “300년 만에 처음이다”라고 하였듯이 오랫동안 사장되었던 의례를 다시 시행한 것이었다. 그 특징은 첫째, 친잠례를 경복궁 옛터에서 시행한 것으로 영조가 국가를 계승한 것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었다. 둘째, 先蠶祭를 중전이 酌獻禮를 통해 직접 참여한 것이다. 이는 조선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셋째, 受繭儀를 시행한 것이다. 수견의는 누에고치에서 견사를 뽑아내는 의식이다. 1767년(영조 43) 친잠례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고례를 회복하기 위해 중국과 조선의 선례와 의례서등을 참고하여 그간의 의례를 정비하고 오히려 친잠례를 완성도 높은 의례로 발전시킨 것이다. 둘째, 의례를 주재하는 중전의 위상과 왕실의 권위를 강화한 것이다. 이는 결국 의례를 준비하고 참여한 영조의 왕권을 널리 보여준 것이다. 이를 통해 국왕과 왕실의 위상을 재정립 할 수 있었고, 백성들에게는 그들의 생업을 걱정하고 윤택한 삶을 위해 왕실이 모범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천명할 수 있었던 것이다. Chinjam-rye(親蠶禮) means series ceremony which harvest cocoon in silkworm which gets direction mulberry leaves and feeds mulberry leaves to silkworm, and gets into imago with queen as the central figure. Chinjamrye(親蠶禮) that is enforced for the first time in Sungjong age was enforced again in Youngjo 43 years for being not enforced during 300 years since Sunjo. The background that enforce Chinjam-rye in Youngjo 43 years is as following. First, It is Wimingwan(爲民觀), Mind that serve the people) to encourage sericulture to peoples. Second, because there were interest about old learning and enforcement will about old ceremony could be enforced. Third, It is involved taking early Chosun system that is promoted steadily in Youngjo age and with arrangement international. Fourth, Youngjo that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rough Tangpyeong(蕩平) enforced to improve prestige of royal family. Chinjam-rye(親蠶禮) that was enforced again to Youngjo 43 years enforced ceremony that died out for a long time as said by Youngjo “It was the first time after 300 years.” The characteristic is first, it was to demonstrate that Youngjo inherits the country that enforce Chinjam-rye(親蠶禮) on old site of Kyung Bok Gung(景福宮) palace. Second, queen participated directly to Seonjam-je(先蠶祭) through Jakheon-rye(Ceremony that is enforced before, 酌獻禮). This was work which is first in Chosun. Third, It was enforced Sugyeon-rye(收繭禮). Sugyeon-rye(收繭禮) was ceremony which reel off silk from cocoons. Chinjam-rye(親蠶禮) of Youngjo 43 years i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Chinjam-rye(親蠶禮) was developed more perfectly that reform ceremony in the meantime and recover old ceremony referring to precedent and ceremony document of China and Choson. Second, It was strengthened authority of queen’s status and royal family that preside ceremony. This shows widely sovereign power of Youngjo that prepare ceremony and participates. This was established status of king and royal family and it could explain that royal family was shown model to worry their occupation to peoples and for abundant life.

      • KCI등재
      • KCI등재

        정조의 배향공신 則止軒 兪彦鎬의 정치활동

        임혜련(Lim Hye-Ryun)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6

        則止軒俞彦鎬는 기계 유씨 출신으로 정조대 좌의정을 역임했으며, 忠文公의 시호를 받았고 정조의 묘정에 배향된 인물이다. 유언호는 산림문하에서 수학하였던 학자이면서 노론 의리를 엄격히 고수하며 중앙 정계에서 왕성히 활동하였던 인물이었다. 유언호는 영조대 출사한 이후 세손 정조의 사부로 시강원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정조 즉위 초 상당기간 이조참의와 승지를 역임하며 정조를 측근에서 보위하였다. 또한 규장각이 정비된 후 규장각 제학 외에도 규장각의 다양한 직임을 역임하였고, 경기어사・개성부사 등 지방관으로 민생을 살폈으며, 엄정한 처신으로 이조의 업무를 담당하였고, 경세관료로서 시세를 꿰뚫는 능력을 호조판서에 재직하며 발휘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정조대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하는 등, 그는 출사 이래 청요직과 문한직, 재상직을 역임하며 정조의 핵심 관원으로 활동하였다. 유언호는 정조대 핵심 관서로 부상한 규장각의 설치와 제도적 정비 및 체제 구축의 실무를 담당하였다. 여기에 관료제도의 효율적 시행을 위한 제도 보완 및 식견을 내놓았으며,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개선안을 발의하여 백성들 생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왕권을 강화하고, 집권 후반기에는 국왕의 권위를 앞세우고자 하였다. 엄격한 정치 원칙을 중요하게 여겼던 유언호의 정치적 신념은 私情을 바탕에 두고 權道로 의지를 관철하려는 정조와 대립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유언호는 정조의 핵심 관원으로 정조를 보좌하는데 충실하였다. 그는 첫째, 정조의 정책을 세우고 실행하였고, 둘째, 엄격한 노론으로서 정치원칙을 지켰으며, 셋째, 정조의 즉위 의리를 담고 있는 책, 『명의록』의 원칙을 지키려고 활동하였다. 이러한 그의 정치활동이 유언호가 정조의 배향 공신에 선정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Chikjiheon(則止軒) Yu Eon-ho(俞彦鎬) is from Gigyei Yu family (杞溪兪門). The best office he was in was the first vice-premier. He got a posthumous name, Chungmun-gong(忠文公), and his ancestral tablet was enshrined in Jongmyo(宗廟) after dying. He always put a great value on keeping strict principles. Politically, Yu Eon-ho belonged to Noron(老論) so he strived to conduct the rules of Noron in practice all through his life. He was an outstanding scholar and government official as well. Among his academic backgrounds was a disciple of Naklon(洛論), Sanlim(山林scholars who have high learning and virtue but hide without going to government office). He was, however, a very active bureaucrat as it was the tradition of his family to go to office and change the world. He was enthusiastic at studying and thereby he became a master of the king"s eldest son before King Jeongjo(正祖) took over. After King Jeongjo was crowned, he worked as an entourage official helping the king to solidify various national systems such as establishing the imperial library, Kyujanggak(奎章閣). As a result, the King strengthened the kingship but, in the second half of the ruling period, Jeongjo put the king"s authority ahead. Accordingly, a man of strict political principles, Yu Eon-ho became engaged in strong conflicts with the King. Therefore, he went through lots of ups and downs of life, sometimes being exiled and other times getting back to work as a bureaucrat again. However, Yu Eon-ho who constantly supported Jeongjo"s policy was still a close staff member of King Jeongjo. Yu Eon-ho earned a deep trust from King Jeongjo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of all, h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various policies of Jeongjo. Next, he stuck to his political principles as a strict Noron member. Lastly, he tried to cling to the principles in the book, Myeonguirok(明義錄), which described a loyalty for the king. For these reasons, Yu Eon-ho was enshrined in the King Jeongjo"s Jongmyo after he died.

      • KCI등재

        정조의 천주교 인식 배경과 진산사건의 정치적 함의

        임혜련 ( Lim Hye Ryu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9 사총 Vol.96 No.-

        진산사건은 1791년(정조 15년) 전라도 진산군에 살던 윤지충과 권상연이 조상에 대한 제사를 폐지하고 신주를 불태운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윤지충은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자 장례는 성심을 다해 치렀지만 신주를 세우지 않고 제사 역시 지내지 않았다. 이는 충ㆍ효를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삼았던 유교사회 조선에 큰 충격이었고, 결국 윤지충과 권상연이 죽임을 당하였던 사건으로 신해박해라고도 한다. 진산사건은 이러한 전례 문제에 대한 충돌과 함께 남인에 대한 정치적 견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진산사건은 그 사건 자체가 충격이기도 하였으나, 이후 조선에서 천주교를 아버지와 임금도 없고, 패륜으로 강상을 어지럽힌 사학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따른 박해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던 사건이다. 정조는 사건의 주도자였던 윤지충과 권상연에게는 엄한 형벌로서 처분하였지만, 진산사건 자체는 그 파장을 최소화하려고 하였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아들로 즉위하여 즉위 초부터 궁극적으로 사친을 추왕하기 위한 행보를 하나하나 완성해 갔으며, 이는 정조의 사무치는 효의 실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조가 진산사건을 비교적 온건하게 처분하였고, 정학을 바로 세운다는 온건한 천주교 인식을 보여준 것은 그의 본심으로 보기는 어렵다. 무엇보다 효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정조였기에 어머니의 신주를 불태운 이 사건을 용서할 수 없었던 것이 그의 진심일 것이다. 하지만 정조는 냉정하게 사건을 처리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정치가들이 이 사건으로 남인을 공격하였기 때문이다. 채제공이 사건과 관계는 없다고 할지라도,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과는 관련이 있었다. 그렇지만 채제공은 영조대부터 사도세자를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만큼 정조는 그를 등용하여 측근 신하로서 정조의 정책과 효를 실현하는 결정들을 입안하고 추진하는데 앞장서게 하였다. 정조가 채제공을 정승에 임명함으로써 남인에게까지 탕평을 확대하였다는 정치적 성과를 자랑할 수 있지만, 이는 사도세자의 무함함을 공식화하고, 그에 맞는 존숭을 시행하며, 추왕을 완성하기 위한 조처였다. 그러므로 정조는 효의 완성을 위해 진산사건의 파장을 최소화 하려고 하였으며, 천주교 문제에 온건적인 인식을 유지하였던 것이다. Jinsan Incident refers to Yun Ji-choong and Kwon Sang-yeon’s case of burning their mothers’ spirit tablets in 1791 (15th Year in King Jeong-jo’s Rule). They did not even hold ancestral rites. They were Catholics. This incident was a shock to Joseon dynasty, which was a Confucian society. This incident signifies the clash between Catholic doctrine and Confucian tradition. Catholicism was rejected from Joseon dynasty due to this incident. Jeong Joexecuted Yun Ji-choong and Kwon Sang-yeon, but he tried to minimize the implication of this incident. King Jeong-jo came to throne as the son of Prince Sado who had been killed by violence. After he ascended the throne, King Jeong-jo carried out actions to make his dead father the king as a way of realizing his filialpiety, ‘hyo’. King Jeong-jo dealt with Jinsan Incident moderately. He announced that he would establish the correct education. This showed his moderate recognition of Catholicism. However, King Jeong-jo regarded filial piety(hyo)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than anything else. Thus, he could never earnestly forgive the case of burning their mothers’ spirit tablets. However, he dealt with this incident calmly. The reas on why is that politicians used this incident as a way of attacking Nam-in. They tried to get rid of Chae Jae-gong by attacking him who represented Nam-in. Chae Jae-gong made exchanges with people who were involved with this incident. He was close to King Jeong-jo. King Jeong-jo appointed him to the minister. Through him, King Jeong-jo wanted to make Prince Sado, his father’s innocence official. The next step was to make Prince Sado reverent and him a king. Therefore, King Jeong-jo minimized the implication of Jinsan Incident to complete his filial piety (hyo) toward Prince Sado. Also, he maintained moderate recognition of Catholicism.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한국사에서 섭정(攝政),수렴청정권(垂簾聽政權)의 변화 양상

        임혜련 ( Hye Ryun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2 No.-

        왕조국가의 수장인 국왕은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며 대내적으로는 국정을 운영하며 통치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국왕이 아직 국가를 다스릴 여건이 마련되지 않았을 때에는 왕을 이끌어 정치를 대신하는 섭정(攝政), 왕과 함께 정국을 운영하는 수렴청정(垂簾聽政)이 행해졌다. 섭정과 수렴청정권의 향배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다. 고구려 태조왕은 앞서 모본왕을 시해한 세력에 의해 추대되었고, 모후인 부여인 태후가 섭정하였다. 신라 진흥왕대 섭정을 하였던 지소태후는 왕의 모후라는 점과 혈연적인 우세 속에 섭정이 가능하였다. 혜공왕대 섭정한 만월부인도 역시 왕의 모후로서 섭정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목종대 모후 헌애왕태후 황보씨, 헌종대 사숙태후 이씨가 섭정을 하였다. 원간섭기 충목왕대에 모후 덕녕공주가 섭정하였고 충목왕 사망 후 희비 윤씨 소생의 충정왕이 즉위하였을 때도 덕녕공주는 섭정을 하였다. 고려시대 섭정은 왕의 모후가 하는 것으로 관례화되었다. 왕의 모후는 아들이 즉위한 후 태후로 책봉되어 섭정을 담당하였다. 아들이 왕이 되지 못하였을 경우 왕비의 칭호는 왕후였던데 비해 아들이 왕이 되면서 이들에게는 태후의 칭호와 이에 상응하는 존숭의 제도·의례가 부여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왕비가 정치를 대신하는 섭정에서 왕과 왕비가 함께 정국을 운영하는 수렴청정으로 변화하였다. 성종대 정희왕후는 성종의 모후였던 소혜왕후 한씨가 있었음에도 왕실의 가장 어른으로 수렴청정권을 행사하였다. 이는 이후 조선의 선례가 되었다. 이는 왕의 모후로서가 아니라 선왕의 적처로서 선왕의 권위를 바탕으로 수렴청정하는 왕비의 위상을 보장해 준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한국사에서 섭정·수렴청정권은 삼국시대 모후 섭정에서 고려시대 태후섭정으로, 조선시대 선왕의 비이며 왕실의 가장 어른이 행하는 수렴청정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왕비에 의한 대리정치가 사적 관계에서 공적 관계로 발전한 것이며, 관료제 발전과 더불어 그 역할과 명분을 합리화한 역사성을 반영한다. Regency and administering state affairs from behind the veil changed according to age. King Taejo of Koguryo was had as the president of on 7 years old by influence that assassinate King Mobon before. And Empress Dowager who was a Buyeo person ruled as regent. Jisotaehoo that ruled as regent to King Jinheung age of Shilla was king`s mother. And She was king Beopheung`s daughter and was king Jijeung `s daughter-in-law. Regency was available by superiority that is the these blood ties. On the other hand, Mrs. Manwall that age of king Hyegong ruled as regent as mother of king too. Goryeo Dynasty period, regency queen was queen mother of king. These took charge of regency because was invested as Empress Dowager after son accedes to the throne. In case of son didn`t king, title of queen was Wanghu. The other side, if son become king, title and treatment of Taehu(empress dowager) was given to these. Therefore, ruled as regent with the authority being reverenced as empress dowager in the Koryo Dynasty period. And empress dowager got into existence that was precious by son. Regency·administering state affairs from behind the veil changed by Empress Dowager regency the Koryo Dynasty period in queen regency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Korean history with upside. The Chosun Period was late king`s queen and changed by administering state affairs from behind the veil that householder older person of royal family does. This means that deputy politics by queen developed from personal relation to public relation. Also, It reflects historicity which rationalize the role and justification along with bureaucratic development.

      • KCI등재

        1795년(정조 19) 혜경궁의 화성 행차와 봉수당 진찬의 특징

        임혜련(Lim, Hye-ry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장서각 Vol.0 No.40

        사도세자의 빈이며,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는 ‘임오화변’으로 파란만장한 생애를 살았던 인물이다. 그러나 정조가 즉위하면서 이로 인해 지위와 위상이 상승하였고, 정조의 지극한 ‘효’의 대상이 되었다. 정조는 살아계신 부모님 혜경궁을 위해 명호제정, 존호가상과 진연을 통해 효를 행하였고, 그 정점이 1795년(정조 19) 화성 행행이었다. 정조 19년 화성 행행은 사도세자와 혜경궁의 회갑을 맞이하여 정조가 혜경궁을 모시고 현륭원을 참배하고, 화성 행궁 봉수당에서 진연을 시행한 것을 지칭한다. 정조는 화성 성역도 확인하고, 백성들에게 시혜를 베풀며 강화된 왕권을 과시하면서도 국왕 스스로 유교 국가의 덕목인 효를 행하고 신하들과 백성들의 충을 이끌어냈다. 화성 행행은 혜경궁 개인에게는 회한의 세월을 다소 해소할 수 있었던 시간이기도 하였지만 의례적인 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조선시대 왕실 여성이 궁궐 밖 원거리로 행행하는 것은 이례적인 행보였으며, 역시 궁궐 밖에서 회갑 축하 진찬의 주인공이 된 것도 혜경궁이 유일하였다. 정조 19년 화성에서 치러진 봉수당 진찬의 특징은 첫째, 궁궐을 벗어나 화성 행궁에서 시행된 것을 들 수 있다. 이로 내연과 외연으로 그 시행 장소를 구분할 수 없는 독특한 진찬이 되었다. 둘째, 혜경궁의 지위와 관련하여 상당한 별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례서에 왕의 생모를 위한 진찬이 규정되어 있지 않았지만, 정조는 혜경궁이 주인이 되는 진찬의 선례도 대왕대비의 예에서 구했고, 봉수당 진찬이 이후 대왕대비 회갑연의 선례가 되었다. 혜경궁이 대비의 지위가 아니었기 때문에 모두 7작을 올리는 연례로 시행되었고, 왕실 친인척인 남성이 참석하게 되면서 내연에서 山呼를 하였다. 이상과 같은 봉수당 진찬의 특징은 혜경궁의 특수한 지위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화성 행행에서의 진찬이라는 상징적인 의례를 시행한 것이었고, 정조가 그간 시행해왔던 효의 절정을 보여준 의례로 볼 수 있다. Hyegyeonggung Hong was the wife of Prince Sado and the mother of King Jeongjo. She lived a turbulent life as a ‘Imohwa-byun.’ However, when King Jeongjo took the throne, his position and status were elevated and he became the object of King Jeongjo’s filial piety. Jeongjo held a feast for his mother Hyegyeonggung and practiced filial piety. In 1795 (the 19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Hwasung march was at its zenith.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eongjo was the year when the Prince Sado and the Hyegyeonggung became 60 years old. King Jeong-jo accompanied his mother to visit Hwasung and pay respects to Hyeonnungwon, the tomb of the Prince Sado. And King Jeongjo held a 60th birthday party for his mother at Bongsoodang in Hwasung Haenggung. Also he confirmed the construction of Hwasung and gave the people a gift. He has shown off the royal authority like this. And the king himself did filial piety, the virtue of the Confucian nation, and brought out the loyalty of his officials and people. The Hwasung march is also important in terms of formality. It was unusual for a royal woman of the Joseon Dynasty to go a long distance outside the palace. And Hyegyeonggung was the only one who became the main character of the celebration of the 60th birthday outside the palace. Bongsoondang feast, which was held at Hwasung in 19 years of King Jeongjo’s reig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was a feast for both men and women. This was 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participants in the royal banquet. Second, there was diversity and flexibility in holding the banquet. Hyegyeonggung’s actual birthday was June 28. It was a banquet held in advance by Hwasung. This means celebrating not only the birthday of Hyegyeonggung, but also the 60th birthday of the same age of the Prince Sado. Third, a special ceremony was held concerning the status of Hyegyeonggung. It was divided by blind that the party was attended both men and women. And, Hyegyeonggung was not a queen, so it given the alcohol seven times. But, they did ‘Sanho’ because the men attended. As ab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ngsoondang party were specially implemented because of her special position. However, it was meaningful to hold a symbolic big party outside the palace. This was the formality that showed the best of filial piety by King Jeongjo.

      • KCI등재

        19세기 수렴청정의 공과 사

        임혜련(Lim, Hye-ryun) 한국역사연구회 2014 역사와 현실 Vol.- No.93

        Women of the Joseon Dynasty era took the role of maintaining families under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and the Principle of Making a Distinction between Man and Wife. Home, which was a ‘private" space in the spatial aspect, was their sphere of activity. However, when a woman of nobility married a king, that home became part of the royal family and the country. Activities, as well as private spaces of the queen, although not entirely and unconditionally, essentially became ‘public.’ A Queen would make a contribution by assisting her husband in governing the country. And in some cases, the authority of regency was given to the queen mother when a young king came to throne. Regency by the Queen Mother became a device for taking a grand royal queen dowager out to the public sphere of managing a country. As a result, a grand royal queen dowager could perform the ‘public" role, which she already had during her days as queen, now in public space. The legalization of this was the enactment of a "Subdivision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This was a detailed enforcement regulation which constituted a foundation for performing her duties as ‘public matters" of a Grand Royal Queen Dowager. Nevertheless, regency by the queen mother not only had ‘public" elements. As we can see, family members of the grand royal queen dowager were appointed to important seats, and monopolized authority. Regency by the queen mother had room for ‘private matters" in actual operation. Therefore, official participation in politics without this aspect was hard to expect. This became a problem for management of regency by the queen mother.

      • KCI등재

        헌종비(憲宗妃) 효정왕후(孝定王后)의 국혼(國婚)과 남양(南陽) 홍씨(洪氏)의 역할

        임혜련 ( Lim Hye-ryun )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2

        Queen Hyojeong was the 24th king Heonjong's wife of Choson dynasty. Three of the queens of the 19th century were from Andong Kim's family. They were the Sunjo's Queen Sunwon, Heonjong's first wife Queen Hyohyun and Chuljong's wife Queen Chulin. However, Queen Hyohyeon was not Andong Kim's family among the four queens from Sunjo to Chuljong. This was a very unusual case at the time. Queen Hyojeong was the daughter of Hong Jae Ryong, Namyang Hong's family. The characteristic of the royal marriage of Queen Hyojung was that Queen Hyohyun died and was taken without holding three-year mourning. The reason was Heonjong without having a son. The choice of Queen Hyojung as the queen was the great queen dowager Sunwon. It was very important to hold or keeps power that any pedigree becomes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in 19th century. The family of Queen Hyojung did not have much strong power. There were not many members of the family, and no one was in high ranking position. Nevertheless, It was able to royal marriage because having weak power was not a threat to Andong Kim's family. After that, chosen the Queen of chuljong again from Andong Kim's family, and provided a justification for the selection of a spouse for the royal fam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