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논어』에서 공자의 덕치이념에 대한 일고찰 : 주자와 다산의 敬과 德治에 대한 주석을 중심으로

        임헌규 ( Lim Heon-gyu ) 남명학연구원 2019 南冥學硏究論叢 Vol.24 No.-

        유교는 修己를 통해 德을 쌓은 군자가 덕치를 시행하여 지선의 공동체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치이념으로서 유교의 덕치는 『서경』의 「요전」에서부터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공자 또한 수기치인의 덕치이념을 계승ㆍ발전ㆍ정착시켰다. 요컨대 공자에 따르면, 敬으로 修己를 이룬 군자는 덕치로 안민ㆍ안백성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그 수단으로서는 예악을 우선으로 하고 형정을 부차적인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논어』에 나타난 공자 정치이념의 핵심을 형성하는敬과 德治개념을 여러 주석들의 대비적 고찰을 통해 그 의미를 추적하여, 유교정치의 특징과 (신고주와 대비한) 다산 주석의 특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서경』에서 敬과 德(敬德)이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살폈다. 다음으로 『논어』의 敬과 德治개념 및 그것이 나타난 구절과 주석을 살핌으로써 공자가 이 개념을 정립한 맥락과 후대 고주와 신주 그리고 다산의 정의ㆍ주석을 정리하고 상호 대비되는 논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결론으로, 주자와 다산의 敬과 德治개념의 주요특징을 대비적으로 서술하였다. This Articles intend to articulate Cu-Hui and Dasan' commentary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centered on definition of reverence(敬) and Te(德) in Confucian analects. The most critical question in political philosophy was what are truly a human Virtues and a good life? Confucius believed in reality of the human Virtues. Confucius's political philosophy is based upon human Virtues. Tsze-lu asked what constituted politician. Confucius said, "The cultivation of himself in reverential carefulness." and He said, "He who exercises government by means of his virtue may be compared to the north polar star. If they be led by virtue, and uniformity sought to be given them by the rules of propriety, they will have the sense of shame, and moreover will become good." Neo-Confucian, Chu-Hui attempted to metaphysically approach to what is a reverence(敬) and Te based on theory of Li-Ki(理氣論). He thought that reverence(敬) and Te are essentially tied together as a process of universe. Chu-Hui considered a reverence(敬) as the only beginning and ending of 'to become a sage'. Dasan defined a reverence(敬)' as one of many ways of 'to become a sage.' Chu-Hui considered a politics by Virtues as revelation of innate Virtues. Dasan defined Virtues as a process of life.

      • KCI등재
      • KCI등재

        철학 : 다산(茶山)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인성론(人性論)비판에 대한 일고찰(2)

        임헌규 ( Heon Gyu Lim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1

        人性이란 인간의 탄생과 더불어 타고난 것으로 인간이 자기정립을 가능하게 하는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그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개념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유교철학의 주요한 논쟁점 중의 하나였다. 이 논문은 茶山 丁若鏞의 人性論과 그 특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다산의 人性개념은 性理學과 대비를 통해 고찰할 때 그 특징이 잘 드러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와 연관하여 찬반 논쟁에 개입하고 필자의 입장을 제시하려고 한다. 다산의 성리학적 性개념에 대한 비판은 주로 성리학의 가장 중요한 명제인 ``性卽理``와 ``本然之性-氣質之性``이라는 용어에 집약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선 ``性卽理``라는 명제에 대한 다산의 비판과 대안으로서 다산의 성기호설을 제시하고, 나아가 다산의 성기호설에 대해 비판한 한 탁월한 주장의 정당성 여부를 논구해 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개념이 지녔던 原義에 의해서만 후대 발전된 이론체계 전체를 해체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표시하면서, 다산의 성기호설에 대한 반론에 대해서 異見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다산의 성리학적 ``本然-氣質之性``개념에 대한 비판 및 대안을 살피면서 그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다산은 주로 ``本然``과 ``氣質``의 연원과 의미, 기질결정론, 그리고 人物性同得論 등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바, 여기서 필자는 주자학이 기질결정론과 人物性同得論을 피력하지 않았음을 증시하려고 하였다. Mencius(『孟子』)is the first systematic book of theory of mind-heart. Dasan`(1762-1836))`s interpretation of Mencius is based on theory of mind-heart. Dasan also uphold Menciusn as the first systematic rebuilder of Confucian theory of Mind-Heart. Dasan criticise Chu-hsi(朱熹)`s Neo-Confucian theory of Mind-Heart. Dasan redefined Sung(性) at his commentary of Mencius『孟子要義』. Dasan interpreted that Sung is potentiality of love achieved only by human beings`s own efforts. Dasan`s the concept of Sung is based upon theory of Mind-Hear(心性). Dasan reinterpreted human mind-nature only as human mind(人心)and justice` mind. Dasan`s concept of human mind-nature is not of concept of an innate idea, but what is created by human being`s everlasting efforts.

      • KCI등재

        『논어』의 시(詩)에 대한 주자의 해석과 다산의 비평

        임헌규 ( Heon Gyu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49

        공자는 박문약례의 방법으로 제자들을 도덕적인 군자로 양성하려고 하였다.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친 문(文)으로는 『시(詩)』와 『서(書)』가 대표적 인데, 이 중 『논어』에 인용된 것으로 살펴보자면, 『시』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이 글은 『논어』에 인용된 시(詩)와 그 편명 등이 인용된 장(章)에 대해 역사상 가장 독창적이며 영향력이 있는 해석자의 한 사람인 주자(朱子)의 주석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다산 정약용(1762-1836)의 비평을 살펴봄으로써, 다산의 주석이 지닌 독창성과 창의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는 『논어』에 시를 인용한 장(章)에 대한 주자 주석의 특징을, 주자가 고주를 1)그대로 수용한 한 장(6곳), 2)부분적으로 수정한 한 장(3곳), 그리고 3)전면 새롭게 해석한 장(6장)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그런 다음 이러한 장에 대해 다산 정약용이 어떤 관점과 근거에서 분석, 해석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런 고찰의 결과 다산이 고주를 지지한 것은 전체 15장 가운데 2곳이며, 부분적으로 수정한 것은 1곳, 나머지 12곳에서는 완전히 다른 주석을 하고 있음을 살폈다. 그리고 다산은 주자와 연관해서는 1)주자와 함께 고주를 지지한 것은 1장, 2)주자의 신주를 거부하고 고주를 지지한 것은 1장, 3)주자의 신주를 수용한 것은 3장, 4)주자의 신주를 부분적으로만 수정한 것은 1장, 5)고주와 신주 모두를 거부하고 자신의 새로운 관점과 근거에서 주석한 장은 것은 9장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다산은 『논어』에 인용된 시와 연관된 해석에서, 고주와 주자의 신주를 넘어서 그 누구 못지않게 독창적이면서 창의적인 주석을 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This Article``s aim is to discuss and contrast 1) Chu-Hsi``s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Poetry``s Poetics in Confucian analects and 2) Dasan``s Criticism of it. Confucius was tried to educate ``learning to become a sage(聖學)`` based upon six Classics(六經). He especially empathized learning of The Book of Poetry(詩經). Confucius said, "If you do not learn The Book of Poetry(詩經), you can``t to converse with others. Confucius`` said, ``In The Book of Poetry(詩經) are three hundred pieces, but the aim of them all may be embraced in one paraphrase - "Having no depraved thoughts."`` This sentence is Confucius``s final definition of Poetics. Chu-Hsi`` analyzed, deconstructed, and re-interpretations Poetics``s paragraph of The Book of Poetry(詩經) in Confucian analects. Dasan Cheong Yagyong tried to recover the original meaning of Poetics in Confucian analects. Dasan collected, complied, and re-interpretation dispersed original material of Poetics``s paragraph of The Book of Poetry.

      • KCI등재
      • KCI등재
      • 투고논문 : 주자(朱子)의 『대학(大學)』관에 대한 다산(茶山)의 비판(2) -"삼강령(三綱領)"과 "격물치지(格物致知)"를 중심으로-

        임헌규 ( Heon Gyu L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9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4 No.-

        이 글은 茶山의 『大學』론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앞의 필자의 연구인 “朱子와 茶山의 『大學』에 대한 관점 비교(1):‘大學’과 그 편제를 중심으로”의 후속편이다. 여기서 필자는 朱子의 ‘삼강령’ 및 ‘격물치지’의 해석을 茶山이 어떻게 비판하는 지에 대해 대비적으로 제시하고, 그 정당성과 장단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먼저 삼강령 가운데 첫째인 ‘明明德’에 대한 해석에서는 朱子가 理氣-心性論에 의해 해설하였다는 것과, 茶山은 朱子의 해석을 비판하면서 明德이란 ‘孝弟慈’이고, 나아가 明明德이란 明人倫일 따름이다고 주장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주자가 ‘親民’에 대해 마땅히 新으로 써야하며, 新이란 ‘去舊染之汚’를 의미한다고 주장하지만, 다산은 “이른바 明德과 親民 모두 孝弟慈일 따름이며, 新民이 아니라 親民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을 살폈다. 그리고 ‘止於至善’에서 朱子는 ‘至善’을 우주론인 접근을 통한 해석을 시도하였다면, 茶山은 孝弟慈의 실천이라고 하는 인륜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格物致知’에서 대한 해석에서 주자는 『대학장구』에서 衍文과 闕文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格物補傳章?을 덧붙었다는 것, 그리고 ‘格은 이르다(至)’, ‘物은 事’라고 해석하고, ‘致知’에 대해서는 ‘致는 미루어 다함(推極也)’, ‘知는 앎(識)’으로 풀이하였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茶山은 『대학』에 착간이나 궐문이 없다고 주장하면서 “知知而后有定에서… 其所薄者厚 未之有也”까지가 바로 「格物致知章」이라고 주장하였다는 것과 ‘格物’의 ‘格’은 ‘量度이며, 따라서 ‘格物致知’란 “物의 本末과 事의 終始사이에 성립하는 선후관계의 차례를 지극히 인식하는 것이다.”고 주장하였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산은 주자의 八條目說을 부정하고, ‘格物致知-六條目說’을 주장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논의의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주자와 다산의 『대학』관을 대비-분석하고, 다산의 주자 비판의 정당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Dasan's Criticism on Chu Hsi' View of The Great Learning centered on three general principle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Chu Hsi is recollection old The Great Learning in terms of three general principle and the eight articles. But Dasan followed old edition of The Great Learning. Chu Hsi elucidate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to renovate the people, and to rest in the highest excellence in terms of his own Li-Ki. In comparison with Chu Hsi, Dasan elucidate illustrate illustrious Virtue in terms of human duties. Chu Hsi supplementation 'the investigation of things' in terms of his own philosophy. But Dasan omit Chu Hsi's supplementation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Dasan propos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 six articles in The Great Learn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