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

        임진형(Jin-Hyung Lim),고지애(Ji-Ae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J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상관분석과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행복감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직무만족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행복감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 개인의 변인인 행복감에 대한 의미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teaching efficiency of childcare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99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the J region, Korea. For collecting data,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teaching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on job satisfaction,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 sense of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can affect job satisfaction, and it is meaningful to present basic data on teachers" personal areas of life, happiness and efficacy for job satisfaction.

      • 유아의 질병 및 건강 개념에 대한 인식

        임진형 ( Jin Hyung Lim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0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의 효과적인 질병예방 및 건강 교육을 위해 유아들이 인식하는 질병 및 건강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인식하는 질병 및 건강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만 3-5세 47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들은 자신의 경험에 기초한 질병의 경험을 인식하고 있으며, 질병의 원인으로 유아들은 ‘무응답 및 관련 없는 대답’, ‘성인 권위에 대한 불복종’, ‘부적절한 음식의 섭취’, ‘병균의 침입’, ‘부적절한 청결상태’, ‘부적절한 보온이나 환경’과 관련한 응답을 나타냈다. 질병의 치료방법으로‘의학적 치료’, ‘권위에 대한 복종’, ‘청결유지’, ‘휴식’, ‘음식섭취’라고 응답하였다. 질병예방과 관련하여 유아들은 ‘의학적 치료’, ‘청결’, ‘음식의 섭취’, ‘생활습관’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유아들의 건강 개념 관련하여 유아들은‘나는 건강하다’라고 대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유아들은 ‘신체적으로 안녕한 사람’, ‘성인 권위에 대한 복종을 잘하는 사람’, ‘음식섭취를 잘하는 사람’, ‘의학적 치료를 잘하는 사람’, ‘청결한 사람’, ‘활동을 잘하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이라고 응답하였다. 유아들은‘건강하다’는 것은 단지‘아프지 않은 것’뿐만 아니라 성인 권위에 대한 복종, 의학적 치료를 잘 하는 것 등의 다양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유아 질병예방 및 건강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children`s disease and health concept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ly, children understood diseases based on what they have experienced. As causes of diseases, they selected `no answer and non-related answer`, `non-obedience for authority`, `intake of inappropriate foods`, `invasion of pathogen`, `inappropriate cleanness status`, or `inappropriate insulation and environment`, as answers. Secondly, as cures for diseases, `medical cure`, `obedience to authority`, `maintenance of cleanness`, `appropriate rest`, `intake of foods`, or `good living habits`, were selected as answerers. Thirdly, as prevention methods of diseases, they selected `medical cure`, `cleanness`, `intake of foods`, or `living habits`, Fourthly, children replied that `I`m healthy`, and defined healthy people as in the following order: `people with physically healthy`, `people obeying the authority`, `people with good food intake`, `people taking good medical treatments`, `clean people`, `people with good disease prevention activities`, `people with physical activities`.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effectively used as basic data for children`s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경험 분석

        임진형(Lim Jin-Hyung),김경미(Kim Kyung-mi),진미선(Jin Mi-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경험한 실외놀이의 의미와 어려움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실외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의 의미, 실외놀이 운영의 어려움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신체발달을 도모하는 실외놀이, 소통으로서의 실외놀이, 에너지 발산으로서의 실외놀이, 자연과 함께하는 실외놀이의 의미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대 · 소 근육을 발달시키고 사회성 발달의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에너지의 발산과 자연과의 교감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여러 자료와 방법을 통해 유아들에게 의미있는 실외놀이 활동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나 계획과 일치하지 않는 실외놀이의 운영, 시간의 부족, 놀이지도 자질의 부족의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외놀이의 운영에대한 유아교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고, 실외놀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보도록 하는데 의미를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experience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is purpose, the experience obtained in planning/operating the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s well a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ir operational process, were examine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eigh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play was analyzed. The teachers considered outdoor play as meaningful in that the children could develop gross/fine-motor skills, have the chance to develop their sociality, relieve their stress, and also commune with nature through outdoor play. Second, regarding the plan/operation of the outdoor play activities, even though they aimed to provide the children with meaningful outdoor play activities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methods, most of the teachers could not put their original plans into practice, because of the numerous variables in the actual site. The teachers" difficulties included insufficient time, spatial limitations, and insufficient qualifications for play instruction.

      • KCI등재

        역할놀이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은유분석

        임진형(Lim Jin-Hyung),이진희(Lee Jin-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들의 역할놀이에 대한 은유의 경향과 은유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A지역 대학 보수교육에 참여한 어린이집 교사 166명을 대상으로 문장 완성형 은유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은유분석에 관한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유아교육전문가 2인이 질적 연구의 방법을 활용한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할놀이 은유의 경향은 3개 범주, 8개의 내용으로 분류되었으며, 3개 범주는 ‘사회성 발달’, ‘정서발달’, ‘발달’의 순서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8개의 내용 중 ‘사회성 발달’ 범주에서는 ‘모방’이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정서발달’ 범주에서는 ‘정서표현’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발달’ 범주에서는 ‘발달의 필수요인’이 단독내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놀이 은유의 의미는 먼저 ‘사회성 발달’ 범주에서는 ‘사회적 기술’, ‘역할체험’, ‘모방’, ‘사회이해’의 의미, ‘정서발달’ 범주에서는 ‘상상력’, ‘정화작용’, ‘정서표현’의 의미, ‘발달’ 범주에서는 ‘발달의 필수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역할놀이의 가치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ndency and the meaning of day care center teachers regarding role playing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6 day care cente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city university supplement education using the sentence completion metaphorical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nducted by 2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role playing metaphorical expression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8 contents and the frequency of "sociality developmen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emotional development", "development". Second, the meaning of role playing metaphorical expression was recognized as "social skills", "role experience", "imitation", and "understanding of society" in the "sociality development" category; as "imagination", "purification function", and "means of expression" in the "emotional development" category; and as "essential factor of development" in the "development" categor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t was suggested that the roles of education and teachers for the value and effective operation of role play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적용 실행과정 탐색

        임진형(Lim, Jin-Hyung),박은혜(Park, Eun-Hy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개선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실행-평가의 과정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실행연구였으며, 연구기간은 2010년 7월 19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다. 연구참여자는 A대학 유아교육과 예비교사 29명이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원양성과정에서 PBL 적용 실행은 계획, 교수-학습과정, 평가가 순환적이며, 다차원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 나갔다. PBL 계획에서는 교과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비구조적이며, 실제 상황을 반영한 통합된 문제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개발한 문제는 학습자의 특성, 이전 학습의 수준 등을 고려하여 적용 이전에 수정하였다. 학습환경은 효과적인 협동학습을 위한 물리적 배치를 고려하였고, 성격 등의 요소를 반영하여 조를 구성하였다. 학습활동지원을 위해 온라인 환경을 구성하여, 사회적·감성적 활동을 지원하였다. PBL 교수-학습과정에서 유아교사교육자인 교수자는 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다수의 그룹을 지도하는 형태이므로 그룹활동과정의 역동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하면서 관리자,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다. 학습자에 대한 교수자의 지원은 1차 실행에서 3차 실행으로 갈수록 점차 도움을 축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by apply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to realize the improvement of PBL and by exploring the process of plan-implementation-evaluation.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ction research for improving PBL clas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9, 2010 to October 31, 2010. The study participants were 29 second 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pplied subject was ‘soci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During this period, various literature reviews, observation, recording class and analysis, interview, writing journals and daily report were carried out and then the data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BL appli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was implemented by the process of planning, teaching-learning process, evaluation. In the PBL planning process, the Problem was developed based on the subject concepts and real situation problems and was screened and approved by peer colleagues and experts. The Problem was revised before applying PBL class. The learning environment was designed considering physical arrangement and other various factors. The learning activity was set in on-line, social and emotional activities were supported. In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a teacher performed the roles of a teaching-learning designer, a learning contents expert and a tutor.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course, a PBL teacher performed not only as a facilitator but also a manager and a guide, monitoring to find the dynamic process of group activity due to guiding a number of groups. The support for learners was carried by step by step.

      • KCI등재
      • KCI등재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진희(Jin-Hee Lee),임진형(Jin-Hyung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모 양육스트레스 관련 논문 최초 발행 시점인 1998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 82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1998년부터 2019년까지 시기별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부모 관련 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 관련, 양육환경 관련, 부모-자녀 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 관련 주제 중 양육신념과 행동 관련 변인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결과,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질적연구와 문헌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적연구에서는 질문지를 활용한 검사방법이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우세하였으며 모-영아, 부모, 부모-영아-교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관심과 학문적 연구의 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infancy. To this end, 82 papers in journals registered in the KCI from 1998 to 2019 were review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for each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type, and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rom 1998 to 2019, there was a continuous increase in each period.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themes related to parents were the most researched, followed by the child, parenting environment, and parent-child. Among the topics related to parents, research on the variables related to parenting beliefs and behaviors was the highest.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absolute, and no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the quantitative studies, the most common test method was through a questionnaire. Fourth, regarding each research subject, the research of mothers was dominant, followed by mother-infant, parent, and parent-infant-teac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scope of research and academic interest in the parenting stress of infancy parents.

      • KCI등재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진희(Lee Jin-hee),임진형(Lim Jin-h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초 논문 발행시점인 1995년부터 2019년 8월말까지 한국연구재단(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 64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별 분석결과, 1995년 초창기에 비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또한 관련 논문들은 주로 유아교육·보육관련 전문 학술지에 발표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쌓기놀이와 발달 관련주제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쌓기놀이 행위, 쌓기놀이와 교과·교육과정/프로그램개발 관련주제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상대적으로 쌓기놀이 이론, 쌓기놀이에 대한 이해 관련 연구는 미미하게 이루어졌으며 쌓기놀이 평가 관련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분석결과, 양적연구가 질적연구에 비해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대상별 분석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우세하였으며 문헌, 교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 쌓기놀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쌓기놀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증대시키고, 쌓기놀이의 연구 범위를 넓히는 계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block play. For this, 64 papers of Korean journals list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KCI) from 1995 to 2019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and subjec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by study period showed a steady increase compared to the early 1995. In addition, related papers were mainly published in specialized journal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cond,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topics were the most related to block play and development related topics, followed by block play behavior, block play and subjects related to curriculum,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theory of block play and understanding on block play.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more done than qualitative research. Fourthly, the analysis results by study subjects showe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involving infants, followed by literature and teach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trends of block play-related research, increases the academic interest in block play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on block play.

      • KCI등재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진희(Lee, Jin Hee),임진형(Lim, Jin Hy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7 육아지원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인식한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J지역 어린이집 보육교사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가 인식한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직무스트레스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상대적인 설명력은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 설명력을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에서는 평가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에서는 낙관성, 감사하기가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social support recogniz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job stress, and how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ed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A total of 231 child care teachers in J area filled out the survey about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job stress.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SPSS Win. 22.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mong resilience, social support that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and job stress. Second, regarding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social support had more explanatory power than resilience. Concerning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ptimism, appreciation, and evaluation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as highlighted to alleviate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