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새로운 현실에서 Relationship Marketing의 진화: 디지털 뉴미디어 환경의 보편화와 고객 참여의 고도화를 중심으로

        임종원,조호현,이정훈,Lim, Jong Won,Cho, Ho Hyeon,Lee, Jeong Hoon 한국마케팅학회 2012 ASIA MARKETING JOURNAL Vol.13 No.4

        After relationship marketing emerged as a new approach in the marketing field in the 1980s, it has been widely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sia.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global competition has made it inevitable for companies to consider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environment more closely. Under these circumstances, relationship marketing has held a position as a pivotal paradigm in the field of strategy as well as in marketing. In addition, relationship marketing has overcome the limitations of a traditional marketing research while providing richer implications in company's marketing activities. The paradigm shift to relationship marketing has brought fundamental changes in a marketing point of view. First, in philosophical aspects, unlike past research which focused solely on custom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relationship parameters which focuses on trust and commitment has become key elements of successful relationship marketing while shifts in thoughts naturally take place from adaptive marketing to strategic marketing. Second, in structural aspects, the relational mechanism of governance such as network structure with a variety of relational partners has emerged as a new marketing organization from the previous simple structure focusing on the micro-economic, marketbased trading between seller and customer. Third, in behavioral aspects, it proposed the strategic course of the action of gaining an advantage over the competition on the individual firm level by focusing on building long-term relationships and considering partnership with the components in the entire marketing system, rather than with one-time transaction-centric action between a seller and a customer. Fourth, in the aspects of marketing performance, marketing performance was sought through the long-term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customers in the marketing system, focusing on the overall competitive advantage based on relationship rather than individual performance of individual companies'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market share and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studies of relationship marketing were mostly centered in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relation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commercial sector in the marketing system. Paradoxically, the circumstance of the consumer's side that must be considered is evolving again in relationship marketing. In structural aspects, a community, as the new relationship governance structur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in behavioral aspects, the changing role of consumer participation demanding big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engaged in the marketing system.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relationship marketing community for common value cre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organization of consumers with the focus on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and marketing system according to the new realities of the 21st century- the popularity of digital environments and the diffusion of customer participation. Therefore, future research of relationship marketing must seek for a truly integrated model including all of the existing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research oriented relationship from both the commercial and consumer sector. 1980년대 마케팅 분야에서 Relationship Marketing이란 새로운 접근방법이 등장한 이후 미국, 유럽 및 아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급속한 환경변화와 경쟁의 세계화로 말미암아 기업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된 상황에서 Relationship Marketing은 마케팅뿐만 아니라 전략분야에서도 중추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를 잡아가면서 전통적인 마케팅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보다 풍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Relationship Marketing의 연구들은 마케팅 시스템의 상적 영역(commercial sector)에서의 관계구조 및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조직간 관계 중심이 대부분이었다. 역설적으로 Relationship Marketing에 있어서 다시금 소비자 측면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1990년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웹의 상업적 적용이 빠르게 적용되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은 커뮤니케이션 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 2000년대 뉴미디어와 혁신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스스로 확대된 정보 네트워크를 갖추고 활발하게 정보교환을 하면서 생산이나 판매에 참여하고 있다(Kelly 1998: Jenkins 2006). 이러한 기업과 소비자의 변화는 기업과 소비자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데, 그에 따라 최근 소비현상에서 소비자의 주도적인 역할이 자주 논의되고 있다.(Seybold 2000: Sharma and Sheth 2004: 임종원, 양석준 2006). 디지털 모바일환경에서의 서비스 유통구조인 플랫폼을 통한 새로운 관계 지배구조로서의 공동체(community)가 연구대상이 되고 있고, 행위적 측면에서도 디지털 환경과 맞물린 소비자 참여 역할 변화는 마케팅 시스템에서 커다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Relationship Marketing 연구 성과를 (1) 철학적 측면, (2) 구조적 측면, (3) 행동적 측면, (4) 마케팅 성과 측면에서 전통적 마케팅 연구 관점과 비교 검토하는 동시에 21세기의 새로운 현실, 즉 디지털 환경에서 뉴미디어의 보편화와 고객 참여의 고도화에 따른 마케팅 환경과 마케팅 시스템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의 조직화라는 관점에서 공동 가치창조를 위한 연결마케팅공동체의 형성 가능성을 제시하고 향후 Relationship Marketing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전술적 운용과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대화력전 모델링과 분석

        임종원,이태억,김대규,Lim, Jong-Won,Lee, Tae-Eog,Kim, Dae-Kyu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16 No.2

        In counterfire warfare,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attack enemy targets faster than the enemy using sensing and shooting assets. The artillery assets of North Korea are mostly mine artillery and much more than those of South Korea. To cope with sudden fire attacks from North Korea, we need to improve capability of our artillery. In this paper, we discuss issues and problems of our counterfire warfare systems and processes to overcome numerical inferiority and defend against the mine artillery. We develop a simulation model for counterfire warfare and analyze effectiveness of our counterfire weapon systems and operations based on various counterfire warfare scenarios. Finally, we propose methods of tactical operations and acquisition strategies of counterfire weapon systems, including detaction, firing, and protection assets.

      • KCI등재

        강원도 양식 연어과 어류에서 분리된 에로모나스 종의 유전학적 동정

        임종원,구본형,김광일,정현도,홍수희,Lim, Jongwon,Koo, Bonhyeong,Kim, Kwang Il,Jeong, Hyun Do,Hong, Suhee 한국어병학회 2017 한국어병학회지 Vol.30 No.2

        현재 양식장에서는 Aeromonad를 비롯한 다양한 병원균에 의한 전염병으로 인해 많은 경제적 손실을 겪고 있다. 연어과 어류뿐만 아니라 담수 및 해수어류에도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하는 Aeromonas 종은 적어도 26종 이상이 보고되어왔으며, 전염병을 유발하는 유비쿼터스 세균이다. Aeromonas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DNA 및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핵산 서열을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Aeromonas 종은 강원도 16개 양식장의 연어과 어류로부터 분리되었으며 Aeromonad의 16S rDNA와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 즉 RNA polymerase sigma factor ${\sigma}^{70}$ (rpoD) 또는 DNA gyrase subunit B (gyrB)를 기반으로 계통 발생 학적으로 동정했다. 그 결과 대서양 연어 (Salmo salar), 은연어 (Oncorhynchus keta), 산천어 (Oncorhynchus masou masou),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서 96 개의 균주가 수집되었으며, 36개의 균주가 16S rDNA 분석에 의해 Aeromonas 속으로 확인되었다. 확인된 Aeromonas 속 균주는 rpoD 또는 gyrB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추가 분석되어 Aeromonas salmonicida (24 균주), A. sobria (10 균주), A. media (1 균주) 및 A. popoffii (1 균주)로 검출되었으며, 이 것은 Aeromonas salmonicida가 강원도의 연어과 어류에서 주요 감염균임을 나타낸다. 또 하우스 키핑 유전자의 서열에 기초한 Aeromonas 종의 계통발생학적 동정은 16S rDNA 서열보다 더 정확하다는 것이 또한 증명되었다. At the present, fish farms are suffering a lot of economic losses due to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various pathogens including aeromonad. Aeromonad is ubiquitous bacteria that causes infectious diseases. At least 26 species in the genus Aeromonas have been reported to cause fatal infections not only in salmonid fishes, but also in other freshwater and seawater fishes. Molecular techniques based on nucleic acid sequences of 16S rDNA and housekeeping genes can be used to identify the Aeromonas species. In this study, The genus Aeromonas was isolated from salmonid fishes of sixteen fish farms in Gangwon-Do, Korea and phylogenetically identified based on the sequences of 16S rDNA and housekeeping genes for Aeromonad, i.e. RNA polymerase sigma factor ${\sigma}^{70}$ (rpoD) or DNA gyrase subunit B (gyrB). Consequently, 96 strains were collected from Atlantic salmon (Salmo salar),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an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nd 36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he genus Aeromonas by 16S rDNA analysis. Thirty six Aeromonad isolates were further analysed based on rpoD or gyrB gene sequences and found Aeromonas salmonicida (24 isolates), A. sobria (10 isolates), A. media (1 isolates) and A. popoffii (1 isolates), indicating that A. salmonicida is a main infectious bacteria in Salmonid fishes in Gangwon-Do. It was also proved that the phylogenetic identification of Aeromonas species based on the sequences of housekeeping gene is more precise than the 16S rDNA sequen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