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 요통을 지닌 노인의 운동기능 재활을 위한 비침습 대뇌피질 전기자극의 이용가능성: 예비조사

        임종민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2020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over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on pain intensity and functional strength in the elderly withchronic back pain. Methods: Sixteen elderly (72 ± 5.16 yrs) with chronic back pain participated in this randomized double-blindedcrossover study. Each participant received both sham and 2-mA anodal currents over left dlPFC (cathodeover the seventh cervical spinous process) for 20 min during 2 weeks for each current type with a washoutperiod of 2 days between two different current stimulation periods. Pain intensity, functional lift strength, andthe fear-avoidance response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evaluat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pain-related variables between the 2mA stimulation periodand the sham stimulation period. However, for results by within-group analysis in each stimulation period,we fou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intensity (p=.02), functional strength, (p=.006) and fear-avoidanceresponse (p=.002) only after 2mA stimulation perio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shamstimul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d that anodal tDCS over dlPFC improve the painful feelings,followed by the functional strength for lifting task.

      • KCI등재

        대학교 재학생 및 교직원의 효율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계열 학과 중심의 산학협력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운영방안

        임종민 대한스포츠물리치료학회 2021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Vol.17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smart health-care technology across the world and propose a model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healthcare methods with a study design to prove future values. Methods: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fter classification of themes, including global trends of health-careparadigm and smart health-care technology. Then, based on the in-depth review, a realizable future plan of health-care programe with a sutdy design was deduced. Result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three stages to introduce health-care program, able to be conducted by universtiy independently. The first stage was to propel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department of health college in university. Then, secondly, individual roles of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on should be set as well as a smart health-care program, using research equipments that university possess. Lastly, pilot operation should be preceded, then the user scale should be enlarged progress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after completing above-mentioned three stages, a cost benefit study, proposed additionally in this study, will support future values of the newly proposed health-care program in terms of a individuals and community.

      • KCI등재

        위상 동기 루프를 이용한 CMOS 주파수 합성기의 설계

        林鍾玟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 IE (Industry electronics) Vol.40 No.12

        This research describes the design of a fully integrated fractional-N frequency synthesizer for the local oscillator in IMT-2000 system using 0.18-m CMOS technology and 1.8-V single power supply. The designed fractional-N synthesizer contains following components. Modified charge pump uses active cascode transistors to achieve the high output impedance. A multi-modulus prescaler has modified ECL-like D flip-flop with additional diode-connected transistors for short transient time and high frequency operation. And phase-frequency detector, integrated passive loop filter, LC-tuned VCO having a tuning range from 1.584 to 2.4 GHz at 1.8-V power supply, and higher-order sigma-delta modulator are contained. Finally, designed frequency synthesizer provides 5 MHz channel spacing with 122.6 dBc/Hz at 1 MHz in the WCDMA band and total output power is 28-mW.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을 원하는 신호들은 각 채널에 해당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반송파에 실려 오게 되는데 이렇게 반송파에 실려온 신호를 끄집어 낼 때 반드시 필요한 파트가 Local Oscillator (LO)이다. LO의 신호는 보통 VCO에 의해 발생되지만 원하는 채널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해서 VCO의 주파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회로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주파수 합성기가 수행하게 된다. 보통 주파수 합성기는 VCO를 포함한 PLL을 이용하여 만들게 된다. 따라서 PLL에서 생기는 잡음 또한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조의 전하 펌프 PLL을 이용하여 WCDMA용 주파수 합성기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된 모든 회로는 0.18 um CMOS BSIM(Berkeley Short Channel IGFET)의 Level 49 SPICE 모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설계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저 전력, 고집적화 경향에 발 맞추었다. 또한 각 부분 및 전체 회로는 ADS(Advanced Design Systems)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

        지하공동구 내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휘도 분석 및 광색 적용 연구

        임종민,유성식,공효주,신상욱,신진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8 No.4

        Purpose: In this study, the luminance measurement analysis results of the smoke generation state are considered for visual signal display light color for real-time escape guidance in the underground common area. Method: We will analyze the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light in the atmosphere and optical technology based on the visibility theory, and try to classify the elemental technology as a guidance function through a prototype of a visual signal display device for evacuation guidance. Result: In the experiment conducted under the smoke-generating condition, the results were derived with low luminance ratio and good visibility in the order of red, green, and yellow. However,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general lighting in which color rendering is considered, and is limited to signals for signals and detection. Conclusion: A conclusions were drawn by reflecting both the luminance measurement results in the smoke generation situation and the preference survey result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for the light color of the visual signal for signal and detection. When events such as smoke occur, it is better to use the escape guidance visual signal in red or green.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내 실시간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광색에 대하여 연기발생 상태의 휘도측정 분석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초록 연구방법: 대기 중의 빛의 산란 특성 및 시인성 이론에 근거한 광학적 기술을 분석하고 탈출 유도를 위한 비주얼 시그널 표출 장치 시작품을 통하여 유도기능으로서의 요소기술을 분류하고자 한다. 초록 연구결과: 연기 발생 조건 상태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적색, 녹색, 황색 순으로 휘도비가 낮고 가시성이 좋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단, 본 결과는 연색성이 고려되는 일반 조명과는 다른 결과로 신호용, 감지용 등의 시그널에 국한된다. 초록 결론: 신호용, 감지용 비주얼 시그널의 표출 광색에 대한 연기 발생 이벤트 상황에서의 휘도 측정 결과와 선행 연구에서 실시된 선호도 조사 결과를 모두 반영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기발생 이벤트 발생 시 적색 또는 녹색의 광색으로 탈출 유도 비주얼 시그널을 적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자기 정체성에 의해 조절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임종민,장문선,이종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on-suicidal self-injury (NSSI) and to examine whether self-identity moderates this mediating effect. A total of 233 college students who had engaged in NSSI within the past 12 month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dysregu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SSI, with self-identity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Also, self-identity moderated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ivity on NSSI meditated by emotional dysregulation, while the direct effect of negative affectivity on NSSI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higher levels of self-identity are expected to mi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NSSI.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온라인 조사 업체가 보유한 패널 중에서 최근 1년 동안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를 경험한 대학생 233명을 대상으로 성인 기질 척도(ATQ), 자해 기능 평가지(FASM), 정서조절 곤란 척도(DERS), 자기 정체성 척도(SCIM)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곤란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 곤란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관계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 정서성이 정서조절 곤란을 매개하여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자기 정체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부정 정서성과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직접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 정체성 수준을 높임으로써 부정 정서성이 정서조절 곤란을 매개로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산업현장 중대재해 경험 근로자의 심리적 외상과 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에 관한 연구

        임종민,장문선,김경우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psychological trauma, mental health, and safety-related variables among workers who experienced fatal industrial accidents (FIA) at the manufacturing workplaces, where FIAs mainly occu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workplaces in which FIA occurred (the accident groups) and one workplace which had no experience of FIA (the control group). The accident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ES-R classification criteria (high-risk and low-risk groups) as well as the level of FIA exposure (directly-exposed, indirectly-exposed, and unexposed groups) in order to compare the levels of psychological trauma, mental health, and safety-related variables among workers. In the results, the high-risk group showed higher severity of symptoms in all factors of KSCL-95 compared to the low-risk group. The directly-exposed group exhibited a higher degree of event impact than the indirectly-exposed and unexposed groups, and also reported more serious symptoms in KSCL-95.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which considered the level of FIA exposure and the IES-R classification criteria, showed that the proportions of high-risk workers found in the directly-exposed and indirectly-exposed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unexposed group. In addition, regarding safety-related variables, the low-risk group had a higher level of safety practice than the high-risk group, and most of the sub-factors in IES-R and KSCL-95 were negatively related to safety-related variables. Despite the many limitations involved with field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d that even general industrial workers suffer psychological trauma after experiencing FIAs. 본 연구는 산업 및 직업영역의 중대재해가 주로 발생하는 제조업 사업장을 대상으로 중대재해 경험이 있는 근로자의 심리적 외상, 정신건강, 안전 관련 변인(안전분위기, 안전사고, 안전행동) 수준을 확인하였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개소(112명, 사고집단)와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업장 1개소(13명, 비교집단)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사고집단을 사건충격척도(IES-R) 점수(위험군, 저위험군)와 중대재해 노출 경험(직접노출, 간접노출, 비노출)에 따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비교집단을 포함하여 집단 간 심리적 외상, 정신건강, 안전 관련 변인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고집단의 위험군은 저위험군에 비해 KSCL-95의 모든 지표에서 증상의 심각도가 더 높았다. 또, 외상사건 직접노출 집단은 간접노출 및 비노출 집단에 비해 중대재해로 인한 심리적 충격 정도가 더 높았으며, KSCL-95에서 더 심각한 증상을 보고했다. 사고집단의 빈도분석 결과에서도 직접노출 및 간접노출 집단의 위험군 비율이 비노출 집단의 위험군 비율보다 높았다. 안전 관련 변인의 경우, 사고집단의 저위험군이 위험군에 비해 안전실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IES-R과 KSCL-95 하위요인 대부분이 안전 관련 변인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조사로 인한 제한점이 일부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는 소방, 경찰, 간호사 등의 직군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현장 근로자도 외상사건에 노출되면 PTSD 증상을 경험하는 등 일상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산소 플라즈마 전처리에 의한 접착력 향상에 관한 연구

        임종민,설수덕,하선희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1

        플라즈마는 일반적으로 이온화된 가스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각 입자들은 서로 다른 전하를 띄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총전하량은 0이다. 우주도 대부분 이러한 플라즈마 상태를 띄고 있다. 플라즈마는 분자나 원자들의 충돌로 인하여 에너지를 잃게 된다. 플라즈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에너지를 공급해주어야 되는데, 가장 쉬운 것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것이다. 플라즈마는 고분자 표면의 분자들과 반응하여 유기물의 제거하거나, 불활성 기체를 사용하여 표면 활성 후 가교반응, 표면의 깍아냄으로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 표면적을 넓게하여 작용할 수 있는 접착면적을 증가시킨다. 현재 표면의 세척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습식방식은 소재의 팽윤과 작업환경의 저하, 사용 후 후처리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러나 건식의 플라즈마 방식은 소재의 표면에만 작용하고, 다양한 소재에 사용이 가능하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개질이 일어나며 기체의 종류에 따라 표면의 개질 성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플라즈마 장치가 고가이고, 각각의 소재마다 공정변수들을 달리하여야 하며 진공내에서 처리하여야 하여 대량 생산의 공정에 맞지 않다. 이러한 것들은 상압 플라즈마로 많은 부분들이 해결이 되다. MW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고분자 소재들의 최적의 처리 조건을 도출하고, 이때의 표면의 특성을 SEM 촬영과 접촉각 측정, AFM 측정 등을 하여 플라지마에 의한 표면 개질 효과를 확인하였다.

      • 단계유화중합에 의한 다중 core-shell 라디칼의 제조

        임종민,설수덕,하선희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마이크론 크기의 core-shell 라텍스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MMA, St, BA의 단계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되어진다. 첫 번째 단계인 core의 유화중합 시 단량체는 MMA, St, BA를 각각 사용하며 유화제는 농도가 높을 경우 shell 중합시 새로운 입자의 생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중합 안정성이 있는 범위에서 유화제의 양을 최대한 억제하여 core입자를 제조하여야 한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인 shell의 유화중합시 단량체는 PMMA core의 경우 BA, St을, PBA core의 경우 MMA, St을, PSt core의 경우 MMA, BA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관능기를 부여하기 위해 2-HEMA, AA, MAA를 사용한다. 또한 필름형성,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한 입자형태, 시차주사열량분석기에 의해 유리전이온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수 평균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으로 core-shell 라텍스의 구조 및 입자형태 특성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중합한 라텍스를 부직포에 함침시켜 건조온도에 따른 인장강도와 신율의 물성시 험으로 바인더로서 사용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