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이 학교폭력에 방관적인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임정란,오오현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for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y on schoolchildren who are indifferent to school violence,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ill the empathic abilities of the test group is carried out improve more than the empathic abilities of the control group? Secondly, will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of the test group is carried out decrease more than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of the control group? A preliminary examination was conducted, setting 12 male & female, 4 - 6 graders from 3 schools of A region community child center of S city in Jeonnam as the test group and 15 male & female, 4 - 6 graders from 6 schools of B region community child center of S city as the control group. To the test group,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s carried out twice a week for a month, 8 times in total, and the changes of the empathic abilities and th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are compared. In the empathy test, an empathy test tool adapted and revised by Ahn Joo yeon (1999) for the easy understanding of schoolchildren based on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of Davis (1980) is used, and in the indifferent attitude test, the tool Kim Hyun Joo (2003) invented for the bystander distinction in her study on bullying typology is used as it is. The differences of average between the two groups a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7 program.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eaningful difference is made to the level of p<.01 regarding total empathy level and total indifferent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verifying that improvement of the empathic ability of the schoolchildren who have indifferent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the vast majority of all students, is effective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학교폭력에 방관적 태도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이 통제집단의 공감능력보다 증가할 것인가? 둘째,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가 통제집단의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보다 감소할 것인가? 전남 소재 S시 A지역아동센터의 3개 학교 남녀 초등학생 4 - 6학년 12명을 실험집단으로, S시 B지역아동센터의 6개 학교 남녀 초등학생 4 - 6학년 15명은 통제집단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한 달에 걸쳐 주 2회씩 총 8회기 동안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공감능력과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공감검사는 Davis(1980)의 대인관계 반응척도(IRI)를 기초로 하여 안주연(1999)이 초등학생이 이해하기 쉽게 번안․수정한 공감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방관적 태도 검사는 김현주(2003)가 집단따돌림 유형화 연구에서 방관자 변별을 위해 개발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 프로그램으로 두 집단 간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총 공감능력과 총 방관태도에 있어서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전체 학생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학교폭력에 대해 방관적 태도를 가진 초등학생에게 공감능력 향상이 학교폭력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아 배려행동에 대한 유아 교사들의 경험과 배려교육을 위한 제안

        임정란,정효진,배지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1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of children’s caring behaviors and suggestions for enhancing caring behaviors in peer relationshi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ve more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children’s caring behaviors experienced by the teachers were characterized by caring that was based on empathy, caring without expectations for reward, caring behaviors that were dependent on the mutual relationships, and caring for others that took priority over caring for oneself. Th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when children showed caring behaviors without sincerity. Teachers also felt difficulties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caring as well as multiple factors that influence children’s caring behaviors. To enhance children’s caring behaviors, the teachers suggested education that builds on solid foundations for caring,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formation of an atmosphere that enables daily practice of caring behaviors in peer relationship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 promote children’s caring behavio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education for caring behaviors. 본 연구는 일상 안에서 유아 교사들이 경험하는 유아 배려행동의 특징과 지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배려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제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경력 3년 이상의 어린이집 교사 13명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이 경험한 유아 배려행동의 특징은 공감을 토대로 한 돌봄과 이해득실을 계산하지 않는 베풂,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드러나는 배려행동, 자기배려보다 우선시 된 타인배려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진심이 결여된 채 형식적으로만 나타나는 유아의 배려행동과 배려개념에 대한 교사 본인의 이해 부족, 성인과 다른 유동성과 변수를 지닌 유아의 배려행동으로 인하여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사들은 유아 배려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배려의 토대부터 만들어가는 교육의 실천, 배려에 대한 교사의 이해를 돕는 프로그램의 개발, 일상적인 배려가 가능한 교육환경의 구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배려교육의 방향과 보완점을 배려교육의 실행 주체인 교사의 경험을 통해 파악하였다는 점, 유아 배려행동이 단편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일상적인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한 방향을 탐색하였다는 점이다.

      • KCI등재

        Photoluminescence and Raman Studies of an InxGa1-xP Quantum Wire Structure Fabricated Using Lateral Composition Modulation

        임정란,노희석,송진동,J. M. Kim,최원준,Y. T. Lee 한국물리학회 200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8 No.6

        We report polarized photoluminescence (PL) and Raman scattering from InxGa1.xP quantum wire (QWR) and lateral superlattice structures grown using the lateral composition modulation (LCM) that is formed during the growth of InP/GaP short-period superlattices (SPSs). The QWR structure was fabricated in the presence of LCM by reducing the growth thickness of the SPS layers. Strong anisotropies between the PL responses polarized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elongated direction of LCM were observed both in the lateral superlattice and in the QWR structure. By comparing PL spectra taken at T = 10 K and 300 K, we identified the origin of each PL peak. Raman spectra revealed that a GaP-like longitudinal optical mode in the QWR structure displayed an energy shift of 2 cm.1 and a broadening of the linewidth compared to that in the lateral superlattice. The energy shift is presumably related to a difference in strain and/or an increase in CuPt-type ordering. An increase in the strain variations in the QWR structure is responsible for the broadening of the linewidth.

      • KCI등재

        한 대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 및 회복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탐구

        임정란,임경희,전영국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관계경험을 탐색하면서 피해과정과 피해 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들을 관찰하면서 학교폭력 피해자 상담방법을 찾고자 하 였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대학생을 추천받아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였 다. 제 1저자는 2018년 1월부터 2018년 2월 말까지 5회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6 개월 후인 2018년 9월 초에 추가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경험부 터 현재까지 관계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원자료를 시간의 흐름으로 구분하고 개방코딩하 여 유사개념을 묶어 상위범주와 하위범주로 범주화하여, 학교폭력으로 가는 과정과 학교폭력으 로부터 회복되는 두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학교폭력 피해과정에 서 부모와의 관계패턴을 학교에서 반복하면서 피해자가 되었고, 학교폭력 이후에도 대인공포가 남아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교사와 친구의 도움을 통해 학교에 적응하였고, 마음을 털어놓고 공 감받으면서 회복되었으며, 부모와의 관계를 이해하면서 대인공포를 극복하고 관계를 확장해 나 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상담에 적용하면 피해자의 적응 및 회복에 도움 이 되리라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unseling methods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what they hav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violence and recovering from i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r on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violence at schools. The first author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held five times from January 2018 to the end of February 2018,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September 2018. The interview we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experiences she had with parents since her childhood. Based on open coding method,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he process of being involved in school violence and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school viole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 who experienced the violence became a victim by repeating the patterns of relationship with her parents at schools. Also the victim had the fear of having relationships since sh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e was able to overcome the fear in interpersoanl relationships as she adopted herself to school and expanded the relationship earning sympathy, with the help of teachers and friend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the other victims adapt to and be able to recover. when they are applied to counseling of school violence victims.

      • KCI등재

        상담교사의 대리외상과 대리외상 후 성장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의 이중 매개효과

        임정란,강영신,문정순,이재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1 No.1

        While school counselors listen attentively and empathically to students during counseling sessions, theycould experience vicarious traumas through the clients' presented traumas. The vicarious trauma couldaffect the counselor negatively but yet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such as posttraumatic growth (PTG). Among many variables, resilience has been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experience. Also,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better self-regulation ability an individual has, the moreresilient he/she is. In addition, mindfulness has been known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self-regulationability. Based on the prior research fin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vicarioustrauma experience and their posttraumatic growt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3 schoolcounselors (male 14.3%, female 85.7%) and their average counseling experience was two years and threemonths and their average age was 42.5.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and proved a partial double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and self-regulat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findingswere discussed. 상담교사가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공감적인 태도로 경청하다보면 내담자의 외상에 대해 간접적인 외상경험을 하고 외상 후 성장을 할 수 있다.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외상경험 후에 외상 후 성장을 이루는데 영향을 주는 많은 변인 중에는 탄력성이 있는데 탄력성을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 하나가 자기조절능력이다. 이러한 자기조절능력은 마음챙김을 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대리외상을 입은 후 마음챙김을 하면 부정적 상태를조절할 수 있게 되고 긍정적 변화인 외상 후 성장을 하게 된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리외상이 외상 후 성장을 이루는 경로가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의 이중매개를통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133명의 상담교사(남 14.3%, 여 85.7%)이었으며, 평균 상담 경력은 2년 3개월이었고 평균연령은 42.5세이었다. 연구결과는 대리외상과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조절능력이 부분 이중 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언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Krukenberg 종양 3 례

        임정란,배은림,조오숙,신현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4

        저자들은 위가 원발병소로서 양측 난소에 전이된 Krukenberg 종양 2례와 임신과 동반된 Krukenberg 종양 1례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rukenberg tumor is gener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alignant tumors of ovary. We have had an experience of three cases of metastatic Krukenberg tumor from stomach and report the cases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자동차 Interior 재료 검증방법 강화동향

        임정란(Jungran Lim),강원구(Wongu Kang),김효경(Hyokyoung Kim),남호(Ho Na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09 No.4

        As vehicles are sold all around the world, requirements for interior materials are various and severe according to environments that are used to vehicles. For example materials have to withstand cold temperature and hot temperature without any deteriorations during total life cycle. Also recently, haptic, optic, no smell properties for interior materials are more important. Therefore our study shows the trend of validation method to meet more severe requirements and included validation method to meet various customer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