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속문화의 여성성과 민속학의 여성주의적 문제의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여성민속은 두 가지 문제와 만난다. 하나는 민속문화의 전승주체 절반은 여성이라는 사실이며, 둘은 민속 연구주체의 여성주의적 시각이다. 일찍이 이능화가 여성 가운데도 기녀와 무녀에 관한 연구로 하층 여성민속 연구의 보기를 남겼다. 계급해방과 민족해방 등 인간해방의 관점에서 여성주의 민속학을 주목한다. 겉으로 드러난 여성민속에 머물지 않고 남성민속 속에 숨어 있는 이면의 여성민속을 밝히는 것이 과제이다. 여성민속을 부정하는 경향은 강강술래조차 여성놀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남성들도 참여했다는 것이 그 근거인데, 예외적인 참여주체보다 강강술래가 지닌 여성놀이로서 성격이 더 중요하다. 1) 보름날 달밤에 하는 여성들의 집단놀이, 2) 보름달은 여성의 잉태와 분만을 상징, 3) 달의 생생력 주기와 여성의 생리와 일치, 4) 놋다리밟기, 월월이청청 등 여성놀이와 같은 성격의 놀이, 5) 노래 부르며 춤추는 노래놀이, 6) 강강술래 여흥놀이들도 여성놀이, 7) 모성적 생산성을 갈무리한 여성놀이 등이 중요한 근거이다.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양식인 의식주생활의 주체가 여성이다. 여성은 온 가족을 입히고 먹이고 화목하게 생활하도록 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의식주 문제를 해결하는 책임도 여성이 더 무겁게 진다. 무상급식은 단순히 빈부문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점심을 책임져야 하는 어머니의 책임과 연관되어 있다. 학교에 다니는 자녀들의 점심만 온전하게 해결되면 주부들은 점심 끼니에서 해방되고 온종일 마음이 편하다. 그러므로 무상급식은 복지 문제를 넘어서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여성주의 전통은 서구와 견주어보면 상대적으로 잘 드러난다. 남녀를 일컫는 일상적 호칭에서 한국민속의 여성성이 더 건강하다. 여성을 남성의 종속적 존재로 일컫는 영어 호칭과 달리, 한국의 호칭은 남녀가 대등하거나 오히려 여성이 우위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남성문화 이면에 여성문화가 있다는 사실을 혼례와 제례의 여성주의적 성격에서 드러난다. 굿을 비롯한 불교와 기독교 신도들 가운데 여성들이 많아서 한국종교문화를 여성들이 이끌어간다. 여성들이 한국 종교문화를 이끌어가는 주체이기 때문에 다종교복합국가를 이루되 테러와 같은 종교간 분쟁이 발생되지 않는다. 전통문화의 이면을 분석적으로 보면 여성주의적 문화가 더 잘 드러난다. 가옥구조의 배치나 성별에 따른 이용을 보면, 여성들이 안채나 안방처럼 더 크고 안전하며 더 중요한 공간을 사용한다. 설화를 보면, 시어른이 며느리에게 또는 아버지가 딸에게 구박 받는 이야기가 있다. 가부장체제로 알려진 전통사회에서도 여성권력이 꿋꿋했다는 사실을 여러 모로 밝힘으로써, 전통사회에 대한 남성주의적 고정관념을 극복할 수 있다. 유교 전래 이전의 고려시대 문화는 여성주의 전통이 우세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러한 전통이 유교 전래 이후의 남성주의 문화 속에서도 단절되지 않고 살아 있다. 따라서 여성주의 시각에서 보면, 오히려 최근의 관습이 더 문제이다. 차례나 제사 준비를 전적으로 여성의 몫으로 맡겨버리거나, 집안의 호칭으로 여성의 친정지명인 택호를 쓰지 않고 남편의 지위명을 쓰는 것이다. 더군다나 여성의 자력적 출산력이 약화되고 있는 것은 인간의 생명력이 상실되어가고 있는 증거이다. 인간해방의 상생적 여성주의는 여성의 모성을 회복하는 것이자 인류의 생명력을 회복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여성은 공시적으로 보면 인류의 반쪽을 이루고 있지만, 통시적으로 보면 인류사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온전한 주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신화의 주체적 인식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임재해(Lim Jae-Hae) 고조선단군학회 2007 고조선단군학 Vol.17 No.-

        This explicates the identity of Korean Mythology as a logic of ‘Bonpuri’ which is the typical example of Korean Mythology, and not as a theory of Foreign Mythology. ‘Bonpuri’ is a song that interprets god’s fundamental history through exorcism of an exorcist. Starting from the genesis to the present, it is a mythology that depicts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history of the n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an exorcist. The word ‘Bon’ from Bonpuri is the beginning of a history and the original form of a culture. It is Bonpuri that unravels the history of genesis and the prototype of culture, a model and a function of Korean Mythology. Our mythology is nothing but a compressed file which puts the first form of national culture and identity. Accordingly, through the logics of Bonpuri, the road to mythology research is to solve the compressed form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in myths. To have a detailed look into Changsega of shamanism mythology, many mythologies are captured such as the Creation Mythology, the Progenitor Mythology, and the Solar & Lunar Control Mythology. The truth is that Dangun Myth?known as the story of Gojoseon foundation?is combined with Hwanoong and Dangun Myth. The Jumong Myth is put together by Haemosu and Jumong Myth thought in the same logic. It is surely enough to grasp the truth that Shinsi and Buyeo existed before Gojoseon and Goguryo era respectively. The story of Hwanoong tells about Hwanoong giving Shinsi under Shindansu of Mt. Taebaek, ruling over 360 matters, and saving the world from confusion and hardships. Therefore the myth itself is possible to be called the ‘Shinsi Nation’, as the story tells about Hwanoong building theocratic nation called Shinsi and becomes a heavenly father. Dangun Myth added to Hwanoong Myth, tells and captures the history of the foundation of Gojoseon. Because two stories are not viewed distinctively, it is misunderstood considering ‘Hongik Human’?a devotion to the welfare of mankind?that is an idea of Hwanoong and an ideology of Shinsi, as the idea of Dangun or the thoughts Gojoseon foundation.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ind the original form of national culture from Shinsi culture before Gojoseon culture. Hwanoong was a heavenly father of Shinsi who made agricultural civilization, pursued eternal life, and accomplished constitutional and virtuous ruling. The evidence of memorial service toward heaven can be found at an altar ruin of Hongsan Culture and eternal life and evidence of successful ruling are in the record of China’s ancient history which notes Dong-ee is a virtuous and invincible nation. Agricultural tradition is discovered from Bitsal Pattern Vessel and Ondol, both are relics of settlement life. So it is highly possible that the word ‘Tengri’?which means the heaven and heavenly gods in the nomadic field?is delivered since Dangun. Bonpuri mythology requires mythical archaeology which goes toward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mythical modernology which explains the present life. Dangun myth as modernology is alive in our lives just as it was. Wormwood and garlic in the bear’s stomach still continues in our dietary life and Ondol from the tradition is being connected as an identity of house living. The cultural creativity shaped from Ondol accepted boiler and bed and both of them are exported to overseas as a product name called Ondol Boiler and Ondol Bed. Therefore, by unraveling national mythology through Bonpuri, it is possible to reason the original form of the ancient culture as well as to explicate the identity of the present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산촌마을 공동체의 약화 원인과 지속 요인

        임재해(Lim, Jae-h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1 民俗硏究 Vol.0 No.23

        모든 개념은 실체와 관념의 두 층위로 존재한다. 공동체의 관념은 일정하더라도 실체는 끊임없이 변화되고 있다. 지금 산촌은 과거의 도시보다 더 문명화되고 발전되었지만 여전히 산촌다운 공동체성을 지니고 있다. 연구자가 직접 산촌 살림살이를 하며 보고 겪은 사실을 근거로 마을공동체의 변화와 지속 요인을 분석하고 그 변증법적 함수 관계를 포착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공동체를 이루는 기본요소는 사회학문의 시각에서 지역, 협동, 의식의 세 가닥으로 인식되고 있다. 인문학문의 관점에서 보면 세 요소 외에 문화적 동질성과 역사적 지속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런 시각에서 ‘가장실’ 마을을 대상으로 공동체의 변화와 지속의 문제를 들여다보면, 공동체를 약화시키는 사회적 요인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 감소화와 노령화이다. 이러한 인구변동의 원인이 기술문명에 따른 산업화인데, 마을에서도 농기계의 보급과 전자제품의 일반화로 공동체의 친밀성을 약화시키는 요인 구실을 한다. 농기계의 보급이 공동노동보다 가족노동 또는 개별노동을 하게 만들어 협업의 기회를 크게 줄이게 되었다. 그리고 마이크와 텔레비전, 전화, 상수도, 세탁기, 대중교통 등의 일반화로 주민들 사이에서 대면관계에 따라 획득되는 친밀성과 정보 공유에 따른 공동체성을 약화시켰다. 그럼에도 산촌마을답게 공동체성을 지속시키는 요인도 여전히 있다. ‘모듬살이’를 이루며 ‘지리적 근린성’에서 비롯된 ‘대면관계’, ‘역사적 전통’, ‘생업의 동질성’, ‘우리의식’, ‘배려의 마음’, ‘공유정신’, ‘나눔 정신’, ‘공생적 친화관계’, ‘가족적 친밀성’ ‘지연의식’, ‘자발적 실천성’, ‘일상적 친교’ 관행 등이 그러한 요소들이다. 이러한 사실들은 추론적 발견이 아니라 마을 안에서 주민들과 더불어 살아가며 겪은 상황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러므로 공동체란 “역사적 전통 속에서 지연의식을 구심력으로 문화적 동질성을 누리는 친밀한 관계의 모듬살이 사회”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마을이라고 해서 모두 동질적인 공동체는 아니다. 혈연 구성에 따라 동성반촌의 경우는 혈연중심의 공동사회 곧 게마인샤프트에 가까운 공동체이고, 각성민촌의 경우는 모두 대등한 관계로 횡적 결속을 이루고 있는 민주적 공동체라 할 수 있다. 가장실의 경우에는 혈연보다 지연 중심의 공동체성을 지녔다. 다만 혈연의 경우, 객지에서 활동하는 자녀들의 성취가 마을 주민들의 사회적 위상에 영향을 미친다. 과거에는 조상들의 신분이 자손들의 신분을 좌우했는데, 이제는 거꾸로 자녀들의 지위가 어른들의 위상을 결정한다. 마을의 구심력이 도시로 옮겨졌고 가부장 중심의 상하관계가 자녀들에 의해 뒤집어졌기 때문이다. 산촌마을은 계속 쪼그라들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지속 가능성은 있다. 최근에 귀향자들이 늘고 전원생활 희망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산촌에서 기계화와 가전제품은 공동체를 약화시키는 요인인 한편, 공동체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요인이기도하다. 이와 반대로 공동체 성원들의 친밀성은 오히려 새댁들에게 시집살이 부담을 주게 되어서 젊은이들의 귀향을 어렵게 하는 역기능 구실도 한다. 순기능이 역기능이고 역기능이 순기능이라는 굳이 문화의 되돌이 현상을 말하지 않더라도 시골의 마을공동체는 미래의 대안사회로 주목받는 까닭에 지속 가능성의 전망이 어둡지만은 않다.

      • KCI등재후보

        식민시기 민속학의 자주성과 현단계 민속학의 식민성 극복

        임재해(Lim, Jae-Ha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7 民俗硏究 Vol.0 No.34

        지식인들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식민지 지식인 노릇을 하였다. 한일합방 이전부터 일본문화를 신문화로 우상화하였을 뿐 아니라, 그 이전에는 중국의 유교문화를 우월한 문화로 숭배하는 사대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식민정책을 위한 민속조사와 식민지배를 영속화하기 위한 민속 탄압이 자행되었다. 일인들은 조선민속을 일본민속과 다르게 가치 평가를 하고 의미 해석을 함으로써 미신타파에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며 식민지배에 봉사하는 어용학자 구실을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조선학자들은 조선총독부의 권력을 이용하여 민속조사를 하면서 조선문화의 독자성을 입증하려고 애썼다. 그러므로 이면적 진실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하면, 마치 조선총독부 관리와 협력관계에 있었던 식민지배의 공모자로 오해되기도 한다. 해방 후 지식인들은 일본과 서구의 문화를 신문명으로 우상화하는 한편 조선문화의 전통을 재래문화로 간주하여 유의미하게 주목하지 않았다. 따라서 민속문화를 광범하게 조사하고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조사연구활동을 실천하지 못했다. 오히려 식민시기에 일본을 통해서 익힌 서구지식으로 아는 체하고 해방된 한국사회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수단으로 삼았다. 최근 유학파 지식인들은 서구주의에 몰입하거나 또는 일본 학문을 따라하는 한편, 자문화의 전통과 자국 학문을 폄하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민속학자 가운데에는 일본 유학파들이 일본학계의 독서지식으로 한국학계의 성과와 업적을 비판하는 교사적 태도를 보이는 한계가 있는가 하면, 외국학을 하는 학자 일부는 외국이론을 무리하게 적용하여 한국학자들의 민속연구를 조롱거리로 삼기도 한다. 서구학문의 아류 행세를 할수록 학문적 기득권이 확보되고 외국학문에 박학다식을 과시할수록 학문적 존재감이 확보된다고 여기는 풍조 때문에, 한국 문화학은 서구학문의 패러디이거나 리모델링에 머물기 일쑤이다. 학문이든 예술이든 독창성이 생명이다. 그러므로 자문화 해석에 맞는 이론을 개척하고 수립하여 세계학계에 한국문화이론으로 제출할 수 있는 연구를 해야 식민주의 학문에서 해방되는 것은 물론, 한국 학문의 독창성을 제대로 확립할 수 있다. 독창적인 눈으로 민속을 연구하더라도 민속과 민중을 수단화하면 식민주의 학문에 빠져 들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경향이 민중에게 배운 민속으로 민중의 민속을 지도하는 민속학자들의 민속지식 역전 현상 조성이다. 따라서 민속학자 중심의 민속학주의와 민속 중심의 민속주의를 극복하고 민중의 삶에 이바지할 수 있는 민중주의 민속학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민속학자는 자기가 수행하는 민속이 민중의 삶과 함께 가고 있는지 끊임없이 자문하면서 성찰적 연구를 해야 한다.

      • KCI등재

        맥락적 해석에 의한 김알지 신화와 신라문화의 정체성 재인식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07 비교민속학 Vol.0 No.33

        The five types of myth about the father of Silla has a organic relation and show the history and culture early in the Silla era. So far it ware not only studied as independent works, and also all of main characters of myth ware interpreted as northern people. Therefore so many scholars interpreted that Silla golden crown is originated from shaman hat in Siberia. But this study interpret that the myth about the father of Silla and golden crown is originated itself, and that are create works reflexed Alzi myth. First, Hyukgeose myth is originated by in the Holy Mother myth of the maternal line and six village myth of the paternal side. The Alzi myth is originated in relation of prediction of Hyukgeose and Alzi discovery of Talhae. As like this, six village myth and the myth about the father of Park, Suk, Kim has a organic relation, and that is in the context of nation myth. Second, the myth of Silla is originated in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nation myth, that is, the Dangun myth and Jumong myth and so on. The Silla myth accepted the Dangun myth that maternal and paternal line myth are integrated and the Jumong myth that has a element of oviparity. From Dangun myth to the Hyukgeose myth that separated from the maternal line, and change to the Alzi myth that remained the paternal line, and from the Hyukgeose myth that is like Jumong myth to the Alzi myth that a element of oviparity is vanished. Therefore Silla myth is located in the tradition of nation myth and history. Third, The theory that Silla golden crown is originated from shaman hat in Siberia also don't consider a basic principle of diffusionism. If we could conform culture diffusionism, we consider to each barometers of morphology, quantitative, and continuance. Already Korea has Gut culture different to shamanism, so barometer of quantitative is dissolved. And a barometer of geographical continuity is also dissolved, because another golden crown is not found between Kyungju and Siberia. On the contrary, golden crown i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at the most far away from Siberia area. From now, we have to make independent to golden crown of Silla from an antler of Siberia shaman's hat. Because Silla golden crown is which represent national foundation myth of Silla. And we have to release Korean Gut culture from shamanism of Siberia. Gut of Korea has originality differ from shamanism. Moreover, we have to recognize again entire theory and discourse that our culture originated from northern area or Siberia, and overcome Siberia origin theory. And a migration theory of northern people from northern area to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task to overcome.

      • KCI등재후보

        공동체 문화로서 마을 민속문화의 공유 가치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08 실천민속학연구 Vol.11 No.-

        ‘마을문화가 인류문화의 희망’이라고 여기며 마을민속을 바탕으로 미래문화의 대안을 찾는 문화이론 구상이 연구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마을문화의 공유 가치를 주민들의 생활세계 속에서 주목한다. “사람들은 일하고 놀고 빌며 살아간다.”고 하는 문장 속에 네 갈래의 생활세계가 포착된다. 일과 놀이, 제의, 의례 등 생활세계의 갈래에 따라 살펴보자. 1) 마을문화에서 일자리가 없어서 문제되는 사람은 없다. 토지와 재산은 사유를 인정하지만 일자리와 일거리는 마을사람들끼리 공유하기 때문이다. 일자리 공유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가 두레이다. 두레는 일손이 모자라서 문제되는 사람이나, 일자리가 없어서 문제되는 사람의 문제를 모두 해결해 준다. 사유재산을 인정하면서 일자리를 공유하는 두레문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할 필요가 있다. 2) 지금 놀이는 일보다 더 차별화 되어 있다. 경제력에 따라 놀이기회와 놀이내용이 천차만별이다. 놀이시설과 놀이기구를 구매해야 놀 수 있는 까닭이다. 그러나 마을문화에서는 놀이기회가 균등하게 주어져 있고 놀이종목과, 놀이시설, 놀이기구가 무상으로 공유할 수 있어서 누구나 평등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다. 마을에는 상품화된 놀이시설이나 놀이기구가 아예 없다. 놀이터와 놀이시설, 놀이기구를 공유하는 공동체문화가 긴요하다. 3) 교단종교는 신앙생활에서 여러모로 통제가 따른다. 종교선택의 자유는 있으나 신앙의 자유는 없다. 교단에서 끊임없이 신앙생활의 규범을 부여하고 강요하는 탓이다. 그러나 동신은 주민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신앙된다. 동제도 마을의 평안과 경제적 풍요를 위해 이루어진다. 사제자인 제관도 마을사람들이 합의 아래 해마다 선정된다. 마을신앙은 주민들 스스로 신앙주권을 발휘한 열린 구조의 해방신앙이라 할 수 있다. 4) 현대사회의 일생의례는 병원에서 시작하여 음식점, 예식장, 병원, 장례식장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모두 상품화된 시설을 이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마을문화에서는 나서 죽을 때까지 거치는 모든 의례를 마을 안에서 해결한다. 의례용구와 잔치기물이 모두 마을에 갖추어져 있어서 무상으로 이용할 뿐 아니라, 잔치음식까지 부조로 마련할 수 있어서 가난한 사람들도 소외되지 않고 편안하게 의례를 치를 수 있다. 그러므로 공동체 성원들끼리 평등하게 보장된 삶을 누릴 수 있는 생활세계가 마을문화라 할 수 있다. 네 가지 생활세계는 서로 분별되면서 통합되어 있다. 일과 놀이는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이듯이, 두레로 하는 일은 놀이와 제의, 의례를 겸하는 것이어서, 하나이면서 넷이고 넷이면서 하나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일하고 놀고 빌며 살아가는’ 마을공동체 문화의 존재 양식이자 공유 가치이다. 그러므로 마을문화는 무상공유의 가치와 슬기를 잘 갈무리하고 있는 ‘오래된 미래’ 문화라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ormulate a culture theory to find an alternative future culture based on the notion that 'village culture is the hope of human culture.' With such awarenes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value of sharing village culture amongst the everyday life of its residents.Fourdivisions of life are found in the saying, "people live working, playing and borrowing." Observe the work and play, form, ceremony and other divisions. 1) In village culture, no one suffers from unemployment, because private ownership of land and property are acknowledged, but jobs and positions are shared by the village people.The best example of work sharing culture is Du-re (farmers' cooperative group).Du-re solves both the issues of lack of workers and lack of work.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the Du-re culture into modern society, acknowledging private property, while sharing work. 2) Modern 'play' is more differentiated than work.Play opportunity and play thing vary greatly based on one's economic ability, because in the current society, one must purchase the play facility and play thing in order to play.However, in a village culture, play opportunity is equally given, and play facilities, play things and play events are provided free of charge.In a village, commercialized play facilities and play things do not exist.A community culture that shares play facility and play things is necessary. 3) Much regulation follows religion based on religious body.It allows freedom to select different religions, but it does not permit freedom of faith, because the religious body continuously enforces rules regarding religious life.However, a village god is naturally believed by its residents.Ceremony to the village protector god takes place for the peace and economic prosperity of the village.Even the priest is selected every year by the people of the village.Village faith is a faith of freedom, chosen by the free will of the village people. 4) The lifetime of ceremonies in modern social life begins from a hospital, then to restaurants, wedding halls, back to the hospital, then to the funeral home.Every facility is commercialized. However, in a village culture, all the ceremonies from birth to death are covered within the village.All the ceremonial equipment and celebration equipment are ready within the village for everyone's use free of charge, and food for the feast can be prepared with the funds from donations, which enables even the poor to feast and celebrate without hassle.Thus, village culture is a lifestyle that guarantees equal life to all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four life divisions of life are differentiated, but are integrated. As work and play are two different things, but also one, living in Du-re is integrating work, play, religious form and ceremonies in one, and four at the same time.This is the fundamental idea and sharing value of a community that 'works, plays and borrows.'Thus, village culture may be called an 'old future' culture, thoroughly integrating the wisdom and value of free-sh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