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남 해안도서지역의 왜계(倭系) 고분과 왜(倭) 5王의 중국 견사

        임영진 ( Yim Youngji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6

        전남지역에는 옹관을 매장주체로 한 토착적인 고분과는 달리 수혈식석곽이나 횡혈식석실을 가진 왜계고분들이 있다. 분형에 있어서는 장고형이 대표적이지만 원형이나 방형도 있다. 이 가운데 5세기에 해당하는 수혈식 석곽을 가진 왜계고분들은 해안도서지역에 분포하는 점에서 바다를 통한 백제와 왜의 교류에서 항로의 안내와 관련된 사람들이 그 주인공일 것으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견해는 백제와 왜 사이의 항로 가운데 특별히 전남 해안도서지역에 왜계고분이 국한되어 있는 이유를 해명하기 어렵다. 왜5왕에 의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중국 견사와 전남 해안도서지역 왜계고분이 시기적으로 일치하는 점에서 양자의 관련성은 대단히 높을 것으로 보인다. 왜5왕의 중국 견사는 백제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헌자료를 보면 왜는 백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중국과는 독자적인 관계를 맺고자 하였던 기록들이 보이는 한편 백제와 왜가 함께 견사한 기록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왜5왕의 중국 견사가 백제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을 가능성은 높다고 보기 어렵다. 당시 전남지역에는 백제와 구분되는 마한 세력이 자리잡고 있었다는 점에서 수혈식 석곽을 가진 해안도서지역의 5세기대 왜계고분들은 왜5왕의 중국 견사시 마한 세력의 협조를 받아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왜5왕의 중국 견사에서는 신라나 가야 지역을 피해 전남 해안을 지나면서 항해의 안전을 위해 현지 사정에 익숙한 사람들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토착세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의 협조를 구하고 반대급부로 무기를 제공하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토착세력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 사람을 파견하여 안내를 담당하게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are several types of tombs like wooden-coffin tombs, jar-coffin tombs, stone-cist tombs, stone-chamber tombs at Jeonnam province. Among them stone-cist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5th century along the southwest coast and islsnds and stone-chamber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first half of 6th century at Youngsan-river basin are Japanese style tombs. Stone-cist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5th century along the southwest coast and islands are assumed that they are bound up with the voyage between Baekje and Yamato. But it is not clarified why they are restricted at Jeonnam province. At that time, Jeonnam province was Mahan area, not belong to Baekje.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incorporation of Mahan as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s in the middle years of the fourth century. But many archaeological evidences excavated in the Yeongsan-river region from the latter years of the fifth century to the early years of the sixth century mean that Mahan of Jeonnam province was not belong to Baekje until the early years of the sixth century. The Baekje Kingdom did not absorb Mahan into its territory at one time but by three stages. Part of the Mahan people in the absorbed area sought refuge in southern Mahan or in Japan. The Jeonnam area was the last territory of Mahan to maintain its independent power from Baekje until the early years of the sixth century. The author presume that Stone-cist tombs constructed during the 5th century along the southwest coast and islands are bound up with the voyage between Yamato and several regimes of south China at that time. The envoy of Yamato needs the sailing guide when they pass Jeonnam province because of complicated coast and islsnds. It is assumed that the envoy of Yamato avoid Baekje because they want to get a title of nobility surpassing Baekje.

      • KCI등재
      • KCI등재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임영진(YIM Youngjin) 중부고고학회 2005 고고학 Vol.4 No.1

        한성기 백제권역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는 같은 시기의 고구려, 신라, 가야 등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다양한 묘제들이 공존하고 있는데 그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백제 건국세력은 압록강 이남의 고구려 지역에서 남하하였으며, 임진강유역에서 조사된 고구려식적석총은 중간 기착의 증거로서 소위 하북위례성과 관련된 것이다. 이들은 3세기중엽경 서울 강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선주민에 해당하는 광의의 마한 세력과 연계하여 본격적인 고대국가로서 백제를 출범시켰다. 이러한 사정은 후대의 기록 정리 과정에서 마한계 선주민을 형(비류)으로, 고구려계 이주민을 아우(온조)로 하는 형제 관계로 표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천안지역 토광묘에서 3세기말부터 기존의 부장품 조합이 깨어지고 백제토기가 부가되는 점과 한강 상류지역의 말갈식적석 총이 4세기초부터 더 이상 축조되지 않은 것은 백제의 영역 확장이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중서부지역의 석곽묘는 화성 마하리의 예를 통해 기존의 토광묘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하며 백제의 규제 속에서 나타난 제한된 발전으로 본다. 분구묘가 조사되는 충남서남부와 전북 중서부지역에서는 토착묘제가 지속되지만 대규모 고분군의 존재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백제의 지배 하에 제한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본다. 4세기말~5세기초 횡혈식석실묘가 지방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그 주인공은 각 지역의 유력자들이었다. 이들이 다양한 위제품을 소유하게 된 것은 제한적이나마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백제 지배세력이 웅진으로 천도한 후 한동안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보는데 웅진기 최고지배세력의 주묘제가 현지 세력자들이 사용하고 있었던 석실묘라는 점을 통해 입증될 수 있다. 영산강유역권에서는 토착적인 분구묘가 발전하다가 6세기중엽경부터 백제 석실묘로 바뀌는데 이는 영산강유역권이 6세기초까지 나름대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5세기후반~6세기중엽에 해당하는 장고분(전방후원형고분)들은 이 지역이 백제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축조될 수 있었다. The Stone-mound-tombs(墳石塚), the main graves of Koguryo(高句麗), in the centr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strongly suggests that the founders of Packche(百濟) were immigrants from Koguryo, rather than Puyo(夫餘). The Stone-mound-tombs, discovered in central area or the Korean Peninsula,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Koguryo-type(高句麗式). Packche-type(百濟式) and Malgal-type(靺鞨式). Among them Koguryo-type provides a key to tracing the migration routes from Koguryo area to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漢江) Valley in Seoul, the key area of Hanseong-period(漢城時代) of Packche.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mound-tombs of Koguryo-type suggests that immigrants from southern part of the Yalu River(鴨綠江) Valley arrived and established early Packche in the Imjin River(臨津江) Valley first. Then, they re-moved to southern part of the Han River Valley in Seoul in the mid-third century. The immigrants from Koguryo, corning via Imjin River Valley, built the Koguryo-type large-scale Stone-mound-tombs at Sokchondong(石村洞) as well as a large-scale castle at Pungnapdong(風納洞). From these lines of archaeological evid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early Packche was founded around the late 2nd century in the Imjin River Valley[河北慰禮城時代], and the full-fledged Packche State begun around the mid-3rd century in the Han River Valley in Seoul[河南慰禮城時代(漢城時代)]. After the late 3rd century. Mahan(馬韓), one of the Three Han(三韓) before the ancient states emerged in Korea, was subordinated gradually to Paekche, Until the mid-1th century, the whole area of Mahan except Chonnam area was conquered by Paekche, Previous works considered that Mahan was conquered entirely by Paekche in the mid-1th century. Nonetheless, the recent archaeological evidences forced us to reconsider this common view, Chonnam area, the Mahan’s last territory, was not properly ruled until the early 6th century. As such, because the political dynamics between Packche and Mahan is more evident from Mahan burial system, rather than Packche, a more thorough and systematic examination of Mahan soceity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마한토기의 기원 연구 -분구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임영진 ( Yim Youngjin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5 No.-

        2~3세기에 걸쳐 적지 않은 변화를 겪었던 마한토기는 백제토기의 근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 중국- 한국-일본 사이의 교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지만 그동안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양이부호, 이중구연호를 필두로 하여 분주토기, 조형토기, 유공광구호 등으로 이어졌던 마한토기는 경기·충청· 전라 등 황해 연안지역의 분구묘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경향을 보인다. 황해를 사이에 둔 중국 산동·강소·절강지 역에서 구조적으로 마한의 분구묘와 상통하면서 먼저 성행하였던 토돈묘에서도 마한토기와 상통하는 토기들이 출 토되고 있다. 이와같은 현상은 두 지역의 묘제와 유물이 무관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말해 줄 것이다. 그 관련성의 배 경에는 주민의 이주, 아이디어의 파급, 양자의 복합 등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황해를 통한 주민의 이주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양자 사이에는 시간 차이가 존재하는 점이 문제이지만 그 시차는 결정적인 문제가 되기 어렵다. 비교되는 토돈묘와 출토유물들은 대부분 당시의 중심지가 아니라 주변지역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우 리가 인식하는 시간 차이는 중국에 있어 중심지와 주변지역 사이에 나타나는 시간 차이에 해당할 것이다. 마한토기의 기원 문제에 있어서는 중국 동부 연안지역 관련 자료들이 중요하다. 특히 한·중·일 삼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五聯罐, 鳥形土器 등은 황해를 사이에 둔 삼국 사이의 밀접하였던 관계를 말해주고 있다. 현재 확인되어 있는 고고학 자료는 당시의 자료 가운데 제한된 자료일 뿐만 아니라 그 가운데서도 조사를 통해 확인된 자료 에 불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인 시각에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Mahan pottery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ekje pottery in the Baekje Kingdom and is the material through which cultural interactions among China, Korea, and Japan can be revealed. However, the study on these remains has not been conducted to the full extent. The Mahan pottery, which includes two-eared jars, double-rimmed vessels, bird-shaped pots, special pots found on the periphery of tombs, and perforated lange-rimmed jars, is mostly discovered from the mounded tombs distributed along the coastal areas of the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s of Korea. In the Shandong, Jiangsu, and Zhejiang regions of China across Yellow Sea, the mounded tombs that are called Tutunmu in Chinese predominated before those of the Mahan territory. Pottery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Mahan pottery has also been found. This leads one to suspect that mortuary practices and artifacts of these regions are closely related. Although multiple reasons could have been involved, such as migration, idea diffusion, or both, the primary reason is likely to be the migration of people across the sea. The archaeological data sets from the two sides of the sea do have some chronological gaps. Yet this does not pose a serious threat to the current interpretation because the observed gap is based on the present chronological frames. It is likely that the gaps simply represent the time involved in a cultural lag, because the Chinese Tutunmu and the associated artifacts were in the process of being diffused to the peripheral regions. In the peripheral regions, the culture that had originated from the central regions may have continued for an extended period, which explains a slight difference in chro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