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붕장어회를 먹고 Anisakis에 감염된 증례의 검토

        임승렬 ( Seung Ryeol Lim ),홍성노 ( Seong No Hong ),김대식 ( Dae Sik K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03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5 No.2

        Anisakis is nematode that is parasitic on fishes. Anisakiasis is a parasitic disease in which anisakis invades the gastroenteric tube of human body for reproduction from fish and it becomes an acute or chronic disease. In the Netherlands in 1960, van Thiel found eleven patients who had a chronic stomachache after eating herring that was not cooked well. Reports of these symptoms increased continuously. A 48 years old man became infected after he ate sliced fish of Astroconger myriaster in May, 2002. He appeared with a violent stomachache. We removed four worms. These worms were inspected for Anisakid larva and worms were found by an endoscopy in internal digestive organ department. A removed larva turned out to be "A nematode worm, consistent with anisakiasis"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at is anisakiasis disease. Recent changes of eating habits show that people enjoy eating sliced raw fish. This produces much higher probabilities of being infected with Anisakis. Reproduction of a sliced raw fish of Astroconger myriaster requires special caution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 number of instances of infection after eating a sliced raw fish of Astroconger myriaster.

      • KCI등재후보

        유치원교사의 자아상(self-image) 검사도구 개발과 자아상분석

        임승렬(Lim SeungRyo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들이 갖는 교사로서의 자아상을 의미변별법으로 측정, 분석하기 위하여 45쌍의 대칭되는 형용사 문항을 사용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4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과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이 갖고 있는 자아상은 유치원 교사의 사회적 평가, 교사의 태도, 교사의 자질 및 역할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유치원 교사들은 긍정적인 자아상을 갖고 있으나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경력이 적은 교사보다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고 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자아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measure kindergarten teacher's self image and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mage. This study used a 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 that was composed of 45 bipolar adjective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elf image of kindergarten teachers consists of 4 factors such as social evaluation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 qualification, and role. Among these factors, social evalu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ccounted for 46.8% of common variance. 2. The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have positive images on themselves. Especially, the shorter career and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teachers have, the more positive self images they keep.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e need of encouragement such as socio-political consider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y try to keep positive self images through continuous and systematic in-service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정서노동 측정척도 타당화 연구

        임승렬(Lim, Seung-Ryoul),안우철(Ahn, Woo-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motional labor measure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were 36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KyeongGi-Do and YoungNam. Data were analyzed by Cramer’s V, t-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The emotional labor measure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sted of 45 items with 6 factors: emotional labor due to early childhood, emotional labor due to colleague teachers, emotional labor due to principals, assistant principals, emotional labor due to parents, emotional labor due to organization culture, emotional labor due to trivial work and service environment. The overall reliability of six factors was .95, and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s ranged from.69 to .92.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RMSEA is .064, TLI is .954, and CFI is .962.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labor measure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liable and valid.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정서노동 측정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영남지역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69명이었다.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amer’s V, t-test, 탐색적 요인분석(EFA), Pearson 상 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Cronbach’s α 계수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교사 정서노동 측정척도는 총 4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하위요인은 유아로 인한 정서노동, 동료교사로 인한 정서노동, 원장(원감)으로 인한 정서노동, 학부모로 인한 정서노동, 조직문화로 인한 정서노동, 잡무와 근무환경으로 인한 정서노동의 6요인이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 범위는 .69∼.92, 전체 신뢰도는 .95로 나타났으며, 모형적합도 지수는 TLI=.954, CFI=.962, RMSEA=.064로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을 측정하기위한 척도로서 신뢰롭고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직한 유치원 초임교사의 이직 동기에 관한 연구

        임승렬(Lim Seung Ryoul),권혜진(Kwon Hey-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을 떠난 유치원 초임교사들의 이직 동기를 살펴봄으로써 유치원 교사의 이직률을 낮추고 능력과 열의 있는 교사들을 현장에서 보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 저널쓰기의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 내용을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초임교사들은 인간관계에서의 어려움과 갈등 때문에 이직행동을 보였다. 갈등의 대상으로 원감, 원장, 학부모와 가치관의 차이가 해당된다. 이 중 가장 두드러진 갈등 양상을 보명 대상은 원감이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초임교사는 부적절한 조직 풍토에 의하여 이직 행동 결심하였다. 부적절한 조직 풍토에는 초임교사의 고립감, 올바르지 못한 사회화를 경험한 겉과 속이 다른 동료, 열악한 교사 복지 후생, 업무 횡포의 조직 분위기, 부적절한 업무 배분 등이 해당된다. 셋째, 초임교사는 교수방법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 준비 부족과 수업에서의 실패로 인한 좌절감, 시범 수업 및 보이기식 행사로 인한 파행 수업 등이다. 넷째, 유아 교사직의 낮은 보수와 사회적 인식이 초임교사의 이직동기를 갖게 하였다. 유치원 교사들의 낮은 보수 체계는 낮은 물질적 보상의 차원뿐만 아니라, 스스로가 사회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다고 여기는 자아만족감과도 연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urnover inten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already left kindergarten at beginning teacherhood and to suggest ways to keep the teaching profession as well as to reduce the rate of turnover for kindergarten teacher. Of informed teachers around 7 teachers were selected finally. Interview and journal writing were used to analyze their turnover intention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beginning teacher had the problems that they faced conflict of director, vice-director, parents and gap of education philosophy between teacher and director or parents. Especially, they suffer from conflict with vice-director commonly. It made the novice teacher decide to leave kindergarten. Second, unsuitable organizational climate including feeling of isolation, inappropriate socialization, low level of welfare, discriminatory treatment made the beginning teacher to decide to leave kindergarten. Third, teaching method including shortage of time for preparation teaching and frustration resulted in failure of teaching and caused to leave the teaching job. Fourth, low-income and low social cognition about kindergarten teaching job had the beginning teacher decide to leave kindergarten.

      • KCI등재

        유아의 시장놀이 경험과 의미

        임승렬(Lim, Seung-ryoul),김연미(Kim Yun-m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시장놀이 활동을 어떠한 양식으로 경험하며, 그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또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 시장놀이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11월 30일 어린이집 1곳의 시장놀 이를 동영상 촬영하였으며, 2017년 12월 19일부터 2018년 1월 22일까지 유치원 2곳과 어린이집 2곳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실행하여 시장놀이 경험을 분석하고, 시장놀이의 맥락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8 년 1월 23일부터 31일까지 면담한 유아들의 담임교사 6명을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이 경험한 시장놀이는 판매자와 구매자가 직접 되어보는 ‘재미있는 놀이’였으 며, ‘교사의 예측을 넘어서는 유아의 경험’이었다. 그러나 교사가 계획해 놓은 틀 안에서 시장놀이가 이루어져 ‘제한된 경험’을 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시장놀 이에서 목적 없이 사고파는 행위를 재현한 ‘의미 없는 흉내 내기’의 한계를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시장놀이를 ‘유아교육기관의 행사’로 인식하고 실행했지만, 유아들에게 시장놀이는 ‘배움이 있는 시장놀이’가 되었으며, ‘시장놀이 속 의미 있는 경험 만들기’를 위해 시장놀이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는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experience market play activities themselves, how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s composed and how teachers think about children’s market play experience. The data collected through 113 minute video recording, interviews with young children experiencing market play and 6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rket play experienced was ‘experience beyond the prediction of a teacher in a fun play’, and it was ‘meaningless imitation from limited experience’. Teachers also recognized market play as a ‘market play as an event for children, but it was a ‘market play with learning and they appeared to reflect on market play for ‘making meaningful experiences in market play.

      • KCI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영역 활동 내용 분석

        임승렬(Lim, Seung-Ryoul),정미라(Joung, Mi-Ra),김연미(Kim, Yeo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 영역 운영 실태를 밝히기 위한 것으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일일계획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이 계획한 자유선택활동 중 사회관계영역 내용을 포함하는 활동이 15% 내외 수준으로 낮게 편성되었고, 생활주제별 편성 정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자유선택활동의 흥미 영역 내에서 계획된 사회관계영역 관련 내용은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관계영역 관련 내용 범주가 골고루 편성되지 않았다. 또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사회관계영역 내용 편성은 흥미 영역에 따라 편차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의 사회관계영역 관련 활동 내용을 약 60% 이상 평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된 사회관계영역 활동의 평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은 ‘교수내용’ 또는 ‘유아 태도’를 주로 평가하였으며, ‘교육목표’, ‘교수방법’, ‘유아흥미’, ‘유아발달’ 등에 관한 평가는 대부분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누리과정 사회관계영역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누리과정의 내용과 운영 방법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관계영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사의 재교육 등 교사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relationship activities in free choice activity time based on Nuri curriculum, were conducted. To achieve this, daily lessons plans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within the planned free-choice activities, the portion of activities regarding social relationship area were quite low, as the portion was only about 15%. In addition there was a gap in the degree of composition of activity in accordance with each daily life based theme. Amo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in content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planned for the area of interest in free choice activity. Furthermore, categorie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set out by Nuri curriculum, were not evenly composed by all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Moreov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contents of social relationship area according to areas of interest in all teachers from both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lso it was found that 60%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did not evaluate the content of free-choice activities in social relationship area. Upon analyzing the evaluation of planned social relationship area activities, it was found that most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did not conduct evaluation on teacher or children’s interest or attitudes, using categories that should have been included in the plan during their evaluation, such as education objective, teaching methodology, child development factors. Therefore, for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ocial relationship area with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should fully understand the content and operational methods of the Nuri curriculum. Also it is imperative to provide sufficient teacher support such as teacher training regarding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ocial relationship area.

      • KCI등재

        어린이집 경력교사들의 수업계획 과정 들여다보기

        임승렬(Lim, Seung-Ryoul),정미라(Joung, Mi-Ra),김연미(Kim, Yeon-M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경력교사의 수업계획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수업계획의 질적 개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6년 이상의 보육교사 6명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계획을 ‘교사의 양심과 책임이 드러나는 것’, ‘형식적인 문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계획 과정을 ‘우리 반 만의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이라 생각하였으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수준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수업계획 과정에서 교사 자신의 지식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반면에 수업계획 과정을 ‘교사만을 위한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생각하는 교사들은 교사의 과거 교수경험을 토대로 수업을 계획하였으며, 경력교사로서 매너리즘에 빠진 자신과 외부요인등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수업계획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동료교사와의 소통, 원장 및 원감의 지원, 재교육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instructional planning process of expert day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6 expert daycare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instructional planinngs as ‘the revealing of responsibility and conscience of teachers’ and ‘the ritualistic documents’. Second, one group of teachers regarded instructional planning process as ‘specialized planning for my class’. This group had difficulties in instructional planning process due to lack of children development level, curriculum knowledge, and contents knowledge. The other group regarded instructional planning process as ‘arbitrary planning by teacher’. Their difficulties were mannerism of themselves and working conditions. Third, to improve instructional planning, the efforts of themselve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supports of a director and re-education opportunities are required.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실제에서 나타난 유아 및 교사의 변화 과정

        임승렬(Lim, Seung-Ryoul),전방실(Jeon, Bang-Sil)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나타난 유아와 교사의 변화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비연구를 포함하여 연구는 2019년 10월 15일부터 2020년 9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반 교사 7명을 목적적 표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에 대한 심층면담, 반성적 저널, 교육 계획안 및 일지, 연구자 노트에 나타난 자료를 분류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대범주와 하위범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중심,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제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과정으로는 놀이시간과 공간에 대해 주도적인 유아, 우리 반 주인은 바로 ‘우리들’로 인식하는 유아, 충분한 놀이로 행복한 유아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로는 내가 알던 놀이 vs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놀이, ‘실행-평가-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운영, 교사의 자율성 강조에서 느껴지는 책임감으로 유목화 할 수 있었으며, 교사에게 여전히 남아있는 숙제로 배움이 일어나는 놀이로 만드는 어려움, 동료교사와 협업 및 소통의 어려움, 학부모가 지향하는 교육과정과의 간극과 이질감으로 계속되는 유아교사의 고민을 분류해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es in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s applying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The study, including preliminary studi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15, 2019 to September 25, 2020. Seven teachers carrying out the revised 2019 Nuri program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research data, in-depth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educational plans and di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child-centered and play-oriented curriculum meant young children who led the play time and space and the owners of their class recognized us as ‘we’ and happy infants with enough play. The paradigm shift in the teacher"s curriculum management was nomadicized she knew in the play vs. revised Nuri program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s an ‘execution-evaluation-plan’, and the responsibility felt by the emphasis on teachers" autonomy.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concer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follows: with difficulties in making it play where learning takes place with the remaining homework of teachers, difficulties in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gaps and differences with the curriculum pursued by the parents.

      • KCI등재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임승렬(Lim Seung-ryoul),김연미(Kim Yun-mee),이민지(Lee Mi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 하였으며, 개별면담 자료와 참여관찰 자료를 분석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영아교사들은 영아의 놀이를 선택과 자유가 있는 것, 즐거움을 느끼는 것, 자발적 탐색이 이루어지는 것 사회적 상호작용이 있는 것이라는 ‘놀이의 속성’으로 영아의 놀이를 이해하거나 가작화활동, 학습의 매개체, 혼자만의 몰입이라는 영아교사가 갖고있는 ‘놀이의 이론적 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은 상호작용하며 지원, 영아가 놀이를 주도하도록 지원,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 마무리활동으로 유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영아교사가 영아의 놀이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놀이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아놀이에 대한 실제적인 교사교육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lay perception and support for play are being done by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what dilemmas they feel when they understand infant and toddler’s play and support for their play. Methods For the purposes, from May to July 2020, seven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observed through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individual interview data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recognized infant and toddler’s play as a “attribute of play” that there are choice and freedom, joy and fun, voluntary search, and social interaction. Inaddition, they recognized it as a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lay” held by an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hich were a pretend play, learning, and immersion alone. Second, supporting infant and toddler’s play,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ere shown to interact with infants, support infants to lead play, support learning to be done, and induce finishing activitie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xperience misunderstanding of infant and toddler’s play although they understand and support their play. As a result of misunderstanding and supporting infant and toddler’s play inappropriately, teachers feel dilemma of appropriate play intervention, play process and outcom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should be given many opprtunities (formal and informal)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lay and to support play effectively.

      • KCI등재

        유아교육 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수준에 관한 연구

        임승렬(Lim Seung Ryou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관련법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규정된 교권에 대한 인식 수준 조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헌법, 교육기본법, 유아교육법, 교원지위향상특별법 등에 대한 이해와 적용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 법에 규정된 교사의 교권 보장 실태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제고와 교권 확립을 위한 개선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 첫째,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 관한 인식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 적용 정도들 조사한 결과, 유아교육관련법에 관심을 보이는 때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비로소 유아교육관련법에 대하여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 대다수 교원들의 응답이다. 교육 현장과 유아교육관련 법의 관계에 대해서 관련법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 관련법을 알려고 노력하는 경향이 높이 않았다. 유치원교원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법전을 보는 빈도, 교륙관련 법률지식의 이해정도, 범해석이 다를 경우 해결방안 등에서 교원의 학력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관련법 개정에 관하여 교원들은 학력이 높을수록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 학력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많은 교원들은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원의 유아교육관련법에서 규정된 교권의 이해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권 보장 실태에 대한 인식은 교육권, 신분권, 재산권의 보장은 유치원교원들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교권의 정당한 실현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laws of rel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review understanding of teachers's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from actual education sit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lack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the applicability of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is insufficient public informa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are not interested in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don't underst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related to education. Third, kindergarten teachers feel that the guarantee on education, social position, and property rights i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kindergarten teachers need to understand and take an interest regarding law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ir rights prescribed in the laws as subj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at professional authority is also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