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

        임성민 ( Sung Min Im ),이윤정 ( Yun Jung Lee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1 科學敎育硏究誌 Vol.35 No.1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통합하는 환경에서의 과학교육은 최근 들어 점차 강조되고 있지만 과학교사양성 과정을 비롯하여 과학교육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실천은 아직 미흡하다. 또, 교과 학습지도에 대한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수 수행과 학생의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왔으나 장애학생의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효능감, 교수효능감, 성과기대감의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에 대한 자기효능감 설문을 97명의 예비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장애학생에게 과학을 지도하는 수행 능력에 대한 효능감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자신의 과학학습능력과 장애학생 대상의 과학교수성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감을 보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자기효능감의 분포는 응답자의 성별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응답자의 장애학생 과학학습지도 관련 경험에 따라서는 교수성과의 기대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을 대비하기 위한 과학교사양성과정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emphasis on science teaching in inclusion education setting, but still few research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field including science teacher training course as well. It is well known that teaching efficacy of teacher is an important factor to influence teaching behavior and students` learning, but it is hard to find related studies about self-efficacy on teaching science for the disabled students. In this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efficacy on science teaching for the disabled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is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sub-scale like learning efficacy scale, teaching efficacy scale, and outcome expectancy scale was enacted to 97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 a resul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relatively low efficacy in teaching but showed positive learning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efficacy belief by gender, however the experience of teaching science for the disabled students made difference in outcome expectancy. From this study the implication for science teacher training course was inferred to meet the needs for science education in inclusion setting.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임성민(Im Sungmin),박경옥(Park Kyoung-Ock),엥흐체첵(Gankhuyag Enkhtsetseg) 한국통합교육학회 2019 통합교육연구 Vol.14 No.2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장애인에 대해 갖는 사회적 거리감을 조사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 환경에서 준비가 필요한 예비교사들의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회적 거리감은 ‘어떤 대상에 대한 이해, 정서, 행동 의지를 포함하는 주관적 태도’로서, 사회적 의지, 지식, 정서, 접촉의 4가지 하위 요인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에 참여한 예비교사 73명과 이 행사와 무관한 예비교사 185명 등 총 258명의 응답 자료로부터 사회적 거리감의 하위요인별 분포와 응답자의 배경 변인에 따른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적 의지와 정서 요인이 지식이나 접촉 요인에 비해 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의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 참여 경험보다는 특수교육 전공 여부와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 행사 참여는 접촉 요인에서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지식 요인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으로 작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social distance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fai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result we aimed to induce the implication of teacher education in prepa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is study social distance is defined as subjective attitude toward a target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 which consists of 4 factors like social willingness, knowledge, emotion and contact. We gathered the responses from 73 pre-service teachers who experienced a science fair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185 pre-service teachers irrelevant to the fair.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ocial distance by factors and compared the responses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social distance toward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more positive in social willingness and emotion comparing to knowledge or contact factors. It was affected by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or taking courses about special educati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fairs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fected positively in contact factors but negatively in knowledge factor.

      • KCI등재
      • SCOPUSKCI등재

        고등학생들의 물리 선호도와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흥미

        임성민(Sungmin Im),권문호(Munho Kwon)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10

        최근 양자기술의 중요성이 부감됨에 따라 양자물리 교육의 필요성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고등학교 물리교육에서 양자물리의 비중이 확대될 예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물리 선호도와 양자물리 학습에 대한 흥미를 조사하였다. 전국 단위로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고등학생 931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감정 반응과 가치 인식 차원에서는 물리학의 여러 주제 중에서 양자물리를 보다 선호하였으나, 학습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른 주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양자물리 교수학습에 대한 흥미의 경우, 주제 차원에서는 원자 구조, 양자 기술, 양자 현상 순으로 흥미가 높았고, 동기 차원에서는 호기심과 지식 습득을 진로 연관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활동 차원의 경우 실험 활동과 문화 활동에 대한 흥미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생들의 양자물리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는 학년과 희망 진로 계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양자물리 교육 도입에 대한 당위성과 더불어 물리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importance of quantum technology is rising globally, it has become imperative to include quantum physics in the upcoming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To explor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learning quantum physics, we surveyed their preference for physics and interest in learning quantum physics. We collected the student responses using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931 responses overall. Notably, student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quantum physics over other areas of physics in terms of the emotional response and valuational comprehension, while they showed a lower preference of quantum physics in behavioral volition. Students showed a higher interest in the study of atomic structure over quantum technology or quantum phenomena. They regarded the intellectual curiosity as a more important motive for interest than career relevancy and showed a high interest in experimental and cultural activities over others. The preference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in learning quantum physics significantly differed with their grades and the future career paths.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to teach quantum physics in high schools as well as the implication for constructing a quantum physics curriculum.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나타난 ‘불화’의 무대 구성과 관객

        임성민 ( Im Sung Min ),김현희 ( Kim Hyun H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지난 1999년 한스-티스 레만의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독일에서 출간된 이후 ‘포스트드라마 연극’이라는 용어와 개념은 국제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드라마적 텍스트의 모방과 재현을 거부하는 동시대 연극에 대한 참조점으로서 유용성을 확인해 왔다. 한국에서도 2000년 그 소개가 이루어진 이래 지속적 논의와 탐구가 진행되어 이론 및 실천 양 영역에 걸쳐 주목할 성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포스트드라마 연극론과 그 국내 담론화에 대한 비판적 견해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점은 크게 한국에서의 포스트드라마 연극론 수용이 국내 학계 전반에 자리해 왔던 서양에 대한 무비판적 선망에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주장,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연극의 사회적 목소리를 잃은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는 주장, 그리고 포스트드라마 연극 개념과 그 범위가 모호하다는 주장으로 압축할 수 있다. 상기한 부정적 견해가 나름의 정당성을 토대로 하지만 재고의 여지 역시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한국의 포스트드라마 연극 담론화는 독일에서 그 개념이 발표된 직후 소개가 시작된 이래, 서양 동시대와 지속해서 소통해 가며 함께 개념의 정교화를 이루었다. 이러한 점은 한국의 현대연극 담론 수용에서는 드물게, 서양에 대한 지체 현상을 극복한 하나의 실례라는 긍정적 평가 가능성을 열어준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문제 역시 꾸준한 고민이 이루어져서 공동체 재건을 비롯한 다양한 역할 혹은 가능성에 관한 설명이 이뤄지고 있다. 한편 레만을 비롯한 여러 연구자들이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범위를 더 명확히 하고자 노력해 왔다. 그 결과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비판과 단절 대상으로 삼는 ‘드라마 연극’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같은 유의미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상이 ‘드라마적 텍스트’를 전제로 하지 않는 오늘날의 다양한 탈재현적 공연들과 구별되는 지점이 무엇인지 선명하게 설명하는 데까지는 추가적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정치철학자 자크 랑시에르의 관점에서 한국의 포스트드라마 연극 현상 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관객’을 분석할 것이다. 연극의 모습은 그것이 성립하기 위한 필수 조건 중 하나인 관객이라는 존재와 어떻게 혹은 어떠한 소통을 지향하는지와 밀접하게 닿아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감각의 분할’이라는 관점에서 예술을 실천적 정치 행위로 간주하는 랑시에르의 ‘해방’ 사유는, 감각적 지각을 통한 관객과의 소통이 강조되는 포스트 드라마 연극과 전제를 공유하며 그것을 보다 구체적·현실적 차원에서 숙고해 볼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Since Hans-Ties Lemann's Postdramatic Theatre was published in Germany in 1999, the term and concept of ‘Postdramatic Theatr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ternationally and has confirmed its usefulness as a reference point to look at contemporary theatre that refuse to imitate and represent dramatic texts.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2000, Continuous discussions and exploration have been carried out to produce remarkable results across both areas of theory and practice. However, It has been really some critical views about postdramatic theatre and it’s discussion in Korea. This view is largely due to the claim that the acceptance of postdramatic theatre theory in Korea is a phenomenon derived from the uncritical envy of the West, which has been in the whole of domestic academia and postdramatic theatres are compressed by the claim that they are nothing more than art for art that lost the social voice of the play, and the claim that the concept and scope of postdramatic theatres are ambiguous. But It must be reconsider some negative postdramatic theatre discussion as though They have somewhat their own justification in the case of Korean postdramatic theatre discourse, the concept has been elaborated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the Western contemporary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in Korea immediately after the concept was announced in Germany. This fact opens up the possibility of positive evaluation that it is an example of overcoming the lag phenomenon of the West in the acceptance of discourse of modern theater in Korea. The issue of the social role of postdramatic theatre has also been constantly agonizing over it, explaining various roles or possibilities, including the reconstruction of the community. Meanwhile, several researchers including Lemann have tried to clarify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ostdramatic theatre. As a result, meaningful explanations were made such as what the 'dramatic theatre', which postdramatic theatre make it the object of criticism and disconnection, specifically refers to. However, it seems that further discussion is still needed until the phenomenon of postdramatic theatre can clearly explain what is distinct from today's various post-representative performance practices that do not presuppose 'dramatic text'. This study will analyze the new audience shown in the postdramatic theatre phenomenon of Korea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olitical philosopher Jacques Ranciere. The appearance of the theatre can be seen as closely related to how or what kind of communication it aims for with the audience, one of the essential conditions for it to be established. Ranciere's thought of emancipation, which considers art as a political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shares the postdramatic theatre and premise that aim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sensory percep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a possibility to ponder on a concrete and realistic level.

      • KCI등재

        과학교육 연구와 실천 맥락에서 공동생성적 대화의 의미와 의의

        임성민(IM, Sungmin),Sonya N. Mart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최근 국내외적으로 모든 학생에게 보다 평등한 과학교육의 실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수학습을 일종의 사회적으로 구성된 활동으로서 보는 관점에서 과 학 수업에서 벌어지는 상호작용의 사회적 측면들을 조사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점차커지고 있다. 평등한 과학교육에 관심을 기울이는 일부 연구자 집단에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공동생성적 대화라는 것을 제안하면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어떻게 과학 수업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 논문을 통해 공동생성적 대화를 한국의 과학교육 맥락에 소개하고 사회문화적 접근에서 그 의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동생 성적 대화의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공동생성적 대화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근거와 실제 적용 방안을 소개하였다. 또한 공동생성적 대화가 과학교육의 실천 맥락에서 갖는 의의를 과학 수업, 과학교사 교육, 과학교육 연구 측면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 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공동생성적 대화의 적용이 갖는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Currently around the world, there are call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in policy reform documents about the need to expand science learning to all students, and many researchers have been addressing this issue. Because teaching and learning is a social constructed activity, research that examines social aspects of science classroom interactions is necessary. During the last decade, researchers interested in equity issues in science education have employed cogenerative dialogues to gain insights into how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s shap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origins of cogenerative dialogues and traces the evolution of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rameworks that underpin this tool. In this paper the authors introduce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cogenerative dialogue as a sociocultural approach to research in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context. Additionally, the authors discuss implications for employing cogenerative dialogues in th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The paper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cogenerative dialogues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 SCOPUSKCI등재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예비 물리교사의 개념 이해와 확신도

        임성민(Sungmin Im)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3

        이 연구에서는 예비 물리교사를 대상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와 확신도를 조사하였다. 상대론 개념 조사(Relativity Concept Inventory)를 적용하여 사범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는 예비 물리교사 51명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며,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의 개념별 이해도와 확신도의 분포, 응답자의 개인 변인에 따른 차이, 개념 이해도와 확신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물리교사들은 동시성의 상대성, 속도 합성, 인과율 개념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며, 시간 팽창과 동시성의 상대성에서는 오개념이 발견된다. 개념 이해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확신도에서는 남성의 확신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상대론에 대한 선수학습 정도는 개념이해와 관련 있으나 확신도와는 무관하다. 개념 이해와 확신도는 서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가장 최근에 상대론을 학습한 집단에서 잘 드러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mong preservice physics teachers. By applying the Relativity Concept Inventory, we collected responses from 51 preservice physics teachers majoring in physics at colleg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ponse data,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ts degree of certainty on special relativity theory and the respondents’ persona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preservice physics teachers hav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relativity of simultaneity, speed composition, and causality, and misconceptions are found in time dilation and the relativity of simultaneit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men’s degree of certainty is relatively higher. The level of prior learning about relativity theory is related to conceptual understanding but has nothing to do with the degree of certainty.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degree of certainty, and this is clearly evident in the group that most recently learned relativ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