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송환사업과 공모하는 "냉전" -미야모토 데루 「자두건(紫頭巾)」을 중심으로-

        임상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5

        본고에서는 1959년의 북한송환사업을 다룬 미야모토 데루의 소설 「자두건」을 중심으로 동 소설이 발표된 동시대의문맥, 즉 88서울올림픽을 둘러싼 남북관계 및 냉전체제 속에서 1959년의 북한송환사업이 왜,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사유되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1959년 12월 13일, 북한으로 귀국하기 전날에 발생한 살인사건(용의자는 북한으로 귀국하는 재일조선인)을 다룬 동소설은 88서울올림픽 직전의 남북 공동개최에 대한 논의 및 북한의 테러 등의 문맥과 비교하면서 해독을 해보면, 소설의 전반부에 방점을 찍고 읽으면 북한송환사업이 추진되었던 1959년 당시의 한국 비판론으로 읽을 수 있고, 후반부에 방점을 찍고 읽으면 소설이 발표된 동시대의 북한 비판론으로 읽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는 동 소설은 북한송한사업을 둘러싸고 ‘냉전’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정치적 담론으로 회수/환원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의 다양한 관계성과 개인성을 그려내고 있고, 또한 북한송환사업과 88서울올림픽은 30년 가까운 시간차를 두고 있음에도 ‘냉전’의 틀 속에서 ‘체제의 우위성’을 대외적으로 확인시키려는 의도는 조금도변함이 없었음을 알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거주지 선택의 자유’라는 ‘인도주의’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던 북한송환사업과‘세계평화’를 슬로건으로 내세웠던 88서울올림픽이라고 하는 두 개의 빅 이벤트는 표면적으로는 달콤한 휴머니즘을 말하고 있지만, 서로의 속내는 이데올로기와 국가의 우위성을 과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놀라울 만큼 구조적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동 소설은 우리들 독자들에게 남북이 ‘냉전’의 구조 그 자체를 공모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러한 이데올로기의 역학 때문에 배제된 사람들의 다양한 관계성과 개인성을 사유해야 하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Focusing on Miyamoto Teru’s novel.Purple Hood.covering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in 1959, we analyzed why and how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in 1959 is thought in the context of the age when the novel was published, that is,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cold war system around 1988 Seoul Olympics Interpreting comparing with the context such as North Korea’s terror and discussion on co-hosting of South and North Korea just before the 1988 Seoul Olympics, it can be seen that the novel covering a murder case (The suspect is a Korean resident in Japan returning to North Korea) that happened the day before returning to North Korea in December 13, 1959 has the structure that can be read as criticism on South Korea at the time of 1959 when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was promoted if read emphasizing the first half of the novel and that can be read as criticism on North Korea of the age when the novel was published if read emphasizing the second half of the novel. The novel taking a dual structure as above is describing a variety of relationships and personalities of many people not recovered/ repatriated based on political discourse in the ideology of ‘cold war’ around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and showing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intention of externally revealing ‘superiority of system’ within the framework of ‘cold war’ despite the time difference of 30 years between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and 1988 Seoul Olympics.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two big events, North Korea repatriation project under the slogan of ‘humanitarianism’ of ‘freedom of residence choice’ and 88 Seoul Olympics under the slogan of ‘World peace’ is surprisingly the same in that they are talking about sweet Humanism on the surface but showing off ideology and national superiority inter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novel tried to make we readers think of the fact that South and North Korea were conspiring the ‘cold war’ structure itself and various relationships of people excluded because of the dynamics of such ideology.

      • KCI등재

        성과상여금의 (평균)임금성

        임상민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5

        After the Korean Supreme Court recently rendered decisions that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payment for business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 corresponds to average wages, debates over the issue of whether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payment for business performance) of private companies can also be recognized as average wages have flourished. In reviewing the precedents dealing with the issue of whether a performance bonus paid by employer to employee has the nature of wages, some problems can be seen in these decisions. Namely, they did not distinguish between wages and average wages. The only requirements for performance bonus to satisfy to constitute as wages are that ① they should be provided as remuneration for work, and ② payment obligation should be based on labor contract, etc. Factors of continuity and regularity of payment or confirmation of the ground for payment, which the Court has placed emphasis on, are standards applied in determining whether certain wages are paid on a temporary basis. If wages are paid on a temporary basis, they are not included in average wages. The mainstream view held by the precedents recognizes the wages nature of personal performance bonus, which, in my view, is reasonable. The precedents which have admitted the average wages nature of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of public enterprise presuppose that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is paid as remuneration for work. Then, it is rational to find that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of private companies also corresponds to wages as remuneration for work. Even if the wage nature of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of private companies is admitted, the issue of whether such bonus corresponds to average wages should also be considered. We should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① continuity and regularity of payment and ② confirmation of the ground for payment, which are th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nature of average wages. In case either one of the two standards is admitted, performance bonus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paid on a temporary basis and, therefore, collective performance bonus of private companies should be found to corresponds not only to wages but to average wages. 대법원이 최근 공기업 집단성과상여금(경영평가성과급)의 (평균)임금성을 인정하는 판결들을 선고한 이후, 사기업 집단성과상여금의 (평균)임금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성과상여금의 임금성에 대한 선행판결들을 보면 문제점이 있다. 임금성과 평균임금성을 준별하지 않고 있다. 근로의 대가인지, 근로계약 등에 의한 지급의무가 인정되는지 여부만이 임금의 요건이다. 대법원이 중시하는 지급의 계속·정기성이나 지급사유의 사전확정성은 평균임금에서 제외되는 임시로 지급되는 임금을 판단하는 요소라 할 것이다. 개인성과상여금의 임금성을 인정하는 것이 주류적인 선행판례의 태도인 데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공기업 집단성과상여금의 평균임금성을 인정한 선행판례들은 집단성과상여금이 근로의 대가임을 전제로 한다.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사기업 집단성과상여금도 근로의 대가인 임금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임금성을 인정하더라도 평균임금성이 있는지는 더 따져보아야 한다. 평균임금의 판단요소인 지급의 계속·정기성과 지급사유의 사전확정성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도 문제이다. 둘 중 어느 하나만 인정되더라도 임시로 지급되는 임금이라고 볼 수는 없으므로 평균임금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50년대의 재일조선인 표상

        임상민 대한일어일문학회 2015 일어일문학 Vol.68 No.-

        This study analyzed representation of Korean residents in the 1950s when the national identity of postwar Japan began to form. Especially it analyzed the process of how this diary had become a best seller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world taking place in the late 1950s, the so-called enactment of the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resurrection of the prewar "moral" education), focusing on "Nianjang", a diary of the girl who was a Korean resident in Japan, which has been being consumed as a story representing warm "heart"(brotherly affection, family affection, etc.) even to this day, after it became a best seller in 1959. Besides, the book reports of this diary that won prizes in the contemporary book report competition show that this diary written by a Korean girl who had lived in Japan is not stressed from a viewpoint of "Korean resident in Japan" but is collected and consumed as a story of the "hard working" family. In addition, the educational device called a book report indicated that it also functioned as the datum point that eventually excluded numerous Korean residents in Japan discrepant from such representation, presenting Yasmoto family as the exemplary Korean residents in Japan of that time.

      • KCI등재

        포괄임금제의 성립 및 유효요건

        임상민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02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as institutionaliz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which has approved the wage practices of the working place in considering the practical convenience aspect. However,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has been criticized as a system that effectively neutralizes all regulations on working hours, additional wages and legal allowances set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by fixing low wages and long working hours. In accepting such criticism to some exten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ecently rendered decisions with a limited interpretation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contrary to the earlier decisions in which the formation and validity of comprehensive wage system were admitted broadly. Examples are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n implied comprehensive wage agreement has been recognized only on a very narrow basis, unlike the formation of express comprehensive wage agreement; 2) wage difference claims are recognized except in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working hours; 3) not only collective agreement or employment rules but the Labor Standards Act has also been reviewed by the Court as a criterion in determining whether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is disadvantageous to employee or not; and 4) unlike the past, the Court has refrainsed from using the expression ‘convenience of calculation’ or ‘encouraging the the employees’ motivation to work’. Despite such a shift in Court decisions, there still exists a strong criticism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which prevails in many work-places due to decisions that systematically admit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Against this background,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a national agenda dealing with strict regulations of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even though the current decisions interpret the comprehensive wage system on a limited basis, the decisions need to be much stricter in light of mandatory rules of the Labor Standards Act on working hours, additional wages and legal allowances. The main points in this article are: 1) fixed total wage system should be regarded as invalid, because the fixed total wage system cannot specify the basic wage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various additional wages or legal allowances; 2)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working hours (which is a type of a case that denies employees’ wage difference claim) should be interpreted to be a case where it is impossible to calculate working hours; 3) lastly, when the requirement for the formation and validity of comprehensive wage system are discussed, the mandatory rule nature of the Labor Standards Act should be faithfully considered. 포괄임금제는 현실적 편의성이란 측면에서 대법원 판례가 사업장의 관행을 용인함으로써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저임금, 장시간 근로를 고착시킴으로써 근로기준법이 정한 근로시간과 가산임금 내지 법정수당에 관한 제반 규정들을 사실상 무력화하는 제도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대법원은 그러한 비판을 어느 정도 수용하여 포괄임금제를 폭넓게 허용하던 초기와 달리 최근에는 여러 측면에서 포괄임금제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방향으로 판례를 판시해 오고 있다. 명시적 포괄임금계약과 달리 묵시적 포괄임금계약의 성립을 매우 제한적으로만 허용하거나,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면 차액 지급 청구를 인정하거나,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외에 근로기준법도 근로자에게 불이익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하거나, 과거와 달리 계산의 편의와 근로자의 근로의욕 고취라는 표현의 사용을 자제하는 것 등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판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포괄임금제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존재하고 있고, 포괄임금제를 제도적으로 허용하는 판례로 인하여 상당수의 사업장에서 포괄임금제가 널리 성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토대로 대한민국 정부는 포괄임금제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국정과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의 판례가 포괄임금제를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방향으로 운용하고 있지만 여전히 근로시간과 가산임금 내지 법정수당에 대한 근로기준법의 강행규정성에 비추어 볼 때 포괄임금제에 대한 판례는 지금보다 훨씬 더 엄격하게 규제하는 방향으로 운용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액수당제는 별론으로 하더라도 각종 가산임금 내지 법정수당 산정의 기초가 되는 기본임금(통상임금)을 특정할 수 없는 정액급제 포괄임금제는 무효로 보아야 한다. 차액 지급 청구를 부정하는 유형인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란 ‘근로시간 산정이 불가능한 경우’로 해석되어야 한다. 포괄임금제의 성립요건 내지 유효요건을 논할 때에는 근로기준법의 강행규정성이 충실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경계로서의 ‘해양’에 대한 일고찰

        임상민 대한일어일문학회 2017 일어일문학 Vol.76 No.-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East Sea’ as a border or sea boundary affected identity building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mainly on minority magazine media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were issued around December, 1959 when the first returning ship started from Niigata port in Japan to Cheongjin port in North Korea. It was found that many Korean language magazines under Jochongnyeon mentioned uncertainty of returning home, and recognized ‘East Sea’ as a place for liberation which heal ‘sadness’ and ‘anger’. In addition, from the early stage of returning, Kim Dal Soo who spoke for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Japanese majority media made public the fact that not only Korean residents in Japan, but also many Japanese wives return to North Korea. However, by connection and interpreting piece by piece the language identity building process of himself and Japanese wives, and caused the result of covering uncertainly and political nature implied in the return project.

      • KCI등재

        귀화 재일조선인과 법적 투쟁 - 회보 『우리이름』을 중심으로 -

        임상민 일본어문학회 2022 일본어문학 Vol.96 No.-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legal struggle over naturalized Koreans in Japan, focusing on Our Name, a bulletin of the “Group to Recapture National Name”, which was formed around 1980 when generational changes and subsequent settlement consciousness began to work. In particular, we tried to analy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of naturalized Koreans in Japan, who have been seeking a way of coexistence rather than being fully assimilated, and what problems arise in allowing the use of “National Name” for minor children. As a result, naturalized Koreans in Japan formed a discourse of naturalized Koreans as a “right” rather than a “National Name” through legal struggles, but minor children often use their real names for parental wills and recommendations, and as a result, they are forced to face the reality of weak children’s will.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were cases where national identity was forced according to the will of parents, such as the division of identity of children in Japan outside of schools where human rights education is not properly conducted and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 KCI등재

        제국 일본의 출판유통과 식민도시 부산의 독자층 연구 -일본인 경영 서점과 염상섭 『만세전』을 중심으로-

        임상민,이경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9

        본고에서는 일본 제국의 영토 확장과 함께 식민도시 부산에 진출한 일본인 경영 서점에 대한 기초적인 실태 조사(서점수, 위치, 경영자, 영업행태, 취급서적 등)를 목적으로 했다. 먼저 『부산일보』에 실린 하쿠분도(博文堂)서점의 신간 광고란에 주목해 보면, ‘교과서 및 문구’에서 소설 일반으로 주력 상품이 변화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1917년부터 1918년에 걸쳐서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부산의 독자층이 ‘대중소설’에서 ‘순문학’으로 변용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당시 부산 거주 재조일본인의 인구 증가, 출신지역과 종사 업종의 다양화와 연동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1921년에 조선서적상조합이 조직화되면서 조합원 이외에는 일본 내지에서 간행된 신간 도서 및 잡지의 판매가 어렵게 되는 유통체제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일본의 『전국서적상총람』과 부산에서 발행된 『부산상공회의소』와 『부산부편찬』 등의 자료를 비교/분석해 보면, 누락 및 일치하지 않는 서점이 확인된다. 따라서, 해방 이후 소실된 한국 측 자료에 대한 추적 조사를 통해서, 조선서적상조합의 가입 여부 및 체계적인 데이터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식민도시 부산의 일본인 경영 서점의 추이와 염상섭의 『만세전』에 나타난 부산 표상을 분석해보면, 주인공 이인화가 최초 부산 ‘시가’에서 ‘조선 사람의 동리’로 목적지를 바꾼 선택은 중앙동 ‘삼거리-시가-용두산’이라고 하는 동시대의 여행안내서가 만들어낸 학지를 역행하는 행위이며, 그런 의미에서 식민지 학지를 진열, 판매하는 하쿠분 도서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이인화의 궤도는 일본 제국의 시선에 대한 저항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은 이인화가 동시대의 학지를 역행하면서 찾아가는 ‘조선 사람의 동리’ 역시 동시대의 일본 내지의 각종 시찰단들이 자주 찾아가는 코스였다는 점에서, 이인화의 부산 표상은 일본인이 생산해낸 부산 표상과 공모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conducting basic real state investigation(e.g. number of bookstore, location, CEO, business type, treating books, etc.) on Japanese management bookstore that advanced into colony city Busan along with Japan Empire’s territory extension. First, when paying attention to new book advertising column of Hakubundo(博文堂) bookstore in 『Busan Ilbo』, the period that major products began to change to general novel from ‘textbook and stationery’ was during 1917 to 1918. Such change means that reader class of Busan was transformed into ‘pure literature’ from ‘public novel,’ which implies that it was connected with population increase, native place, and engaging business type of Japanese in Josun who resided in Busan. Also, as Joseon Book Commercial Union was organized in 1921, a distribution system was created that made sales of new books and magazine published in Japan, difficult besides association members, when comparing/analyzing the material of Japanese『National Book Commercial Comprehensive Survey(全國書籍商總覽)』 and 『Busan Chamber of Commerce(釜山商工會議所)』 published in Busan and 『Busanbupyeonchan(釜山府編纂)』, etc., some bookstores are confirmed to have omission or be in discor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whether of subscription to Joseon Book Commerce Union and systematic data work through the tracing survey on Korean data that was lost since the liberation. Lastly, when analyzing symbol of Busan in the progress of Japanese management bookstore in colony city Busan as this and Yeom, sangseob’s『Mansejeon』, the reason why the main character Lee, inhwa changed the destination to ‘Joseon people’s Dongri’ from the initial Busan ‘Siga’ was the result of being conscious of Hakubundo bookstore that symbolized ‘Hakji(?知)’ of Busan at that time, also, interactional negotiation could be confirmed between self symbol of colony Joseon people and symbol of others by Japanese people in respect that such track modification and symbol of Joseon people coincided with the content of Japanese tourist guidebook of that time a lot.

      • KCI등재

        일본 서브컬처와 세대론 ‒슈카와 미나토 「혼자만의 낙원」을 중심으로‒

        임상민 한국일본근대학회 2022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7

        In this paper, Minato Shukawa’s “Alone Paradise” will be analyzed on the themes of “Dream = Power” and “Heart = Recognition” that were talked about in the boom of the 30s before and after the movie “ALWAYS 3rd Street Sunset” released in 2005. In particular, the purpose was to observe the Satori generation, which was actively discus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drama was aired, and to examine how the Satori generation, which is disconnected from the family and community network, rebuilds new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drama, “Alone Paradise”, aims to recall the core discourse itself discussed in the show "Heart = Recognition" and the boom in the 30s, but rather, the fact that the core discourse representing the boom in the 30s is not easily assimilated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2006"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lone" and "friend" can be seen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regarding the "loneliness" caused by disconnection from others, that is, the "loneliness" as a network disconnection with family and community, which is commonly identified by contemporary Satori generations, in the drama, even the feeling of "loneliness" itself disappears. Of course, Naoko’s explanation that she can understand other people’s feelings only when she is conscious of her feelings of “loneliness” due to the standardized narrative grammar of the Ultraman series, ends the story, bu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Naoko’s status cannot be the same. 본고에서는 2005년에 개봉된 영화 ALWAYS 3번가의 석양 을 전후로 이슈화된 쇼와 30년대 붐 속에서 회자되는 ‘꿈=파워’와 ‘마음=인정’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슈카와 미나토의 「혼자만의 낙원」은 어떠한 ‘쇼와’를 표상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을 시도했다. 특히, 드라마가 방영된 동시대에 적극적으로 논의되고 있었던 사토리 세대 및 이들 세대에게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탈존주의의 모습을 관찰하고, 가족과 공동체 네트워크와 단절된 사토리 세대가 어떻게 새로운 관계성을 재구축해 나가는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 드라마 「혼자만의 낙원」은 ‘마음=인정’이라고 하는 쇼와 30년대 붐에서 논의되고 있었던 핵심 담론 그 자체를 소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기보다는 이와 같은 쇼와 30년대 붐을 대표하는 핵심 담론이 ‘2006년’이라는 동시대적 문맥에서는 쉽게 동화되지 못하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타자와의 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외로움’, 즉 동시대 사토리 세대에게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가족과 공동체와의 네트워크 단절로 발생하는 탈존주의로서의 ‘외로움’에 대해서, 드라마 속에서는 오히려 단순히 동화를 통해 ‘하나의 마음’을 공유하게 되면 ‘외로움’ 그 자체를 느끼는 감정마저 사라져버려 결과적으로 비인격적이고 획일화된 인간이 되고 만다며 비판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물론, ‘정의는 승리한다’고 하는 울트라맨 시리즈의 규격화된 내러티브 문법으로 인해 ‘외로움’이라고 하는 자신의 감정에 의식적일 때 비로소 타자의 감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 나오코의 설명에 동화된 사람들 역시 납득을 하며 이야기는 끝이 나지만, 드라마 「혼자만의 낙원」은 동화를 경험해 본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위상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열린 결말을 준비해 두고 있고, 이를 통해 동시대 탈존주의에 빠져 있는 사토리 세대에게 ‘하나의 마음’(‘마음=인정’)을 통해 가족과 공동체라는 네트워크를 재구축하려고 했던 방법으로서의 ‘쇼와’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동시에 보여 준 작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