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에 나타난 소리의 수사학

        임보람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2 No.1

        This article will read the mode of sound shaping of Kim Yoo-jung’s novel “A Mountain Vagabond”(1933) and examine the author’s narrative strategy. As has been noted in prior research, “Sound” in Kim Yoo-jung’s novel is a device related to various aspects such as pansori, traditions such as Arirang, mediating devices for wound healing, style and locali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Attention to the achievements of these prior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find out that Kim Yoo-jung is using the effects of sound to maximize aesthetic effects at the narrative level, beyond just material dimensions. Among Kim Yu-jeong’s novels containing various sounds, “AMountain Vagabond” was chosen as the target text. This novel is his debut novel, and it is believed that the novel techniques and the direction of the writer’s worldview are clearly revealed. Reading the shape of the sound repeatedly appearing in the novel,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effect that drives this process of shaping was designed by the novel’s core investigative strategy. To this end, this article aims to begin discussions on the premise that the process of listening to sounds through literary imagination can be part of the novel’s structure. Author Kim Yoo-jung, ultimately, wants to find out how the characters are formed as “hearing communities” to give the community a role in conveying the effect of sound to the reader. 이 글은 김유정의 소설 「산골 나그네」(1933) 1)에 나타난 소리의 형상화 양상을 통해 작가의 서술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 주목해온 것처럼 김유정 소설에서 활용되는 ‘소리’는 판소리와아리랑과 같은 전통, 상처 치유의 매개물, 문체와 지역성, 미학적 특질 등 다양한 측면과 관련된 장치이다. 이글은 선행연구에 도움을 받아 작가 김유정이 단순한 소재적 차원을 넘어서, 서술적 차원에서 미학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소리의 효과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글은 다양한 소리를 담고 있는 김유정의 소설 중에서 「산골 나그네」를 대상 텍스트로 삼았다. 이 소설은 그의 등단작으로, 소설 기법이나 작가의 세계관의 방향성이 분명히 드러나 있다고 판단된다. 이 글은 이 소설에서 반복적으로나타나는 소리의 형상화 양상을 읽으면서, 이 형상화 과정을 추동하게 하는 소리 효과가 이 소설의 핵심적인 수사 전략에 의해 고안된 것이라고 가정하며 논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이 가정은 독자가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소리를 듣는 과정이 소설구조 일부가 될 수 있다는 전제를 가능케 한다. 이 가정을 밝히기 위해 2장, 3장, 4장에서는 이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는 ‘물소리’ , ‘침묵’ , ‘늑대소리’에 주목하여, 작가가 소리의 효과를 어떻게 활용하여 소설의 공간을 청각적 세계로 형성하고 인물을 형상화하고 있는지, 플롯양상을 분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김유정 도시소설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

        임보람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6

        이 글은 ‘소리풍경’이라는 키워드로 김유정의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몇몇 소설을 읽어보려고 한다. ‘소리풍경’을 작가의 수사학적 전략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가정하여, 이 개념이 도시소설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 틀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그동안 농촌소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김유정의 도시소설이 지닌 고유한 미학적 특성을 ‘소리풍경’을 통해 도출해냄으로써 김유정 소설을 새롭게 분류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소리풍경’은 언어적 규정을 앞서면서 정서적 차원에서 작중인물들의 관계망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로써 작가 김유정이 ‘소리풍경’을 사용하여 작중인물들의 얽힘을 형상화하고, 소리와 관계맺기를 서사의 추동력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이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 글은 ‘소리풍경’과 서술에서의 청각성을 강조하기 위해 청진자, 청진화라는 용어를활용하여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중에서 「심청」, 「봄과 따라지」, 「슬픈 이야기」, 「따라지」를 분석하였다. 거리와 샛방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청진자의 심적 상태를 쫓아가면서 「심청」, 「봄과 따라지」를 말소리의 풍경, 「슬픈 이야기」, 「따라지」를 울음소리의풍경으로 살펴보았다. 이는 소리 주체의 관계 속에서 청진자의 민감한 귀 기울임의 방식이 서사를 추동하면서 도시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유추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 KCI등재

        쓰레기로의 전회 가능성과 생태적 상상력 : 영화 <월-E>와 <굴뚝마을의 푸펠>을 중심으로

        임보람 문학과환경학회 2022 문학과 환경 Vol.21 No.2

        이 글은 영화에 나타나는 쓰레기의 이미지에 주목하여 이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상상력의 작용 양상을 밝히고, 이 상상력을 생태적 상상력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이로써 ‘쓰레기로의 전회’의 가능성을 탐문하고자 했다. 서론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하는 방식으로 논의를 전개해나갔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쓰레기에 왜 주목하는가? ‘쓰레기로의 전회’는 무엇이고, 이를 영화에서 어떻게 살펴볼 수 있는가? ‘쓰레기로의 전회’ 가능성과 생태적 상상력을 어떻게 연결할 수 있는가? 다음으로 본론에서는 두 영화에서 쓰레기의 의미가 어떻게 변화해가는지 분석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쓰레기의 이미지와 결합하는 불의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다음으로 이 불의 이미지와 쓰레기의 이미지가 결합하는 상상력을 추적하면서 이 상상력이 쓰레기의 이미지를 변형하는 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상상력의 양상을 도식화하면, <월-E>에서 춤추기의 상상력은 쓰레기의 이미지를 온기의 이미지로 변형시켰고, <굴뚝마을의 푸펠>에서 친구 되기의 상상력은 쓰레기의 이미지를 별빛의 이미지로 변형시켰다. 이상으로 불의 이미지의 특성을 경유하여 쓰레기의 이미지를 살피는 수사학은 생태 위기에 맞서기 위해 인간 본성의 중요한 힘인 상상력을 회복하여 미래로 열린 생태학을 모색해보려는 기획이다. 이를 위해 쓰레기와 인간이 공생할 수 있는 윤리적 상상력을 찾고자 이 상상력을 작동시키는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이미지들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유머의 수사학

        임보람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7 No.-

        이 글은 김승옥의 몇몇 소설에서 나타나는 ‘유머’에 주목하여, 작가가 인물들의 특수한 감정 상태를 드러내기 위해 ‘유머’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 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머에 대한 인물들의 태도는 대화 및 플롯 양 상을 분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추론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가고자 한다. 김승옥은 소설에서 인물들의 특수한 감정 상태를 부각하여 형상화한다. 이 감정은 등장인물들의 관계에 있어서 관계의 단절을 보여주는 지표로 이해되고, 서술적으로 어색하게 가공된 상황 속에서 인물들이 나누는 대 화를 통해 제시된다. 이 대화의 상황은 인물들이 처한 현실과 대비되어 유머러스하게 설정되는데, 이것이 웃음을 유발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이 글은 여기서 발견되는 독특한 성격의 유머를 세 측면에서 살펴 보고자 한다. 첫째, 「서울 1964년 겨울」에서는 등장인물들이 나누는 대화에서 발견되 는 의사소통의 부재에 주목하여, 인물들이 서로에게 친밀감에 대한 두려 움의 감정을 보이는데 이를 유머의 관점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둘째, 지식인 소설이라고 볼 수 있는 「환상수첩」에서는 지식인인 등장인물들이 보여주는 냉소적이고 우월적인 유머와 공격성의 유머 등의 형상화 양상 을 살핀 뒤 그 유머의 성격을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차나 한잔」과 60 년대식 에서는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유머의 형상화 양상을 살핀 뒤, 이를 통해 60년대의 저속한 소비문화에 대한 작가의 비판의식을 유추해보 고, 그 시대와 대면하지 못하는 소시민적인 인물들의 삶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로써 이 글은 김승옥의 ‘유머’를 당시의 문화 속에서 특징적으로 형성된 “느낌(Pathos)의 형식”으로서의 이해하고, 이것이 1960년대 한국사회 를 조망할 수 있는 제재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밝혀보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humor in several of Kim Seung-ok’s novels to see how the writer uses humor to reveal the special emotional state of the characters. The attitude of the characters to humor can be inferred from an analytical understanding of the dialogue and plot patterns. The highlighting of the characters’ special emotional state in the novels is understood as an indicator of breakage in their relationship and presented through a narrative conversation between the characters in awkwardly processed situations. The conversation is humorous in contrast with the situation the characters are faced with. In this paper I consider three aspects of this peculiar humor.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humor as a defense mechanism for fear of intimacy found in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haracters in “Winter 1964 in Seoul.”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ynical and allegorical humor, and the humor of aggression shown by intellectuals in “Hwansangsuchup.” Third, in “A cup of tea” and “1960s style,” I examine Kim Seung-ok’s satire of the sixties’ vulgar consumption culture which is portrayed as a physical symptom, while also looking at the lives of the petit bourgeoisie who cannot participate. Kim Seung-ok’s humor is understood as a form of pathos, characteristically formed in the culture of the time, and functioning as a sanction that can give a glimpse of 1960s Korean society.

      • KCI등재

        이청준의 「시간의 문」에 나타난 시간은유 연구

        임보람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감성연구 Vol.0 No.21

        이 글의 목적은 이청준의 소설 「시간의 문」(1982)에 나타나는 시간은유가 작가의식을 고찰하는데 적합한 언어임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로써 이 글은 시간은유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 은유가 수사적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레이코프와 존슨의 개념적 은유를 입론으로 삼았고, 은유가 상상적 구조로서 그 소설의 상황들에 적용할 수 있는 이상화된 모형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마크 존슨의 주장에 뒷받침을 얻었다. 또한 은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해준다는 마크 존슨의 주장에 힘입어, 이글은 시간은유가 인물들의 심리를 보다 밀접하게 살필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작가 이청준이 시간은유를 형상화하기 위해 ‘시간은 문‘의 은유를 제시하였다고 가정하였다. 작가는 ‘문’의 ‘열다’의 속성을 ‘문’에 사상시켜 시간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그래서 시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은 ‘문’의 열림에 의해 ‘흐름’의 이미지 도식을 갖게 됐다. 그리고 이 도식을 소설 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시간을 ‘사진 속에서의 시간’으로 한정했다. 따라서 ‘사진’, ‘시간’, ‘문’은 서사의 중심축을 이루는 모티프로서 서사 전체를 이해하는 데 관여된 요소들을 수렴시키는 구심표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의 문’의 은유패턴은 각각 ‘사진-문’, ‘사람-문’으로 나타났음을 밝혔다. 이상으로 이 글은 「시간의 문」에서 작가 이청준이 자기 실종까지 감행하면서 자신과 타자의 시간을 중첩 시켜 타자와의 관계망을 만드는 유종열이라는 인물을 제시함으로써, 이 겹의 시간이 만인이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시간으로 흘러가도록 시간은유를 활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이글은 이청준이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타자들과의 진정한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시간을 생성할 수 있는 윤리적 모형으로 시간은유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글은 이청준이 「시간의 문」을 창작할 당시 고통스러운 현실에 작가로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시간은유를 활용하였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have intended to the pattern of time metaphor, which appears in Lee Chung-jun’s novel “The Door of Time”(1982).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attern of time metaphor and it reveals that this metaphor is being used as a rhetorical strategy. For this purpose, the conceptual metaphors of Reicoff and Johnson were used as a proponent and it was supported by Mark Johnson’s claim that metaphor, as an imaginary structure, could provide an idealized model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novel. In addition, on the back of Mark Johnson’s claim that metaphor provides a ric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Eagle began the discussion on the premise that Time metaphors has the ability to look more closely at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Drawing upon these facts, the article assumes that author Lee Chung-jun presented a metaphor for 'Time is Door' to represent time-metaphor. The author defined the concept of time by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Open’ in 'Door'. So the abstract concept of time has been given the schematic image of 'flow' by the opening of ‘door’. And in order to shape this schematics more specifically in the novel, I limited the time to “time in the picture.“ Therefore, ‘photos’, ‘time’ and ‘door’ are the motifs that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and have become centripetal markers that converge the elements involved in understanding the whole narrative. In the process, the metaphor pattern of “The Door of Time” revealed that it appeared as “Photo-Door” and “People-Door,” respectively. In "The Door of Time," the article revealed that writer Lee Chung-jun is using time-consuming time to make sure that this overlap of time flows into the future time that everyone can share by presenting a character named Yoo Jong-yeol, who even goes missing and creates a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the others. Therefore, Eagle could see that Lee Chung-joon was offering a reason for time as an ethical model that could create time that would enable real encounters with hitters through literary imagination.In conclusion, Eagle "The Door of Time," Lee is painful reality, as a writer, to respond to the creation time and with metaphor as well as a transition strategy. Be alleging.

      • KCI등재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에 나타난 아기장수 설화 인유와 치유공동체

        임보람 한국기호학회 2023 기호학연구 Vol.73 No.-

        This article tried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integration of the allusion created by the two texts achieves an interpretative expansion by reading Cheong-Jun Lee’s <The Island that Swallowed Myths>(2003) as a text alluding to the tale of the baby heroine from the perspective of healing. This purpose started from the following curiosity. Why did author Lee Cheong-jun compose a novel by alluding to the tale of the baby heroine? Why did he place the narrative of the universal baby longevity handed down in Korea in the prologue and epilogue, and place the baby longevity tale handed down only in Jeju Island in the central narrative of the novel? What is the effect of the contrast through the two tales? While seeking an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allusion, I discussed how the allusion of a tale functions in the subjectization. In the main body, the process of achieving metaphorical integration through the collision of various images appearing in the alluded text (Agijangsu’s tale, Agijangsu’s tale in Je-Ju Island) and the alluded text (<The Island that Swallowed Myths>)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By dividing each image into ‘tomb and island’, ‘wings and dragon horse’, and ‘swallowing and crying’, these complex images form an allusive space, contextualize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actions, and finally While contributing to thematicization, the process of leading readers to the point of view of healing was revealed.

      • KCI등재

        치유자로서의 인공 행위자와 인간의 관계 맺기 - 영화 <당신과 함께한 순간들>을 중심으로

        임보람 한국기호학회 2024 기호학연구 Vol.76 No.-

        이 글은 영화 <당신과 함께한 순간들>에 나타난 인공지능 프라임을 인간과 관계 맺 는 행위력을 지닌 서사적 주체로 간주하면서 기존의 주체 중심의 서사와 다른 방향에 서 이 영화를 해석해 보고자 했다. 먼저 홀로그램인 프라임이 몸을 가진 존재라는 전 제가 있어야만 능동적 행위자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한 뒤, 몸-주체로서 세상과 접촉하 는 방식을 시선과 감정의 차원에서 살폈다. 프라임이 시선이나 감정의 주체가 되어가 는 과정을 신유물론적 사유에서 정보의 망에서 상호작용하면서 새롭게 다중체로 구성 되는 과정으로 이해했다. 다음으로 루치아노 플로리디의 정보철학의 관점에서 프라임 을 정보로 체현된 정보적 존재로 이해하면서, 프라임이 자의식을 가진 정보적 자아로 변해가는 과정을 내러티브적 자아이론으로 설명하였다. 프라임이 기억하기와 이야기 하기를 통해 자의식을 가진 치유자로 변화해 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이 글은 플로리디의 정보 철학을 경유하여 프라임과 인간을 모두 정보 존재자이자 윤리적인 존재자로 보고, 이들이 기억을 통해서 관계를 맺는 과정을 서사적 차원에서 해석했다. 그래서 기억을 인간과 비인간의 경계를 문제 삼으면서 동시에 이 경계를 넘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사유를 마련하여 프라임이 치유적 주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략으로 파악했다. 따라서 이 글은 기억, 시간, 정보, 이야기, 치유의 차원에서 인공 행위자를 인간 사회를 구성하는 주요한 행위자로 간주하여 인 공지능과 공존해야 하는 미래에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 제고할 계기를 제 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film “Marjorie Prim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the traditional narrative-centered narratives by consider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ime as a narrative subject with the agency to form relationships with humans. Firstly, assuming that Prime, a holographic entity, has a physical body is essential for it to become an active agent. From this premise, the article explores how Prime, as a body-subject, interacts with the world through the dimensions of gaze and emotion. It interprets the process of Prime becoming a subject of gaze and emotion as a process of interaction within the realm of new materialism, where Prime is newly configured as a multiplicity. Secondly, drawing from Luciano Floridi’s philosophy of information, Prime is understood as an informational entity embodied in information, and the narrative theory of selfhood is employed to explain Prime’s transformation into an informational self with consciousness. The article observes Prime's transformation into a conscious healer through processes of memory and storytelling. Consequently, this article, utilizing Floridi's philosophy of information, views both Prime and humans as informational and ethical beings, interpreting their process of relationship-building through memory in a narrative dimension. Thus, it considers the boundar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regarding memory, while also devising strategies for transcending this boundary to facilitate coexistence, allowing Prime to fulfill the role of a healing agent. Therefore,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in the future, recognizing artificial agents as crucial actors in society, in dimensions such as memory, time, information, storytelling, and healing.

      • KCI등재

        생태회복 수기와 돌봄의 윤리 -김유정 작품을 중심으로

        임보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과학연구 Vol.- No.79

        This passage explores Kim Yoo-jung’s novels, essays, and miscellaneous writings under the genre of “ecological recovery diary,” delving into the author’s personal struggles and determination for healing,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depicted. The attempt is to interpret these aspects through the lens of the connection with nature and the ethics of care, emphasizing the author’s literary imagination. The ecological recovery diary genre posits that human health relies on nature in some way, unfolding within a structure of being ‘connected’ to nature. Therefore, by examining how author Kim Yoo-jung has structu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aracters and the worl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we can uncover an ethical narrative that connects and restores both nature and humanity. The assumption underlying this exploration is the author’s imaginative process leading towards a mutual car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o achieve this, Chapter 2 focuses on why Kim Yoo-jung’s works can be considered ecological recovery diaries, highlighting interpretation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author’s actual life, such as discussions on illness and literary depictions of hospital beds. Chapters 3 and 4 then analyze selected works using keywords such as ‘Holes in the Ground,’ ‘Body Landscapes,’ and ‘Imagination of Filling Holes,’ revealing how, from a investigative standpoint, the author employs strategies to extend the ethics of care in her works.

      • KCI등재

        불안한 정동에 응하는 관객 되기-소설 『신중한 사람』을 중심으로-

        임보람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100 No.-

        This article aims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the novel “The Thoughtful Person” and the reader, and to consider the power at play here as affect. It seeks to explore how this affect can function as a force that rationalize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investigate the potential for this affect to function in that capacity. In order to guide this discussion, the introduction seeks to answer two questions. First, can affect be a concept that can analyze the text? Second, ca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affect explain “A Thoughtful Person”? These two questions share the premise that affect assumes a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encounter” at the midpoint of body and body's “intercorporeality.”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affect, the author, Lee Seungwoo, analyzed how the characters in the novel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ortrayal of character dynamics, which is the focus of chapters 2 and 3.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re depicted through images of exile and wandering, emptiness and absence, etc. Characters who must wander and lose their place are unabl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others. Furthermore, they are unable to establish a proper relationship with themselves within their own worlds. They lose their anchors in life, fall into despair, and are trapped in uncertainty about what to do. Their unstable state invokes anxiety in the readers. This anxious affect circulates within the space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the reader, encountering the reader and producing effects of emotional transformation. This anxiety compels the reader who observes them to fully immerse in their suffering, thereby forming a “shared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reader. This can be seen as an affect employed by the author to evoke resonance in readers with the characters' pain. Therefore, this article suggests that “A Thoughtful Person” should be viewed not merely as the narrative of an individual struggling to find their existence amidst the conflict of meaning in life and the holistic world, but as the author’s practical ethical endeavor that presents the necessity for empathizing with the nameless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