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의 산술적 사고 수준 분석

        임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4 No.1

        Since arithmetic is the foundation of school mathematics, it needs to be taught meaningfully in the direction of improving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students beyond the fluency of computing skil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of 100 students in 5th grad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As a result, 82 students were at 1st level and 15 students were at 2nd level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rithmetical thinking and types of errors and misconceptions made by the students, and derived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arithmet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산술은 학교수학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계산 숙달의 측면을 넘어서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의미 있게 지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미인, 장혜원(2017b)에서 개발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산술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00명 중 82명이 산술적 사고의 1수준, 15명이 2수준에 해당하고, 0수준, 3수준, 4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이 각 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고학년에 해당하는 5학년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이 일반적인 예상보다 낮음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높은 비율을 보인 1수준, 2수준 학생들이 지니는 산술적 사고의 특징, 오류 유형 등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논의로부터 초등 수학에서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을 신장시키는 것에 관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광주대단지 사건의 정치성과 지체된 기억 – 성남시의회 회의록을 통해 본 광주대단지 사건의 기억투쟁

        임미리(Lim, Mi-R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3

        이 연구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인식에서 성남시가 여러 연구 성과와 외부의 시각에 비해 지체된 모습을 보였다가 최근 새로운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성남시의회에 상정된 5개 안건의 회의록을 분석했다. 대부분의 의원들이 표면적으로는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라는 명분에 동의하면서도 실제로는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갖고 있는 광주대단지에 대한 시각을 대리해 찬반 표결을 했다. 또 초기에는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적 태도가 강한 가운데 정당 요인이 크지 않았다가 뒤로 갈수록 소속 정당이 찬반 표결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편 2019년 조례안의 만장일치 가결에는 연극 〈황무지〉 공연을 계기로 가시화된 주민들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미쳤고 〈황무지〉의 관내 공연은 오랜 기억투쟁과 정치행동의 결과였다. 이 같은 분석은 광주대단지 기억을 둘러싼 성남시의 지체 현상이 기억의 정치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대단지 사건은 성남시에서 가장 정치적인 기억이었다. 이유는 신·구시가지가 공통의 역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이 5·18을 경험한 광주시와 광주대단지 사건을 경험한 성남시의 차이다. 광주대단지 기억을 중심으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 주민들이 반목해 왔고 지역 정치인도 마찬가지다. 2019년 조례 통과가 가능했던 것은 오랜 기억투쟁을 통해 광주대단지 기억이 지역 공통의 역사로 수용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tudy aims to find out why Seongnam City has lagged behind the various research achievements and external perspectives in its perception of the Gwangju Complex and why recent changes have occurred. To that end, it analyzed the minutes of the five agenda items submitted to the Seongnam City Council from 2013 to 2019.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of the lawmakers ostensibly agreed with the cause of truth finding and restoring honor, but actually voted to reflect voters’ views on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In addition, their parties did not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vote in the beginning, but as time went by, they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vote. On the other hand, the unanimous passage of the 2019 ordinance affected the change in residents’ perception which was visualized by the performance of the play “Hwangmuji”. It was the result of a long memory struggle and political action that ‘Hwangmuji’ could be performed in Seongnam City. This analysis suggests that Seongnam City’s delay over the memory of Gwangju Grand Complex is related to the politics of memory.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was the most political memory in Seongnam City than anywhere else. The reason is that the new and old cities do not have a common history.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Gwangju City, which experienced May 18, and Seongnam City, which experienced the Gwangju Complex incident. Because of the memory of the Gwangju Complex, residents of old and new towns have been feuding, which has also affected the city council’s vote. And the reason why the 2019 ordinance could be passed unanimously was because the memory of Gwangju Complex was accepted as a common local history through a long memory struggl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임미,김종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s there a direct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re high school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re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Fourth, are there any indirect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For this purpose, 38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D, K, S, and Y high schools in Busan were surveyed. The survey consisted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final 35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the major predictors and prote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verified and a new triple mediation model was suggested as a mediator. It is meaningful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and specific programs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in each counseling centers and high schools for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순차적으로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K, S, Y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35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예측변인과 보호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으로써의 새로운 삼중매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심리내적 변인을 위해 각 학교의 상담 및 교육기관에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 지원을 위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에 의한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임미가(Lim, Mi Ka),김진수(Kim, Jin Soo)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5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등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신교육목표분류학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여, 향후 성취기준 진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교육과정에 진술된 총 91개의 성취기준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지식 차원은 비교적 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있었고, 인지과정 차원은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었다.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2차원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역시, 총 24개의 분류 영역 중 5개의 영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텍스트 마이닝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지식 차원의 ‘문제’와 인지과정차원의 ‘이해하다’가 상위인자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성취기준 진술에서 단원 특성을 고려하되,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를 비교적 고르게 편성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취기준의 내용 편성에 있어 불균형의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중등 기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서술에 어떠한 지식과 어떠한 인지과정의 사용이 적절한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하여 성취기준 서술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추후 더 세분화된 목표 영역에 대하여 관련 연구가 진행될 것과, 성취기준과 수업목표, 교과내용, 평가와의 연계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 질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educational objectives taxonomy and text mining, and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to obtain implications for future achievement standard statements. A total of 91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in the curriculum are classified, and the conclusions of analyz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education objectives taxonomy, the knowledge dimension was distributed in a relatively balanced manner,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n two dimensions, it was found that 5 of the total 24 classification areas were concentrate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ext mining, “problem” at the knowledge level and “understand”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were selected as the top factors. It is suggested that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more detailed objectives areas,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the connection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instructional goals, subject content, and evaluation.

      • KCI등재

        분수의 단위와 전체에 관한 수학 교과서의 내용 고찰 및 초등학생의 이해 분석

        임미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初等 數學敎育 Vol.23 No.3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students learn the concept of fraction in the 3rd grade for the first time. At that time, fraction is introduced as whole-part relationship. But as the idea of fraction expands to improper fraction and so on, fraction as measurement would be naturally appeared. In that situation where fraction as whole-part relationship and fraction as measurement are dealt together,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get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and exploring unit and whole adequately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fra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 deal with unit fractions, how to implement activities to find the standard of reference from the part, and what visual representations were used to help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ra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rom the 7th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we analyzed 60 3rd graders’ understanding of finding and drawing the whole by looking at the part. Several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concept of fractions were derived from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현행 교육과정에 기초할 때 학생들은 3학년 시기에 분수 개념을 처음 학습하게 된다. 이때 전체-부분 관계로서의 분수로 도입되지만, 이후 가분수, 대분수 등으로 분수의 아이디어가 확장되면서 측정으로서의 분수가 자연스럽게 출현한다. 분수의 여러 의미 중 전체-부분 관계로서의분수, 측정으로서의 분수가 혼재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이분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수 지도 시 주어진 분수의 단위와 전체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파악하는경험을 적절히 제공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수의 단위와 전체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고찰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부분을 보고 전체 그리기’에 대한 초등학교 3 학년 학생 60명의 이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른논의로부터 분수 개념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AI 기반 개별화 학습을 위한 초.중등 기술 교육의 학습자 특성 연구 고찰

        임미가(Lim, Mika) 한국실과교육학회 202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기술 교육의 학습자 특성 연구를 고찰하여 AI 기반 개별화 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관련 국내 연구물 중 최종 76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교육에서 학습자 특성 관련 국내 문헌은 1999년 2편, 2000년 2편, 2008년 5편, 2013년 7편, 2020년 9편 등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자 특성의 주제는 기술적 문제해결, 기술적 사고, 발명 및 창의, 태도, 학습자 능력, 두뇌 이론, 메타인지, 성격 유형, 인지 양식 등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기술교육의 학습자 특성 국내 연구의 연도 별 연구 수가 대체로 완만한 증가의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라 기술 교육 분야에서도 개별화 학습에 대한 관심도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둘??, 연구 결과 분석된 학습자 특성은 인지·정의·심리운동적 영역을 고루 고려하고 있었으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 및 측정요소가 언급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검사도구는 AI 기반 개별화 학습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관련 학습자 특성은 AI 기반 개별화 학습 설계의 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셋째, 검사도구를 AI 기반 개별화 학습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은 학습 단계에 따른 활용, 인지・정의·심리운동·메타인지 등 중점적으로 고려하고자 하는 영역에의 활용, 정서적·감정적 피드백에의 활용, 계획된 의도적 불일치의 교육 설계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udy of learner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to obtain implications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and the final 76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related domestic studies from 1999 to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by year showed a gradual increase in general, and that relatively balanced studies were being conducted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tailed conten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chnological thinking, invention and creativity, attitude and learner ability. General learner characteristics include brain theory and meta-cognition. The method of using learner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is the use of learn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 and the use in the domains that need focus on, such as cognitive, affective, psychomotor and metacognition. It was the use of the school, and the educational design planned intentionally in contrary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mplications, it is suggested that a detailed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for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and a follow-up study on the specific methods to implement AI-based individualized learning will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