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海印寺 소장 高麗大藏經板의 印經佛事에 대한 조선 세조의 지원 의도

        임득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King-Sejo's printing-work of the Koryo-Dynasty's Tripitaka-Woodblock that have been existed in the Haein-Templ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d into intention of the King-Sejo's support. this printing-work were from third(1457) to forth year of the King Sejo, were printed 50copies. The King-Sejo was supported this printing-work in various forms. first of all, he supporte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the operating System of this printing- work was operating by a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was obtained the efficiency of a business. the second, he were also supported the respectable quantity of a human & material resources. finally, he gave also the increases of the national & social status. The King-Sejo was promoted strongly in this printing-work. because this project was included in a national & social purpose. first,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inting as a diplomatic formality-goods. the second,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the strengthening of his royal authority. finally,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a public security of the Buddhist community's support. 본 논문은 세조 3(1457)~4년 국왕이 주도한 해인사 소장 고려대장경판의 인경불사에 대한 지원 형태와 국가․사회적 의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인경불사는 세조 3년 6월부터 사전준비 과정을 거쳐 이듬해 8월 10일 해인사에서 인경본의 완성과 관련된 특별법회를 개최하면서 전체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세조는 인경불사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지원하였다. 우선, 국가의 공적인 행정조직을 지원하였다. 중앙행정기구인 禮曹 및 承政院, 지방행정조직인 경상도 관찰사 및 충청도·전라도·강원도·황해도 관찰사가 관여하였으며, 인경불사를 전담하는 특별 관료인 海印寺印經敬差官도 파견하였다. 불교기관인 禪敎兩宗都會所의 조직체계도 관여하였다. 다음으로, 상당 규모의 인적·물적 자원도 지원하였다. 宗室, 측근 공신세력, 일반 관료들과 함께 상당수의 대덕고승들이 참여하였으며, 종이·먹·黃蠟(밀)·胡麻油(참기름) 등과 같은 소요 물자도 지원하였다. 특히 인경불사에는 8,500여 명의 승려들도 관여하였으며, 경상도 관찰사가 전체 실무를 총괄하였다. 이 불사의 조직체계는 敎·俗 이원적 협조형태로 운영되어, 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조는 해인사가 국가·사회적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는 지원도 하였다. 인경불사에서 해인사의 住持가 주요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국가 지원으로 해인사에 舍宇도 조성하였다. 이 불사를 마무리하는 특별법회도 조정의 지원으로 해인사에서 열렸으며, 세조의 친압이 있는 菩薩戒도 해인사에 전달되었다. 특히 특별법회 때 세조의 명령으로 조성된 세조의 御眞이 해인사의 金塔殿에 봉안되기도 하였다. 세조는 인경불사 과정에서 당대 성리학적 지식인과 공신의 비판적인 견해를 잠재우는 한편, 측근기구인 승정원을 행정통로로 활용하고, 측근 공신세력들과 승려들을 전면에 배치하는 등 인경불사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그 연유는 인경불사에 다양한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세조의 인경불사 배경은 세조의 숭불정책과 好佛的 태도, 선왕·선왕후 및 죽은 왕자의 극락왕생, 國利民福, 인경본의 확보와 같은 불교적 의미와도 연관을 가진다. 그러면서도 국가·사회적 목적과 정치적 의도가 주목된다. 우선, 외교적 교섭 자원으로의 활용 의도이다. 세조 때 인출불사에서 확보된 인경본이 일본이나 琉球國 등지와 외교적 교섭과정에서 의례 하사 물품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정통성의 확보를 통한 왕권의 안정 내지 전제화를 모색하기 위한 의도도 작용하였다. 세조는 왕권의 정통성이 취약하여 왕권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면서 인경불사를 주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대의 국왕과 왕후 및 조상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함으로써 선대로부터 혈연적·정치적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불교계의 지원을 확보할 의도도 있었다. 세조는 이 당시 인경한 50질 가운데 46질을 한성·경기·강원·충청·경상·전라도에 위치한 41곳의 중요 사원에 안치시키게 하였다. 이로써 세조는 이들 사원이나 불교계로부터 우호적인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해인사(海印寺) 봉안과 사원의 위상

        임득균 ( Deug Guen Yim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본 논문에서는 해인사에 소장된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시기와 그 배경 및 사원의 위상 변화를 진단하였다. 기존 연구성과와 그 근거자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새로운 자료도 발굴하여 활용하면서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이에 따르면, 현재 연구자들의 대부분이 수용하고 있는 태조 7년(1398) 5월 해인사로 이안했다는 핵심적인 근거로 삼고 있는 『태조실록』 권14, 태조 7년 5월 병진 및 무오, 『정종실록』권1, 정종 원년 정월 경진 등과 같은 기록은 필요충분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다른 여러 자료를 통해 이안 시기는 충숙왕 5년(1318) 11월 이후부터 공민왕 9년(1360) 윤5월을 전후한 인접 시기이전까지라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해인사의 이안 배경은 지리적으로 봉안의 지속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역대실록 등 국가의 중요 자료를 보관할 수 있는 기반과 역량을 가졌으며, 11세기 이래 해인사의 고려대장경판의 조성사업에 필요한 敎學的 연구 역량이나 경판 판각의 인적·물적 기반과 역량 등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판각을 위한 기반과 역량은 고려대장경판의 이안 이후 훼손된 경판의 보완을 위한 현실적인 조건이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고려대장경판이 해인사로 이안된 이후에는 사원의 위상이 높아질 수 있었다. 특히 불교를 억제한 조선 왕조에서도 『고려대장경』을 국보로 인식되면서 해인사의 위상도 확보하게 되었다. This paper was developed primarily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and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time. According to my analysis, I have conclud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enshrined at Haein-sa sometime between November of the 5th year of King Chungsugwang`s reign (1318) and May (leap month) of the 9th year of King Gongminwang`s reign (1360). In particular, the record of May of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which has been widely embraced by researchers, I deem insufficient to establish an accurate timeframe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The reasons for moving the Rripitaka Koreana woodblocks to Haein-sa are as follows` Geographically, it ensured lasting stability; Haein-sa had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preserve important national documents, such as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t had research capabilities, experience in doctrinal studies and the manpower and resources to reproduce Tripitaka Koreana printing woodblocks which was a practical consideration for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damaged printing blocks afte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moved to Haein-sa. The enshrinement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levated the status of Haein-sa.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has regarded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s an important national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 KCI등재

        海印寺 소장 高麗大藏經板의 印經佛事에 대한 조선 세조의 지원 의도

        任得均(性安스님) ( Yim Deug Gue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9

        본 논문은 세조 3(1457)~4년 국왕이 주도한 해인사 소장 고려대장 경판의 인경불사에 대한 지원 형태와 국가·사회적 의도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인경불사는 세조 3년 6월부터 사전준비 과정을 거쳐 이듬해 8월 10일 해인사에서 인경본의 완성과 관련된 특별법회를 개최하면서 전체사업이 마무리되었다. 세조는 인경불사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지원하였다. 우선, 국가의 공적인 행정조직을 지원하였다. 중앙행정기구인 禮曹및 承政院, 지방행정조직인 경상도 관찰사 및 충청도·전라도·강원도·황해도 관찰사가 관여하였으며, 인경불사를 전담하는 특별 관료인 海印寺印經敬差官도 파견하였다. 불교기관인 禪敎兩宗都會所의 조직체계도 관여하였다. 다음으로, 상당 규모의 인적·물적 자원도 지원하였다. 宗室, 측근 공신세력, 일반 관료들과 함께 상당수의 대덕고승들이 참여하였으며, 종이·먹·黃蠟(밀)·胡麻油(참기름) 등과 같은 소요 물자도 지원하였다. 특히 인경불사에는 8,500여 명의 승려들도 관여하였으며, 경상도 관찰사가 전체 실무를 총괄하였다. 이 불사의 조직체계는 敎·俗이원적 협조형태로 운영되어, 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조는 해인사가 국가·사회적 위상을 확보할 수 있는 지원도 하였다. 인경불사에서 해인사의 住持가 주요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국가지원으로 해인사에 舍宇도 조성하였다. 이 불사를 마무리하는 특별법회도 조정의 지원으로 해인사에서 열렸으며, 세조의 친압이 있는 菩薩戒도 해인사에 전달되었다. 특히 특별법회 때 세조의 명령으로 조성된 세조의 御眞이 해인사의 金塔殿에 봉안되기도 하였다. 세조는 인경불사 과정에서 당대 성리학적 지식인과 공신의 비판적인 견해를 잠재우는 한편, 측근기구인 승정원을 행정통로로 활용하고, 측근 공신세력들과 승려들을 전면에 배치하는 등 인경불사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그 연유는 인경불사에 다양한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기때문이다. 세조의 인경불사 배경은 세조의 숭불정책과 好佛的태도, 선왕·선왕후 및 죽은 왕자의 극락왕생, 國利民福, 인경본의 확보와 같은 불교적 의미와도 연관을 가진다. 그러면서도 국가·사회적 목적과 정치적 의도가 주목된다. 우선, 외교적 교섭 자원으로의 활용 의도이다. 세조 때 인출불사에서 확보된 인경본이 일본이나 琉球國등지와 외교적 교섭과정에서 의례 하사 물품으로 활용되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정통성의 확보를 통한 왕권의 안정 내지 전제화를 모색하기 위한 의도도 작용하였다. 세조는 왕권의 정통성이 취약하여 왕권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면서 인경불사를 주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대의 국왕과 왕후 및 조상들의 극락왕생을 기원함으로써 선대로부터 혈연적·정치적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불교계의 지원을 확보할 의도도있었다. 세조는 이 당시 인경한 50질 가운데 46질을 한성·경기·강원·충청·경상·전라도에 위치한 41곳의 중요 사원에 안치시키게 하였다. 이로써 세조는 이들 사원이나 불교계로부터 우호적인 지원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into the King-Sejo``s printing-work of the Koryo-Dynasty``s Tripitaka-Woodblock that have been existed in the Haein-Templ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d into intention of the King-Sejo``s support. this printing-work were from third(1457) to forth year of the King Sejo, were printed 50copies. The King-Sejo was supported this printing-work in various forms. first of all, he supporte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country. in particular, the operating System of this printingwork was operating by a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was obtained the efficiency of a business. the second, he were also supported the respectable quantity of a human & material resources. finally, he gave also the increases of the national & social status. The King-Sejo was promoted strongly in this printing-work. because this project was included in a national & social purpose. first,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inting as a diplomatic formality-goods. the second,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the strengthening of his royal authority. finally,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a public security of the Buddhist community`s support. The King-Sejo was promoted strongly in this printing-work. because this project was included in a national & social purpose. first,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inting as a diplomatic formality-goods. the second,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the strengthening of his royal authority. finally, he was trying to utilize this project as a public security of the Buddhist community`s support.

      • KCI등재

        THE ENSHRINEMENT OF THE TRIPITAKA KOREANA PRINTING WOODBLOCKS AT HAEIN-SA TEMPLE AND THE TEMPLE'S ELEVATED STATUS IN SUBSEQUENT YEARS

        성안스님(임득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4

        This paper was developed primarily in an effort to analyze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and survey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at time. According to my analysis, I have conclud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enshrined at Haein-sa sometime between November of the 5th year of King Chungsugwang's reign (1318) and May (leap month) of the 9th year of King Gongminwang's reign (1360). In particular, the record of May of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which has been widely embraced by researchers, I deem insufficient to establish an accurate timeframe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nshrinement at Haein-sa. The reasons for moving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to Haein-sa are as follows: Geographically, it ensured lasting stability; Haein-sa had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to preserve important national documents, such as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t had research capabilities, experience in doctrinal studies and the manpower and resources to reproduce Tripitaka Koreana printing woodblocks which was a practical consideration for the repair or replacement of damaged printing blocks afte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ere moved to Haein-sa. The enshrinement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elevated the status of Haein-sa. This i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has regarded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s an important national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 海印寺 八萬大藏經

        성안스님(임득균)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1 한자연구 Vol.0 No.5

        The Tripitaka Koreana ("Goryeo Daejanggyeong")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I will first examine the philological aspect of the Tripitaka Koreana. Then its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will be surveyed, including the time and places of its production, the supervisory organizations involved, and the purpose for its production. The meticulous production process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will be summarized beginning with the cutting of logs and the acquisition of Buddhist canon in preparation for the making of the printing woodblocks. Then, based on textual evidence, their enshrinement at Haein-sa Temple will also be explored from the aspects of the timing of its production and the possible transportation routes used for its relocation to Haein-sa. The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several times in the pursuit of both national and private objectives. I will examine for whom and how often it has been printed. Lastly, the measures taken to preserve the Tripitaka Koreana will be explored. Many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ir almost perfect preservation. Special techniques are evident in the preparation of the woodblocks, how the woodblocks are stacked on the repository shelves, and also in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ir repositories. Current research will be introduced which is being conducted to apply modern scientific techniques for their enhanced preservation and to better utilize the content of the Tripitaka Koreana in diverse cultural area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녹차첨가가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재훈(Jae?Hun Kim),김선임(Sun?Im Kim),김종군(Jong?Gun Kim),임득균(Deuk?Kyun Im),박진규(Jin?Gyu Park),이주운(Ju?Woon Lee),변명우(Myung?Woo By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녹차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녹차가 청국장의 풍미증진을 위한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완전발효차와 반발효차 첨가시 청국장 발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국장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는 녹차종류에 관계없이 녹차첨가에 의해 시각적 품질이 감소하였으나, 불발효차 및 증제차의 경우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녹차첨가로 인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 특히, 불발효차 및 증제차 첨가는 청국장의 이취를 감소시켜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Ttuck-cha or Ooreung-cha green tea powder was not appropriate for the fermentation of Chungkookjan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pproved that the addition of Choi-cha or Powder-cha green tea powder reduced the off-odor of Chungkookjang. Therefore, Choi-cha and Powder-cha could be used as the effective natural addi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