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도로환경 적합도 평가 연구

        임동현,김종호,윤승제,김형주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기대와 달리 자율주행차 사고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자율주행차 사고는 자율주행차의 거동 문제로 발생할 수도 있지만, 자율주행차가 도로환경에 따라 주행상황을 인지하지 못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정적 및 동적 요인을 고려하여 자율주행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도로환경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기술인 ACC(Adaptive Cruise Control)에 대한 도로 적합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향후 실도로 자율주행이 예상되는 승용차와 버스에 대해 진행하였으며, 국내 고속도로 실정을 반영하였다. 자율주행차 주행에 영향을 끼치는 정적요인으로는 곡선반경과 경사도를 고려하였으며, 동적요인으로는 자율주행차가 주행하는 교통류를 반영하기 위해 서비스 수준을 활용하였다. 차량 거동과 도로요인을 활용한 수학적 이론 기반의 Numerical Evaluation과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Empirical Evaluation을 통해 자율주행 도로환경 적합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지표로는 Minimum TTC(Time to Collision)와 DRAC(Deceleration Rate to Avoid Collision)을 활용하였다. Numerical Evaluation에서는 곡선반경이 작을수록, 서비스수준이 낮을수록, 경사도가 클수록, 경사로의 길이가 길수록 ACC를 활용하기에 위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율주행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Empirical Evaluation에서도 Numerical Evaluation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차의 기반 기술인 ACC가 안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도로환경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율주행차가 주행하기에 위험한 도로를 파악하고, 해당 도로구간에 IoT 자율주행 인프라 설치를 통해 안전한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코의 보편사 서술이 갖는 혁신성 - 로마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임동현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2019 통합유럽연구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novative aspects in Giambattista Vico’s historiography compared with Damiano Romano, the 18th century Neapolitan Catholic critic, in the European tradition of universal historiography. Recent studies on New science, Vico’s major work, have concluded that his idea autochthonous generation and autonomous development of civilizations disaggregated the unitary vision inherent in the Christian vision of universal history. This study corroborates this conclusion, presenting Romano’s idea on universal history as a sample of the Christian vision of universal history. Both Vico and Romano not only defended the historical veracity of biblical narratives and the authority of the sacred history as a universal history of humankind, but also refuted the thesis of the greater antiquity of pagan nations and the hypothesis of the preadamite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eir explanations of the generation of the various civilizations in the world. In this regard, Vico maintained that all the civilizations in the world had been generated in an autochthonous way without any cultural and material exchanges, whereas Romano asserted that all civilization had originated with the Hebrews, who developed their society guided by revelations. The comparison between Vico and Romano reinforces the idea that the innovative aspects of Vico’s historiography were never compliant with the Christian vision of universal histo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로 마커를 적용한 인공지능 CCTV 운영 모델 연구

        임동현,박대우 한국통신학회 202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8 No.1

        공공기관이 방범 및 주차단속 등의 목적을 위해 운영하는 대부분의 CCTV는 도로 위에 위치한다. CCTV 수량은 영상 사용량의 증가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CCTV가 촬영한 영상의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컴퓨팅파워와 영상분석 속도도 같은 비율로 증가 되어야 한다. CCTV 영상에 서비스 대상 영역(ROI)을 선언하고, 해당 영역에만 네트워크모델을 적용하여 영상을 분석한다면, 요구되는 컴퓨팅파워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CCTV는 차량또는 작업자 등에 의한 충격, 진동 또는 볼트 풀림 등의 이유로 CCTV 화각 변경이 발생한다. 화각 변경은 인공지능 영상분석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위에 마커를 운영하고, 이를 기준으로인공지능 융합제어 ROI 설정을 제안한다. CCTV 영상분석이 해당 ROI 내에서만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컴퓨팅파워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그리고, CCTV가 외력에 의해 ROI가 변경되었을 때, S/W와 H/W의 인공지능 융합제어로 ROI를 자동으로 재설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로써,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CCTV 운영 효과가 향상될 것이다.

      • KCI등재

        표본 ADAS 차두거리 기반 연속류 시공간적 교통밀도 추정

        임동현,고은정,서영훈,김형주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이 빠르게 보급 됨에 따라 표본 프로브 차량에 설치된 ADAS로부터 얻은 개별차량의 궤적 데이터와 전방차량 과의 차두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속류의 교통밀도를 추정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과거 연속류 교통밀도는 주로 차량검지시스템(Vehicle Detection System, VDS)에서 수집되 는 교통량, 속도, 점유율 등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추정되거나, CCTV등의 영상정보를 활용하여 직접 차량 대수를 계수하여 추정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교통밀도 추정의 공간적 제약이 있고, 교통 혼잡시 추정의 신뢰도가 낮다는 한계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DAS로부터 수집된 개별차량 궤적 데이터와 차두거리 정보를 활용하여 도로 의 공간을 검지하고 일반화된 밀도(Generalized Density)방식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교통밀도를 추정한다. 이에 따라 ADAS차량의 표본율에 따른 교통밀도 추정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30% 의 표본율일 경우 교통밀도 참 값과 약 9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향후 ADAS 및 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되는 도로 상황에서 신뢰도 높은 교통밀도 추정을 가능하 게 하며 효율적인 교통운영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analyze the traffic density of continuous flow using the trajectory of individual vehicles and the headway of sample probe vehicles-front vehicles obtained from ADAS (Advanced Driver Assitance System) installed in sample probe vehicles. In the past, traffic density of continuous traffic flow was mainly estimated by processing data such as traffic volume, speed, and share collected from Vehicle Detection System, or by counting the number of vehicles directly using video information such as CCTV. This method showed the limitation of spatial limitations in estimating traffic density, and low reliability of estimation in the event of traffic conges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 In this study, individual vehicle trajectory data and vehicle headway information collected from ADAS are used to detect the space on the road and to estimate the spatiotemporal traffic density using the Generalized Density formula. As a result, an analysis of the accuracy of the traffic density estimates according to the sampling rate of ADAS vehicles showed that the expected sampling rate of 30% was approximately 90% consistent with the actual traffic density. This study contribute to efficient traffic operation management by estimating reliable traffic density in road situations where ADAS and autonomous vehicles are mixed.

      • KCI등재

        수중 다중매체 통신에서 U-DTN을 이용한 흐름 제어 기법과 성능 평가

        임동현,김창화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3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6 No.10

        This paper proposes an Underwater Delay/Disruption Tolerant Network (U-DTN) that prevents intermediate nodes from accumulating and losing messages due to the speed gap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media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s, when they communicate more than one hop using communication media in an underwater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 U-DTN proposed in this paper stores messages in auxiliary memory when an intermediate node accumulates messages due to the speed gap in transmission between communication media, reaches the limit of the main memory, and predicts message loss. When the auxiliary memory is full, intermediate node also sends STOP message to its neighbor nodes, sort to pause there message transmission. and than it processes the already-received messages. In the case that i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longer a message risk loss, it sends a RESTART message to its neighbors so that it can resume sending messag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enefits of our flow control technique, we propose mathematical models of the message loss prevention rate and the saving data amount when U-DTN is applied. Moreover, we compare the memory-full time in U-DTN applied case with U-DTN not-applied case to see how much longer (i.e., benefit time) U-DTN applied case can receive messages with auxiliary memory.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유럽의 눈에 비친 한국 - 카를로 로세티의 한국관을 중심으로 -

        임동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19 역사문화연구 Vol.72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age of Korea, appeared in Corea e Coreani, published in 1902 and 1903 by Carlo Rossetti, the second Italian consul to the Korean Empire. Rossetti’s work has been regarded as exceptionally unbiased and objective. The Italian diplomat, however, did little to hide not only his perceived dichotomy between the civilized Western and barbaric non-Western worlds but also typical colonial logic, according to which the latter should be civilized by the former. Rossetti, in his descriptions of Korea, highlighted not only the pathetic and cruel characters of Koreans and historical isolation of Korea but also pre-modern elements in politics, public administration, transportation,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and folk religion. This study attempts to refute previous appraisals of Rossetti’s work, maintaining that he reproduced the core elements of the traditional dichotomous narratives between the Western and non-Western worlds, which had been reinforced continuously in history since the 17th centur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제국 시기 이탈리아 출신의 외교관 로세티의 한국관을 분석하고 그것이 전통적인 주체와 타자의 이분법적 담론에서 예외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1904년 출판된 로세티의 『한국과 한국인들』은 그 동안 예외적으로 편견 없이 서술된 객관적인 저작으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와 달리 로세티는 자신의 저작에서 같은 시기 한국을 방문했던 다른 서구의 여행자들의 기록과 마찬가지로 서구의 문명 세계 그리고 원시와 야만으로서의 비서구 세계라는 이분법적인 틀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명 세계가 비서구 세계를 교화시키고 문명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논리를 여과 없이 드러낸다. 로세티는 무기력하고 무감각하며 잔혹한 한국인의 품성, 한국의 역사적인 고립과 폐쇄, 더럽고 불결한 환경뿐만 아니라 정치와 행정, 교통과 통신, 가족제도, 민간신앙 등에 나타나는 전근대적인 요소들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로세티의 한국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로세티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반박하는 한편 그가 다른 모든 서구의 여행자들과 마찬가지로 17세기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계속 강화되어 온 서구와 비서구의 이분법적 틀을 부지불식간에 수용하고 재생산하는 역할을 수행했음을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