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이니어 양성 커리큘럼 및 캡스톤 디자인 응용 사례연구: 로봇청소기의 디자인적 사고 프로세스 사례를 중심으로

        임덕신(Lim, Dokshin),안정현(Ahn, Jungh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19 공학교육연구 Vol.22 No.2

        This paper deals with a ‘Designeer’ education program that has a specific objective of educating design to undergraduate students in mechanical engineering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ir ability of collaboration with designers when they are going to work in the field after graduation. The entire curriculum of the Designeer education program is introduced first, the end of which two-semester Capstone Design Courses for senior students is offered to let them practice all the knowledge and skills in a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specific matters such as sketching & visual thinking, prototyping and user experience design is one thing and practicing those knowledge and skills into a Capstone Design project is another. At this point, design thinking process needs to be in place to give students a foresight of one-year journey and to ensure that they will produce a desirable, feasible and viable product at the end of the year when they define the right problem at the beginning. Their frustrations and discoveries while applying design thinking throughout the year i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of a Robot Vacuum Cleaner design project. Finally, we provide real examples of effective methods to practice divergent and convergent phases.

      • KCI등재

        디자이니어 양성 커리큘럼 내 융합설계프로젝트 사례: 웨어러블 손목 마사지 기기의 햅틱 디자인

        임덕신(Lim, Dokshin),권경현(Kwon, Kyunghyun) 한국공학교육학회 2020 공학교육연구 Vol.23 No.2

        This paper deals with a Capstone Design project which is a wearable haptic wrist massage device design carried out within the ‘Designeer’ education program. Following design thinking process is recommended throughout a year in order to ensure a desirable, feasible and viable product. Dealing with a real problem of the field requires open-minded and flexible attitudes both from students and professors. Integrating design in an engineering project does not mean always making better looking product. User experience design allows wider opportunity to engineers to deal with design. A case study of developing a wearable wrist massage device shown in this paper demonstrate haptic design and how haptic properties can be optimized to offer best user experience of hand massaging. This study identified that starting lateral pressure movements from the center in larger area using air tubes gives better feeling as self-massage using wrist wearing devices.

      • KCI등재

        제품 반응 카드를 활용한 미래 로보택시 사용자경험 키워드 도출

        임덕신(주저자) ( Lim¸ Dokshin ),임덕신(교신저자) ( Lim¸ Dokshin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무인 로보택시의 UX 디자인 프로세스 초반에 제품반응 카드를 활용해 사용자경험의 방향성을 정의하는 것이다. 연구의 프로세스는 두 단계로 이뤄진다. 첫째, 전문가 11명이 설문을 통해 수요 응답형 이동 서비스에 적합한 제품 반응 키워드 29개를 선별한다. 둘째, 이 29개의 단어를 활용하여 미래 로보택시 잠재 사용자에 해당하는 일반인 37명을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디자인 방향성을 정하기 위해 개별 인터뷰에서 선택된 카드의 빈도를 가지고 상관관계에 기반한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14개 단어를 37명이 138회 선택한 건에 대하여 발생한 115건의 코멘트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 주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잠재 사용자의 우려와 기대는 기술의 역설, 변치 않는 핵심 가치, 신뢰성, 분위기, 편의성, 사용 용이성으로 정리된다. 본 연구는 제품 반응 단어 카드가 아직 충분한 정보나 신뢰가 없는 대상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과 같은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데에 매개체가 된다는 점과 양적인 분석으로 빠른 방향성 정리가 가능하도록 요인분석이 연결된 하나의 프로세스를 보여준다. Product-reaction cards also known as the MS desirability toolkit is an effective method to inspire participants positive thinking by bringing tangible cards in the interview. This paper presents how this method can be used in the early phase of robo-taxi service design when people mostly have negative image on autonomous vehicles. In this study full set of 118 product reaction words are first filtered by 11 UX designers who have experience of working on autonomous vehicle design projects. Then 37 users are individually interviewed using the 29 product-reaction cards filtered in the precedent step. Then factor analysis is applied to derive main factors from the words chosen by 37 participants. Finally six factors influencing the expectation to the future robo-taxi were derived. This study is a meaningful demonstration of how the lives of people who currently feel pain in using taxis could be better when future robo-taxis are availabl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완전 자율주행차에 적용된 인터랙티브 이모티콘이 자동차 디자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임덕신(Lim, Doksh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완전 자율주행차의 등장으로 인해 “자동차에서 모빌리티로 진화”가 빠른 속도로 실현되고 있다. 많은 연구가 탑승객 중심으로 디지털 콕핏과 새로운 인테리어 등 차량 내부 인터페이스를 주제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완전 자율주행차가 보편화되기 위해서 전반적인 소비자의 불안한 인식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연구들을 먼저 참고하였다. 이 논문은 그러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탑승객뿐만 아니라 보행자나 일반차량의 운전자까지도 완전 자율주행차와 대면하고 소통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결안을 모색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해결안으로 제시하는 차량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으로 인하여 도로의 광범위한 사용자 층에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인식 및 인지의 변화를 가져오는지 보여주고자 하였다. 첫째, 도로의 사용자가 이 차량을 신뢰할 수 있는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인식할 것인가? 둘째, 도로의 사용자가 이 차량의 자율주행 운행상태를 의도대로 인지할 것인가? 인터랙티브 이모티콘은 이러한 인식과 인지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안으로 도입되었다. 이 논문에서 이것이 소비자의 부정적인 인식 및 새로운 정보의 인지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는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자동차의 외형을 평가할 때 디자이너가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형용사 쌍으로 이모티콘이 없을 때 대비 있을 때 느낌을 평가하게 했다. 총 61명의 디자이너 혹은 디자인 관련자가 두 개 모두 평가하였고, 이모티콘의 애니메이션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설문으로 수행했다. 연구결과: 16쌍의 형용사를 의미차별화 다항목 척도로 피실험자 내 디자인으로 두 디자인에 대해 평가하게 하였다. 3개 척도로 각각의 항목에 대해 평가한 점수를 비교한 결과, 총 8쌍의 형용사가 이모티콘 적용 전후 다르게 인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해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그룹핑을 형성하였다. 총 5개 요소로 그룹핑되고 이 중 4개 요소에 영향이 있었다. 이모티콘 적용 후 더 신나는, 우아한, 동적인, 부드러운, 현대적인, 미래적인, 여성스러운, 가벼운 쪽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공지능과 같은 우리 삶에 편익을 주는 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차가 일반 차량과 다른 존재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다가간 결과는 긍정적이다. 기술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이모티콘의 스타일 및 상황에 따른 인터랙션에 대해 더 고민할 필요가 있겠다. Background: Recent progress of fully autonomous cars makes us believe that they are going to arrive in our lives earlier than expected. Fully autonomous cars do not need human drivers. It changes a lot in terms of interior design of cars. A lot of innovative design emerge to demonstrate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cars in the future. However, we observe fewer design challenges to show how those cars look from exterior in view of pedestrians and human drivers. It is important that pedestrians and human drivers are able to notice driverless cars and interact with them. Using emoticons is one of the ways to help road users in this context. We assumed that emoticons engage people and appear to be more friendly. Thus, we hoped that fully autonomous cars with interactive emoticons exterior will help increase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road users. Methods: In this study, we tested two design concepts: One design without emoticons, the other integrating animated emoticon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designers"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esign concepts, 61 designers or design-related practitioners/students were recruited by snowball sampling. Two sets of 16 bi-polar adjectives of semantic-differential scale relevant to each design were presented to respondents on the on-line survey form. All respondents evaluated both design alternatives in the same order. Analysis is done on two aspects: the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wo design alternatives by applying emoticons and the factor analysis of sixteen pairs of adjectives. Result: The results indicated that eight pairs of bi-polar adjectives are dependent on the design alternative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with emoticons was perceived differently(excited, elegant, dynamic, soft, contemporary, futuristic, feminine, light).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the results show that emoticons helped intriguing and assuring people on accepting the new techn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 제습 도어의 인포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준영(Junyoung Kim),도은채(Eunchae Do),임덕신(Dokshin Lim)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는 건조 기능이 없는 빌트인 세탁기 사용으로 인해 불편이 존재하는 밀레니얼 세대 1 인 가구를 대상으로 개발된 세탁기의 제습도어 컨셉을 전제로 한다. 이 신규 컨셉의 효용성을 극대화하여 표현하면서도 정보 전달의 인지적 효율성도 고려한 인포그래픽 LED 디자인을 제안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습도어 상에 나타내 주어야 하는 정보를 캄테크 철학에 맞게 다섯 가지 대표 사용 예로 선별 및 상황 별 인포그래픽을 디자인하고, 대상 사용자를 리크루팅하여 실험을 통한 검증 및 디자인 개선을 수행한 결과를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