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

        임경령,김유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5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수학문해환경에 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한 34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수학문해환경에 관한 교사용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그리고 단계적 다중회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담당하고 있는 반의 연령에 따라 수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으며,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유아교사의 일반적변인 중 경력과 학력,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문해환경은 유아교사의 일반변인 중 경력과 학력, 기관 유형과 담당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 수학적 태도 그리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문해환경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변인, 수학적 태도에서는 수학에 대한 동기 그리고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서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이 수학문해환경에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의 일반적인 변인, 수학적 태도,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이 유아교육기관의 수학문해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수학문해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가 지각하는 인간중심 중환자간호 수행 정도 및 요구도

        임경령 ( Lim Kyoung Ryoung ),박정숙 ( Park Jeong Sook ) 병원간호사회 2021 임상간호연구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son-centered care in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 at general hospitals and to derive the priority of practical person-centered care needs and intervention by analysing their needs. Methods: A total of 156 ICU nurses who wrote a written consent participated in a survey questionnaire on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PCC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Borich’s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All 15 items of person-centered care in ICU nurs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perception of importance than performance level (t=17.98, p<.00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orich's needs and the Locus of Focus Model, person-centered care items with highest priority in ICU were therapeutic contact, comfort words and actions, and efforts to empathize with patients in the compassion category. Conclusion: As a strategy to improve the person-centered nursing performance of ICU nurses in the ‘individuality’, it is necessary for ICU nurses to recognize the ICU patients as an individualized person, not as a disease or machine-dependent entity.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ICU nurses' compassion competence because ‘compassion’ was a top priority according to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KCI등재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경령 ( Lim Kyungryeong ),이지현 ( Lee Jeeh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만 4, 5세 유아 215명으로, 연구자의 검사로 유아의 수학능력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수학능력간은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만 4세 유아는 수와 연산, 대수, 측정, 자료분석, 기하능력 순으로 의도적 통제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만 5세 유아는 수와 연산, 대수, 기하, 측정, 자료분석 능력 순으로 의도적 통제와 상관관계를 나타내 연령별 차이가 있었다. 또한 만 4세 유아 보다는 만 5세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수학능력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유아의 수학능력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 4세 유아보다 만 5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대한 유아의 의도적 통제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수학능력에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on their math abilities. The subjects were 215 children aged from 4 to 5 whose math abilities and effortful control were measur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their math abilities. The correlations were different by age group because 4-year-olds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abilities in number and operation, followed by algebra,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geometry while 5-year-olds’ effortful control was most likely related to abilities in number and operation, followed by geometry,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math abilities in 5-year-old group wer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4-year-old group. Secondly,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math abilities. Moreover, the explanatory power of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on math abilities was higher in 5-year-old group compared to 4-year-ol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oung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math abilitie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수학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김유정(Youjung, Kim),임경령(Kyungryeong, L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수학’과 관련되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둔 ‘유아수학’과 관련된 411편의 논문에 있는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출현빈도,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유아수학 관련 학술지 논문에서 수학태도, 수학능력, 수학활동의 키워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 키워드들은 다른 키워드와의 연결이 가장 많이 되었으며, 키워드 간의 연결도 가장 많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물에서 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해석된다. 둘째,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의 키워드를 1기(2001-2007년)와 2기(2008-2018년)로 나누어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 상위권의 키워드에 변화가 나타났다. 1기와 2기 모두 수학능력, 수학활동, 문제해결능력은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1기 때는 역동적 평가, 평가도구, 수학성취 등이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반면 2기 때는 수학태도가 가장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1기 때 나타나지 않은 누리과정이 영향력이 큰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수학’과 관련된 연구의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twork of keywords in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related research. To this end, keyword network analysis(frequency of occurrence,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was conducted on keywords of 411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based on the academic paper databas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keywords of mathematics attitude, mathematics ability, and mathematics activity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in the journal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from 2001 to 2018. In addition, these keywords are most frequently linked with other keywords, and are also most frequently linked between keywords. This is interpreted as the influential keywords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related research.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keyword network by dividing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mathematics into 1st stage(2001-2007) and 2nd stage(2008- 2018), there was a change in keywords with high influence over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mathematics ability, math ac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ere keywords with great influence. In the first stage, dynamic evaluation, evaluation tools, and mathematical achievements were keywords with great influ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stage, mathematical attitude was the most influential keyword, and the Nuri curriculum that did not appear in the first stage was keyword with great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