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misulpride의 지속 투여가 생쥐의 성별에 따른 체중 및 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효진,신윤오,전병화,박룡진,김정란,Lee, Hyo-Jin,Shin, Yun-O,Jeon, Byeong-Wha,Piao, LongZhen,Kim, Jeong-La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2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n food intake, body weight, and metabolic parameters by amisulpride administration in male and female mice, comparing the effects of risperidone and vehicle administration. Methods : Female and male C57BL/6 mice were grouped into low dose amisulpride(1.5mg/kg), high dose amisulpride(15mg/kg), risperidone(0.1mg/kg) and vehicle. Drugs were administered once daily through intraperitoneal injection over 21days. Body weight was measured weekly and food intake was measured daily. Levels of triglyceride, glucose, insulin and prolactin were determined at the end of experiment(on day 22). Results : In the fe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sulpride as well as risperidon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s. But weight gains in amisulpride groups were numerically smaller than that of risperidone group. In male mice, only high dose amisulpride caused significant weight gain. Among weight gain groups, only weight gain of male mice with high dose amisulprid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food intake. Weight gain group in female mice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ood intake. In male mice, both amis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 plasma insul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In female and male mice, low and high dose amiulpride groups showed significant high plasma prolactin levels compared to vehicle. Triglyceride level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ll groups. Glucose level was changed significantly only in male risperidone group. Conclusions : Administration of amisulpride caused more significant weight gains in female and male mice than controls but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mice. Our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mechanisms of amisulpiride are likely to affect weight gain between male and female mice. 목 적 이 연구는 수컷과 암컷 생쥐에서 amisulpride를 투여하였을 때 먹이 섭취량, 체중 및 대사 지표에 대한 영향을 risperidone 및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수컷과 암컷 C57BL/6형 생쥐를 저용량 amisulpride 투여군(1.5mg/kg), 고용량 amisulpride투여군(15mg/kg), risperidone 투여군(0.1mg/kg)과 Vehicle군으로 나누었다. 약물은 21일간 매일 하루에 한 번 복강 주사를 통해 투여되었다. 체중은 일주일에 한 번씩 측정하였으며 먹이 섭취량은 매일 측정하였다. Triglyceride(TG), glucose, insulin 그리고 prolactin은 실험 종료 시에 측정하였다(실험 22일). 결 과 암컷 생쥐의 경우,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으며, risperidone 역시 유의한 체중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두 amisulpride군의 증가량은 risperidone군의 증가량에 비해 수치적으로 작았다. 수컷 생쥐의 경우, 고용량의 amisulpride만이 유의한 체중 증가를 가져왔다. 체중 증가를 보였던 집단 중에서, 고용량의 amisulpride를 투여하였던 수컷 생쥐만이 유의하게 증가된 먹이 섭취량과 연관성이 있었다. 암컷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보였던 군들은 먹이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컷 생쥐에서, 두 개의 amisulpride 투여군 모두는 vehicle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혈장 insulin 수치를 보였다. 암컷과 수컷 생쥐에서, 저용량과 고용량의 amisulpride 투여군은 vehicle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은 혈장 prolactin수치를 보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glucose는 수컷 risperidone 투여군에서만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결 론 Amisulpride는 암수 생쥐에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지만, 대사 이상에 대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amisulpride에 의한 체중 증가에 암수 생쥐에서 서로 다른 기전이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장.노년기 성인 음성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이효진,김수진,Lee, Hyo-Jin,Kim, Soo-Jin 대한음성학회 2006 말소리 Vol.60 No.-

        This study focused on comparing the following acoustic changes according to age and sex in adulthood: Fo, Jitter, Shimmer, and NHR. One hundred twenty Korean adults we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20's, 50's, and 70's) and two sex groups (male and fema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performed three tasks: (1) sustained three vowels; (2) read on paragraph of 'Taking a Walk' (3) explained a pictu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MDVP of Multi-Speech. In the parameter of Fo, sex and age were influential factors. In the parameters of Jitter, Shimmer and NHR, the effect of sex and age was different in all three parameters. When the groups organized by sex were analyzed by age, the 20's group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ll four parameters (Fo, Jitter, Shimmer, and NKR),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age ranges of 50's and 70's. We need to consider our standard parameter for the normal voice in the Korean elderly because the 50's and 70's age normal groups in our study are out of the current range of normal in MDVP.

      • SCOPUSKCI등재

        고속충돌노즐을 이용한 분류층 가스화기내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이효진,박태준,이재구,김재호,안달홍,Lee, Hyo-Jin,Park, Tae-Jun,Lee, Jae-Gu,Kim, Jae-Ho,An, Dal-Hong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0 No.5

        An entrained flow gasifier simulating the cold mode was tested to estimate its performance for coal gasification and flow characteristics with a developed high speed impinging jet nozzle. The burner was designed fo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HTHP) conditions, especially for IGCC(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n order to get proper size of droplets for high viscous liquid such as coal slurry, atomization was achieved by impacting slurry with high speed (over 150m/sec) secondary gas (oxygen/or air)/ Formed water droplets were ranged between 100.mu.m to 20.mu.m in their sizes.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gasifier was well understood in mixing between fuel and oxidizer. Both external and internal recirculation zones were closely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ation with visualization and numerical solutions from FLUENT CODE.

      • KCI등재

        대나무 편성물의 물성변화

        이효진,지주원,Lee, Hyo-Jin,Jee, Ju-Won 한국섬유공학회 200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4 No.4

        Bamboo fabrics, which are made by a echo-friendly fiber, have the following properties: lightweight, good weathering ability, good design and manufacture flexibility and medium strength. Dyeing using loess, a major kind of mineral natural dye is good for human body, protects environment and is able to produce beautiful natural colors. In this article, the changes of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 knitted fabric after loess dyeing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tton knitted fabric and cotton/bamboo blended knitted fabric. Experiment is conducted as follows; 1) preparing 3 kinds of knitted fabrics, 2) 3 kinds of knitted fabrics were loess dyed 8 times, 3) measuring and compa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nitted fabrics before and after dyeing. As a results, bamboo knitted fabrics were more flexible than cotton knitted fabrics. After loess dyeing, stiffness and toughness properties of knitted fabrics further increased. Cotton knitted fabrics showed higher value of KOSHI than bamboo knitted fabrics. Cotton knitted fabrics showed lower value of NUMERI, FUKURAMI than bamboo knitted fabrics. Bamboo-cotton blend is a good alternative for well-being textil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s of both cotton and bamboo fabrics.

      • KCI등재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한 Streptomyces 속 방선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이효진,황경숙,Lee, Hyo-Jin,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3

        국내 자생하는 왕대, 분죽, 조릿대, 호마죽과 같은 다양한 대나무 산림토양의 낙엽층, 부식층, 근권토양 내 방선균 밀도 측정 결과, $2.7{\times}10^6-2.7{\times}10^8$ CFU/g로 계수되었으며, 특히 조릿대 낙엽층 내에는 $2.7{\times}10^8$ CFU/g의 매우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100균주, 부식층으로부터 70균주 그리고 근권토양으로부터 160균주로 총 330균주의 방선균을 수집하였다. 이들 분리된 균주들의 기균사, 기중균사 및 색소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36개 방선균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그룹으로부터 대표 방선균 50균주를 선발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고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94%가 Streptomyces 속에 속하였으며, cluster I (2균주), II (35균주), III (6균주), 그리고 IV (7균주)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된 Streptomyces 속 방선균 50균주를 Shannon-Wiener법에 의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다양도는 3.33으로 부식층과 근권토양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근권토양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88%가 cluster II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방선균을 Botrytis cinerea, Xanthomonas campestris 그리고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대해 항균활성능을 검토한 결과, 각 74균주, 16균주, 25균주 그리고 24균주가 항균활성능을 나타내었다. To investigate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ctinobacteria, we have collected samples from various kinds of bamboo forest soil. Each different layers contained $2.7{\times}10^6-2.7{\times}10^8$ CFU/g of actinobacteria which was the highest in litter layers of Sasa boreali forest soil. We obtained 330 actinobacteria from different layers of bamboo forest soil; litter (100 strains), humus (70 strains), and rhizosphere soil (160 strains). Based on the colony morphology (aerial mycelium, substrate mycelium, and soluble pigment), isolates were divided into thirty-six groups and we selected 50 representative isolates.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Streptomyces was major actinobacteria (94%) and they were categorized as cluster I (2 strains), II (35 strains), III (6 strains), and IV (7 strains), respectively. The diversity index of 50 Streptomyces collected from the bamboo forest soil was calculated with the Shannon-Wiener method. Bamboo litter showed higher diversity index level of 3.33 than that of humus and rhizosphere soil. Also, antibiotic activities of our isolates were investigated against Botrytis cinerea, Xanthomonas campestris,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 and Bacillus cereus and found in 74, 16, 25, and 24 strains, respectively.

      • KCI등재

        조릿대 대나무림 토양 내 방선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이효진,한송이,황경숙,Lee, Hyo-Jin,Han, Song-Ih,Whang, Kyung-Sook 한국미생물학회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염기서열분석(pyrosequencing) 기술을 이용해 조릿대(Sasa borealis) 대나무림의 낙엽층과 근권 토양 내 주요 군집인 방선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방선균 유전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낙엽층 시료 내 세균군집은 2,588 OTUs, 다양성 지수 7.55로 나타났으며, 근권토양 시료의 경우 2,868 OTUs, 다양성 지수 8.15로 다양한 세균군집이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나무림 토양시료 내 세균군집은 총 35개의 문으로 구성되었으며, Proteobacteria (51-60%), Bacteroidetes (16-20%), Acidobacteria (4-16%) 그리고 Actinobacteria (4-14%) 계통군이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ctinobacteria은 총 6목 35과 121속의 다양한 방선균이 분포하였으며, 전체 방선균군집의 83%가 Actinomycetales 목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Actinomycetales 목은 28개 과로 구성되었으며, Micromonosporaceae, Pseudonocardiaceae 그리고 Streptomycetaceae는 조릿대 대나무림의 낙엽층과 근권토양에서 풍부도가 가장 높고 변이가 적은 대표 방선균군집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a pyrosequencing was performed and analyzed to verify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actinomycetes in the bamboo (Sasa borealis) soil as a base study to obtain the genetic resources of actinomycetes. It was found that the rhizosphere soil had much various distribution in bacterial communities showing a diversity of 8.15 with 2,868 OTUs, while the litter layer showed a diversity of 7.55 with 2,588 OTUs.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bamboo soil was composed of 35 phyla and the predominant phyla were Proteobacteria (51-60%), Bacteroidetes (16-20%), Acidobacteria (4-16%) and Actinobacteria (4-14%). In particular, Actinobacteria including Micromonosporaceae and Streptomycetaceae had a diverse distribution of actinomycetes within the six orders, 35 families and 121 genera, and it was characterized that about 83% of actinomycetes within Actinomycetales belonged to the 28 families. Among the dominant actinobacterial populations, Micromonosporaceae, Pseudonocardiaceae and Streptomycetaceae were representative family groups in the bamboo soils.

      • KCI등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효진,오희화,최경호,Lee, Hyo-Jin,Oh, Hee-Hwa,Choi, Kyoung-H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법을 이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연구된 독해력 관련 연구 70편을 종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평균 효과크기는 0.763으로 큰 편이었다. 둘째, 초등학교의 효과크기가 1.030으로 가장 큰 가운데, 학교 급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술지의 평균 효과크기가 1.250으로 학위논문의 평균 효과크기인 0.70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효과 측정방법에 대해서는 읽기방법의 효과크기가 더 컸으며, 다섯째, 적용언어에 대해서는 한국어가 영어보다 유의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발표된 연구결과물을 포함시키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그러나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독해력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려는 시도는 나름대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 on reading comprehension using meta-analysis method. The authors synthesized 70 studies regarding reading comprehension conducted during 2001 through 2011. The analyses revealed that 1)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reading development program yielded.763, which is regarded considerably large, 2) the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group was the biggest, 1.03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school levels, 3) the average effect size of published journal articles was 1.250,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dissertation's.700, 4) regarding the methods to measure the effect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effect size of reading method was larger, and 5) the effect size of Korean reading development program was statistically larger than that of English reading development program. This study has limitation as it didn't include unpublished manuscripts, conference presentations, and the like,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erms that it tried to draw integrated conclusion about the effect of reading development programs using meta-analysis.

      • KCI등재

        암환자의 통증치료에 대한 $Ultracet^{(R)}$의 유효성과 안전성

        이효진,진선아,윤각원,양영준,박남환,천재민,박남숙,윤환중,조덕연,김삼용,Lee, Hyo-Jin,Jin, Sun-Ah,Yun, Gak-Won,Yang, Yung-Joon,Park, Nam-Whan,Chun, Jae-Min,Park, Nam-Sook,Yun, Hwan-Jung,Jo, Deog-Yeon,Kim, Sam-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외래에 내원하는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암성통증의 조절에 있어서 $Ultracet^{(R)}$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암으로 진단을 받고 통증 조절을 목적으로 $Ultracet^{(R)}$을 투여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조절의 정도와 통증이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위해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를 이용하였다. 약물의 안전성은 복용 후 나타나는 부작용 정도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59.9세였고 성별분포는 남자가 34명, 여자가 27명이었다. 환자의 진단은 폐암, 위암, 육종, 대장암, 췌장암, 자궁 경부암, 두경부암, 그리고 림프종 등의 순이었다. 대상환자에서 가장 심했을 때의 통증 정도는 $Ultracet^{(R)}$을 사용하기 전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으나($5.18{\pm}1.41\;vs.\;4.82{\pm}1.94$; P=0.113), 가장 약했을 때의 통증 정도($1.2{\pm}1.05\;vs.\;0.87{\pm}1.35$; P=0.038),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평균 정도($3.65{\pm}1.01\;vs.\;3.13{\pm}1.73$: P=0.022)와 바로 지금 느끼는 통증정도($3.63{\pm}1.25\;vs.\;2.85{\pm}1.94$; P=0.003)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Ultracet^{(R)}$의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전반적으로 경미하여 2도의 오심과 구토 각 1예와 1도의 변비, 소양증, 안면 홍조가 각각 1예씩 관찰되었으나 3도나 4도의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Ultracet^{(R)}$은 외래환경에서 암환자의 통증조절에 있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교적 효과적인 약물로 생각된다. Purpos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ide effects of $Ultracet^{(R)}$ in relieving cancer pain in setting. Methods: Sixty-one cancer patients over 18 years old, who had cancer pain with or without medication, were enrolled. Pain and other variabl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Ultracet^{(R)}$ for 2 weeks, using 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Results: Of 61 patients with assessable efficacy data, the maximum pain intensity(PI) experienced in a day were $5.18{\pm}1.41\;and\;4.82{\pm}1.94$,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Ultracet^{(R)}$ respectively (P=0.113). The minimum PI experienced in a day were $1.2{\pm}1.05\;and\;0.87{\pm}1.35$,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Ultracet^{(R)}$, respectively (P=0.038). The average PI experienced in a day were $3.61{\pm}1.01\;and\;3.15{\pm}1.73$,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Ultracet^{(R)}$, respectively (P=0.022). The current PI were $3.63{\pm}1.25\;and\;2.85{\pm}1.94$, before and after treatment with $Ultracet^{(R)}$, respectively (P=0.003). Regarding the quality of life, only mood changed for the better in 49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Ultracet^{(R)}$ alone ($1.98{\pm}1.73\;and\;1.35{\pm}1.15$,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P=0.046). There were five (8.2%)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Ultracet^{(R)}$ treatment. Conclusion: $Ultracet^{(R)}$ seems effective and safe in ambulatory patients with cancer pain.

      • KCI등재

        패널모형을 이용한 도시특성요소가 범죄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효진,이재송,최열,Lee, Hyo Jin,Lee, Jae Song,Choi, Yeol 대한토목학회 2015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5 No.6

        본 연구는 사회학적 범죄이론에 근거하여 도시 지역의 특징과 범죄 발생 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범죄예방 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지난 8년간(2005~2012) 대검찰청의 범죄데이터와 지역별 통계연보 등을 통한 인구사회학적 데이터를 이용하여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고, 부산시의 16개의 구 군을 대상으로 패널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범죄 발생을 줄이고, 범죄예방을 위해서는 첫째, 일반적인 범죄 예방책보다는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범죄연구에 필요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범죄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이나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앞으로도 사회과학분야의 제도와 함께 도시공학 및 여러 학문들이 연계된 연구의 수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based on the sociological crime theor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urban characteristics and the incidence of crime, helping establish effective crime prevention measures. For doing so, the study employs crime data from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and socio-demographic data including the regional Statistical Yearbooks -both from 2005 to 2012- to build the study's panel data, and analyzes the panel model on the 16 subordinate districts in the city of Busan. To reduce the incidence of crime and prevent crimes from occurr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prevention measures specific to each region by its attributes are needed rather than general ones; second, new institutional frameworks or policies are required for utilizing accurate crime data; third,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which various fields including urban engineering are associated to that of social science is necessary to further the study.

      • KCI등재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추천시스템 모형의 비교 연구

        이효진,정윤서,Lee, Hyo Jin,Jung, Yoonsuh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3

        추천 시스템은 고객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 맞춤화된 상품을 추천한다. 추천 시스템은 협업 필터링, 콘텐츠 기반 필터링 그리고 이 두 가지를 합친 하이브리드 방법의 세 가지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방법론에 기초한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추천 시스템에 대한 소개와 그 모형들의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오토인코더는 데이터 행렬에 0이 많은 경우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딥러닝 기반의 비지도학습 모형이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개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섯 가지 종류의 오토인코더 기반 모형들을 비교한다. 처음의 세 개 모형은 협업 필터링에 속한 모형이고 나머지 두 개의 모형은 하이브리드 모형이다. 실제 데이터는 고객의 평점 데이터이고, 대부분의 평점이 없어서 희박성 비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Recommender systems use data from customers to suggest personalized products. The recommender system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cases; collaborative filtering, contents-based filtering, and hybrid recommender system that combines the first two filtering methods. In this work, we introduce and compar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er system using autoencoder. Autoencoder is an unsupervised deep learning that can effective solve the problem of sparsity in the data matrix. Five versions of autoencoder-based deep learning models are compared via three real data sets. The first three methods are collaborative filtering and the others are hybrid methods. The data sets are composed of customers' ratings having integer values from one to five. The three data sets are sparse data matrix with many zeroes due to non-respon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