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목회신학적 제언: 함께 돌보는 사회를 꿈꾸며

        이효주 한국목회상담학회 2024 목회와 상담 Vol.42 No.-

        대한민국은 2001년 초저출생 사회로 진입했고, 2004년 저출생 문제가 국가적 의제로 선정된이후 이 문제는 점점 악하되고 있다. 출생률 감소의 원인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를 논하는 것은 국가의 존폐 위기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 되었다. 이 연구는 출생률 감소의 원인을 한국 여성의 삶이라는 현주소가 말해주는 돌봄노동에서의 성불평등에서 찾고, 돌봄이 여성의 책임이 아닌 인간 모두의 책임으로 여겨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목회신학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논하는 것이다. 저출생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삶의 현장에서 시작하여 목회신학적 담론 구성을 위한 실마리를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중삼중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이를 둔 직장 여성들의 삶의 현 주소를 살피고, 더 큰 차별의 원인으로 역할을 하는 사적 영역에서의 돌봄노동에서의 불평등을 분석할 것이다.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서 남성과 여성이 돌봄노동을 함께 참여해야 하는 사회를 만들 필요성과 이를 위해 현재 교회들의 실천적 노력의 한계는 무엇인지 살필 것이다. 이러한 논의가 목회자를 포함한 교회 성도들의 의식개선을 위할 뿐 아니라 돌봄에 관련된 국가 정책을 마련에까지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outh Korea became a society with a very low birth rate in 2001. After the low birth rate issue was identified as a national agenda item in 2004, this problem has steadily worsened. Discussing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birth rates and exploring potential solutions have become important topics that could resolve the country's existential crisis. This study identifies the cause of the decline in birth rates as gender inequality in caregiving work, reflected i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women's lives. It emphasizes the need for pastoral theological discussions to create a societal framework where caregiving is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of all human beings rather than solely the responsibility of women.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starts from real-life experiences, seeking insights to construct a pastoral theological discourse to address the serious social problem of low birth rates. It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life of working women with children who face double and triple challenges and analyze inequalities in caregiving work within the private sector that cause greater discrimination. To tackle the low birth rate problem, it explor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ociety where women and men participate equally in caregiving work. To this e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ractical efforts of today's churches will be examined. I hope these discussions will raise awareness among church members, including pastors,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shaping national policies related to caregiving.

      • KCI등재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 직무, 제도적 요인이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친가족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효주,박성민 한국국정관리학회 2019 현대사회와 행정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be the main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JS) and quality of life (QOL) in the public sector, as identifi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motivational factor, job-related factors, and systemic factors. Drawing on person-environment fit(P-E fit), job demand-resource (JDR) model, and spillover theory, this study analyzes public service motivation (PSM), job resources, job autonomy, job stress (job conflict and job ambiguity) and family-friendly policies (flextime and childcare) to identify significant antecedents and mediating conditions of JS and QOL. Large data sets from the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2018 are used to empirically test the direct, indirect and moderating effects of a set of motivational, job characteristics and systemic influences on JS and QOL within the Korean public sector. The research finds that certain predictors, mediators and moderator play major roles in meaningfully diminishing or boosting the levels of JS and QOL. Based on a discussion of the main findings,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practice are provided.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OECD, UN 등 각종 삶의 질 조사에서 대한민국은 꾸준히 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공직생산성 제고와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무혁신을 공표하였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대한민국 공무원의 동기, 직무, 제도적 요인이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 업무수행자원, 업무자율성,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제도적 요인으로서 유연근무제, 육아휴직제 활용 만족도가 직무만족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공봉사동기, 업무자율성,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매개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근무제에 대한 만족도는 업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심이 부족했던 공무원 삶의 질을 이론적으로 조망할 뿐 아니라, 인사관리 실무자들에게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특성

        이효주,이윤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ocial communic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premature toddlers.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premature and twentyfull-term toddlers. The month of chronological age of toddlers ranged from15 to 33 months and divided into two age groups, age 1 and age 2, in eachgroups. Social communicative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CSBS DP. The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total score of CSBS DP than the full-term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totalscore in age 2 than age 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and ageinteraction effect. (2) The premature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score inthree composite(social, speech, symbolic) of CSBS DP than the full-term group. Scores of speech and symbolic composites in age 2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age 1 however score of social composi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woage groups. And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 and age interaction effectin three composites. (3)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in communication, gesture, speech, words, comprehension, and using objectsamong 7 clusters of CSBS DP than the full-term group. In speech andcomprehension cluster, the discrepancies of two group were reduced at age 2than age 1. We discussed social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prematuretoddlers based on there result. 본 연구는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명의 미숙아 출생 영유아와 20명의 만삭아 출생 영유아로, 생활연령은15~33개월 사이였으며, 각각의 집단은 1세와 2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사회적 의사소통행동은 CSBS DP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미숙아 출생 영유아는 만삭아 출생 영유아에 비해, 1세 집단이 2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CSBS DP의 전체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집단×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2) 미숙아 출생 영유아는 만삭아 출생 영유아에 비해 CSBS DP의 세 가지 영역(사회적, 발화적, 상징적)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1세 집단은 2세 집단에 비해 발화적, 상징적 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으나 사회적 영역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 영역 모두 집단×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3) 미숙아 출생 영유아는 CSBS DP의 7가지 세부요인 중 의사소통, 제스처, 말소리, 단어, 이해, 사물사용에서 만삭아 출생 영유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말소리와 사물사용에서 보인 차이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목회신학이란 무엇인가 ― 실천신학과 공공신학과의 관계 안에서

        이효주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2 No.-

        This study explores what pastoral theology is and examines it in the relation to practical theology and public theology. The term ‘pastoral theology’ has been often used in the same sense as practical theology. In particular, these two terms are still understood as interchangeable in British theology. Thus, it can be enough to confuse students who are new to pastoral theology. This study will look into the definition of the term ‘pastoral theology’ by Seward Hiltner, who laid the foundations of the field of pastoral theology. Then, it will examine the effort to tell pastoral theology from practical theology starting from Don Browning as well as the meaning of pastoral theology as public theology asserted by Bonnie Miller- McLemore. This study will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what pastoral theology is through enabling readers to understand the origin of each term and meanings of them and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erms. Based on this enhanced understanding, I would like to suggest directions for Korean pastoral theology. It is hoped that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pastoral theology among Korean students, minsters, and those care-givers in various forms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can play a role of stepping stone in expanding the Kingdom of God. 이 연구는 목회신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실천신학과 공공신학과의 관계성을 살피며 탐구한다. 목회신학이란 용어는 실천신학이란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던 때가 있었고, 현재 영국 신학계에서는 여전히 상호 교환이 가능한 용어들로 이해하고 있기도 하여서 목회신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는 혼동을 주기에 충분하다 여겨진다. 목회신학의 근간을 놓은 힐트너(Seward Hiltner)가 제시한 목회신학의 정의를 살피고, 브라우닝(Don Browning)을 시작으로 해서 실천신학과 목회신학을 분리해서 이해하려는 노력과 밀러-맥레모어(Bonnie Miller-McLemore)에 의해서 공공신학으로서의 목회신학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핀다. 각각의 용어의 기원과 용어의 의미를 파악하고 용어들의 관계를 파악함을 통하여 목회신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목회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를 원한다. 한국 신학생들과 목회자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목회돌봄과 상담을 감당하고 있는 사역자 사이에 목회신학에 대한 이해의 향상은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 나아가는 데 디딤돌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환경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청소년문화의집 실내공간디자인 요소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이효주,이선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는 시기로 청소년들은 심리적으로 매우 민감하며 다양한 고민과 갈등을 겪는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치열한 입시환경에서 오는 압박에 놓여있으며 극심한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하며 부정적 심리상태에서 높은 게임 과몰입 상태를 보이고 또한 지난 9년간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가 자살이라는 가슴 아픈 통계를 남기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이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 문화 활동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며 이를 위한 청소년 전용공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청소년시설의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청소년시설은 이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심리학적 관점에서 청소년의 발달 과정에 따른 심리적 특성과 욕구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수용한 공간디자인 방향 마련에 기초를 제공하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청소년의 발달 과정에 따른 심리적 특성과 욕구를 파악하고 물리적 공간요소가 심리와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환경심리학의 선행연구와 이론을 분석하였다. 이후 사례조사를 위해 서울지역에 있는 청소년문화의집 세 곳을 선정하고 공간분석에 앞서 이곳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환경심리와 관련된 각 실내공간 요소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중요도 의식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및 이론의 고찰을 통해 물리적 공간요소와 청소년의 심리와의 관련성을 종합하여 분석 틀을 만들고 이에 근거하여 사례조사 공간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종합하였다. (결과) 설문 조사 결과 청소년 이용자들은 환경심리와 관련된 실내디자인 요소에 높은 중요도 의식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선정된 청소년문화의집의 실내공간디자인은 도출한 분석 틀에 따라 조사한 결과 청소년 시기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정서적,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실내환경요소를 갖추지 못하거나 미비한 공간이 많았다. (결론) 청소년들의 실내디자인 요소에 대한 높은 관심과 심리적 욕구를 반영한 청소년 공간디자인 마련을 위해 먼저 청소년기의 발달특성과 심리상황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욕구와 정서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마음과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내공간디자인 요소에 반영하여 청소년 공간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이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현시대의 청소년 공간디자인을 돌아보고 환경심리학적 관점에서 청소년들의 심리적 욕구를 반영한 청소년 공간디자인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디자인 가이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환경심리요소가 청소년 공간디자인에 반영될 수 있도록 돕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연구 동향

        이효주,이윤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3

        Premature is considered to one of risk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aimed to review previous studies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of premature child. Thirty articles published from the 1990 to 2012 in international journals were analyzed. The articles analyzed based on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measurement methods, dependent variables, and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mature child are increasing in 2000s Most of studies were comparative studies with some correlation, predictive or follow-up studies and focused on development of infant and toddler periods Formal tests and observation procedures were used to assess overall language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studies reported that language and communication delay of premature child.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미숙아 출산은 영유아 발달 지체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고려되나 국내에서는 아직 미숙아들의 발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미숙아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연구를 위한 기초로 해외에서 발표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 논문은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1990년부터 2012년까지 발표된 미숙아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관련 논문들 중에서 실험 및 조사 연구 30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출판연도, 연구 대상, 연구형태, 측정절차, 종속 측정치, 연구 결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판 시기에 따라서는 2000년 이후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최근 연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설계에 따라서는 정상군과 비교하여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상관연구, 예측연구는 비교적 소수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라서는 영유아 시기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유아기 및 아동기까지 추적한 연구도 일부 보고되었다. 또한, 전반적인 연령에 걸쳐 공식검사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자발화 분석도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30편의 논문 중에서 25편(70%)이 미숙아 집단의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이 만삭아 집단과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향후 미숙아의 의사소통 및 언어 발달에 대한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목회상담과 질적 연구

        이효주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8 No.-

        This study examines what qualitative research 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practical theology discipline, including pastoral counseling so that it aims to justifies the reason why interdisciplinary conversation between these two disciplines has increased over the years. Also it purposes to help students who want to employ qualitative research for their pastoral counseling research. To do so, I will look into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by Norman Denzin and Yvonna Lincoln in their groundbreaking work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After examining the progress from quantitative research to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achieved by expanding the epistemological horizon, how this kind of expansion of the epistemological horizon has caused changes in the field of the theological enterprise based on Timothy Snyder’s analysis will be discussed. Finally,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research conducted by engaging with qualitative research as a methodolog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will be explained in terms of paradigm expansion. 이 연구는 질적 연구가 무엇인지 살피고 질적 연구와 목회상담을 포함한 실천신학 분과와의 관계를 고찰함을 통해 이 두 분과의 학제 간 대화가 증가해가는 이유의 정당성을 살펴 신학 분과 안에서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기 원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질적 연구 분야에서 혁신적이라 평가되는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에서 Norman Denzin과 Yvonna Lincoln이 정의하고 있는 질적 연구의 정의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양적 연구에서 질적 연구로의 발전은인식의 지평선이 확장되면서 이루어진 것임을 살핀 후, 이러한 인식론적 지평의 확장이 신학 분야에서는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Timothy Snyder의 분석을 기초로 해서 살핀다. 마지막으로 목회상담 영역 안에서 질적 연구를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이루어지는 연구가 증가하는 이유를 패러다임의 확장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게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직무급 도입과 조직 내 임금격차의 변화 : 기업사례연구

        이효주,이선호,김영미 비판사회학회 2022 경제와 사회 Vol.- No.136

        Recently, many scholars have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seniority-based pay into the job-based pay that alleviates seniority, based on the argument that high seniority exacerbates labor market in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job-based pay structure on wage gap among groups within an organization, using a case of a Korean company that converted its wage system from seniority-based pay to job-based pay.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pattern of change in the company that introduced job-based pay, the level of job distribution and sex segregation of job overtime was identified. Then we analyzed wage change by gender and position in the organiz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job-based pay. The result reveals that the wage gap between workers in the core group and periphery group has in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job-based pay. While the gender wage gap among core group worker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gender wage gap among workers in periphery group workers increased. Wage seniority has decreased overall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job-based pay but has decreased more clearly among periphery workers. Our result implies that the effects of the wage system reform are complex and vary according to gender or status categories. 최근 연공급 임금체계가 비효율적이며 나아가 노동시장 내 불평등을 심화한다는 점을들어 직무 중심 임금체계로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직무급 임금체계하에서 연공성이 완화되고 조직 내 임금격차가 감소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직무급을 도입한 한 국내 기업의 인사자료를 바탕으로 제도 개편 전후 조직 내 임금 연공성의 변화 및 집단 간 임금격차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조직에서 핵심적 위치(일반관리직)에 있는 노동자와 주변적 위치(현장서비스직)에있는 노동자들의 임금격차는 직무급 도입 후 증가했다. 그러나 일반관리직 내 성별임금격차는 도입 후 감소했다. 임금 연공성은 직무급 도입 이후 다소 완화되었으나 집단 간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직무급 제도가 임금 연공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조직 내 임금격차를 완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임금제도 개편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했다.

      • KCI등재

        공항 수용량의 지연시간 산출방식 비교 연구

        이효주,김도현 한국항공운항학회 2020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8 No.2

        Air transport demand is on a sharp rise due to growth in the aviation market. To prepare forthis rapidly growing demand for aviation, airport operators are interested in the processingairport capacity. Airport throughput is determined to be the smallest of the facility capacitiesthat make up the airport, but it is customary to determine the cost and time consuming runwaycapacity as airport capacit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while recent studies have beenconducted on airport capacity,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capacity.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airport capacity is affected by theairport’s operating hours and the resulting delays.

      • KCI등재

        안톤 보이슨의 생애와 공헌

        이효주 한국목회상담학회 2022 목회와 상담 Vol.38 No.-

        안톤 보이슨은 목회상담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보이슨의 삶을 소개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한국에서 목회상담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들은 보이슨이 어떤 삶을 살았는지 접근하는 것에 큰 걸림돌이 있는 상황이다. 임상목회교육과 함께 시작된 목회상담 분야가 성장한 지 근 한 세기가 지나는 이 시점에서 목회상담의 개척자인 보이슨의 삶과 그가 이 분야를 개척하며 주장했던 “살아있는 인간 문서”라는 용어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것은 의미 있다 할 수 있다. 그 사람이 살았던 시대와 그와 함께 한 사람들을 이해할 때 누군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듯이, 보이슨 역시 보이슨의 가족들과 그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 중요한 타자들과 중요한 사건을 통해 이해할 때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다. 하여, 이 연구는 보이슨의 생애를 돌아보고 그의 “살아있는 인간문서를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주장을 사회적 정황 안에서 이해하며 인간문서를 이해하기 위해 보이슨이 사용했던 사례연구방법의 기본적인 틀이 무엇인지 살피고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 사람의 인생을 짧은 소고를 통해서 살펴보는 것이 큰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앎에도 불구하고, 그를 이해하기 위해서 보이슨의 가족 외에 보이슨이 맛본 내적 갈등과 삶에서의 큰 좌절, 보이슨의 평생의 연인으로 알려진 앨리스 배챌더, 조현병으로 인한 정신병원으로의 입원 생활, 그리고 환자로 입원했던 병원에 채플린으로 부임하여 임상목회교육을 시작하기까지 보이슨의 삶에서의 굴곡을 탐색한다. 또한 신학생들에게 임상목회교육이라는 특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할 필요성을 주장했던 보이슨이 보였던 개혁성을 살피고, 그러한 개혁의 필요성이 한 세기를 지난 지금 한국 교회와 신학교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이슨이 임상목회교육에서 살아있는 인간 문서를 탐색하기 위해서 사용했던 사례연구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소개하고 그러한 사례연구방법이 현재 임상목회교육에서는 축어록 발표(verbatim presentation)라는 형식으로 이어지는 점을 밝혀 한국에서 훈련받고 있는 예비 목회자들을 위한 신학 교육의 미래를 위해 참고 자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