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김완욱,이광웅,최성호,허진석,김용일,김성주,이대성,이환,백승운,고광철,이준혁,최문석,유병철,조재원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목적: 간세포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간절제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그러나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수술 전후 처치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외과적 술기의 발전과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의 향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수술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의 수술 중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6세였고, 남녀 비는 4.01 : 1이었다. 수술 전 HBsAg (+)는 76.0%, 수술 전, anti-HCV (+)는 8.2%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19 ㎝이었다. 환자 중 26.2%에서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의 병력이 있었으며 8.7%에서 수술 전 경피적 간문맥색전술을 시행받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종양절제술 55예, 분절절제술 127예, 구역절제술 77예, 반간절제술 214예, 동반 혹은 확대 반간절제술 37예였다. 위험 인자로 나이, 성별과 각종 임상 지표(간기능 수치, 프로트롬빈시간, 혈청 알부민, 혈당, 알파태아단백, ICG 검사,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경피적 간문맥색전술 시행 여부) 등의 수술 전 인자, 수술의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등의 수술 인자, 그리고 종양의 크기, 종양의 수, 간경변 여부 등의 병리조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사망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입원 사망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은 student t test와 x²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총 56예(10.5%)에서 나타났으며, 조절되지 않는 복수 19예, 호흡기 합병증 10예, 상처 합병증 8예,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 6예, 출혈 5예, 고질소혈증 4예 등이었다. 수술 사망은 5예(0.98%), 입원 사망은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6예(1.1%)였다. 이중 간부전과 연관된 사망이 5예였고, 간부전과 동반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한 예가 1예 있었다.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수술 중 수혈량(P=0.002), 프로트롬빈시간(P=0.038), 혈당 수치(P=0.002)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다변량 분석 상 수술 후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는 나이(P=0.028), 혈당 수치(P=0.011),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P=0.046) 등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위험 인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시에 수술 후 이환율을 중이기 위해 가능한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고, 당뇨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령 환자에서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수술 전후 처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가 수술 후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Recently, mortality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hepatocelluar carcinoma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bidity, however, is still significant.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Methods: 510 patients who had a hepatic resection form Nov. 1994 to Dec. 2001 were included. The patient demographics showed a mean age of 51.6 year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4:1. The HBsAg was positive in 76.0% and the anti-HCV was positive in 8.2%. The mean tumor size was 5.2 cm, 26.2% of patients had preoperativ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and 8.7% had preoperative percutaneous transhepatic portal embolization (PTPE). Limited resection was performed in 259 cases (50.7%), and major resection was conducted in 251 cases (49.1%). Risk factors included age, sex, laboratory findings (liver function test, prothrombin time, albumin, glucose, α-fetoprotein, ICG test), preoperative TAE, PTPE, operation type, operation time, intraoperative transfusion, tumor size, and cirrhosis. Results: The morbidity was 10.5% (54 cases). Operative death occurred in 5 cases (1.0%). Hospital death, including operative death, occurred in 6 cases (1.2%). Five cases were associated with hepatic failure and 1 case was associated with aspiration pneumonia accompanying hepatic failure. Transfusion (P=0.002), glucose (P=0.002), and prothrombin time (P=0.038)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bidity. Age (P=0.028), glucose (P=0.011), and TAE (P=0.04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s: Intraoperative transfusion, which is mainly related to intraoperative bleeding, should be reduced if possible to decrease morbidit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he elderly need careful perioperative management.(Korean J Hepatol 2004;10:51-61)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김완욱,이광웅,최성호,허진석,김용일,김성주,이대성,이환,백승운,고광철,이준혁,최문석,유병철,조재원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Background/Aims: Recently, mortality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hepatocelluar carcinoma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bidity, however, is still significant.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Methods: 510 patients who had a hepatic resection form Nov. 1994 to Dec. 2001 were included. The patient demographics showed a mean age of 51.6 year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4:1. The HBsAg was positive in 76.0% and the anti-HCV was positive in 8.2%. The mean tumor size was 5.2 cm, 26.2% of patients had preoperativ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and 8.7% had preoperative percutaneous transhepatic portal embolization (PTPE). Limited resection was performed in 259 cases (50.7%), and major resection was conducted in 251 cases (49.1%). Risk factors included age, sex, laboratory findings (liver function test, prothrombin time, albumin, glucose, α-fetoprotein, ICG test), preoperative TAE, PTPE, operation type, operation time, intraoperative transfusion, tumor size, and cirrhosis. Results: The morbidity was 10.5% (54 cases). Operative death occurred in 5 cases (1.0%). Hospital death, including operative death, occurred in 6 cases (1.2%). Five cases were associated with hepatic failure and 1 case was associated with aspiration pneumonia accompanying hepatic failure. Transfusion (P=0.002), glucose (P=0.002), and prothrombin time (P=0.038)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bidity. Age (P=0.028), glucose (P=0.011), and TAE (P=0.04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s: Intraoperative transfusion, which is mainly related to intraoperative bleeding, should be reduced if possible to decrease morbidit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he elderly need careful perioperative management. 목적: 간세포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간절제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그러나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수술 전후 처치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외과적 술기의 발전과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의 향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수술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의 수술 중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6세였고, 남녀 비는 4.04 : 1이었다. 수술 전 HBsAg (+)는 76.0%, 수술 전 anti-HCV (+)는 8.2%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19 cm이었다. 환자 중 26.2%에서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의 병력이 있었으며 8.7%에서 수술 전 경피적 간문맥 색전술을 시행받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종양절제술 55예, 분절절제술 127예, 구역절제술 77예, 반간절제술 214예, 동반 혹은 확대 반간절제술 37예였다. 위험 인자로 나이, 성별과 각종 임상 지표(간기능 수치, 프로트롬빈시간, 혈청 알부민, 혈당, 알파태아단백, ICG 검사,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경피적 간문맥색전술 시행 여부) 등의 수술 전 인자, 수술의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등의 수술 인자, 그리고 종양의 크기, 종양의 수, 간경변 여부 등의 병리조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사망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입원 사망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은 student t-test와 χ2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총 56예(10.5%)에서 나타났으며, 조절되지 않는 복수 19예, 호흡기 합병증 10예, 상처 합병증 8예,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 6예, 출혈 5예, 고질소혈증 4예 등이었다. 수술 사망은 5예(0.98%), 입원 사망은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6예(1.1%)였다. 이 중 간부전과 연관된 사망이 5예였고, 간부전과 동반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한 예가 1예 있었다.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수술 중 수혈량(P=0.002), 프로트롬빈시간(P=0.038), 혈당 수치(P=0.002)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다변량 분석 상 수술 후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는 나이(P=0.028), 혈당 수치(P=0.011),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P=0.046) 등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위험 인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시에 수술 후 이환율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고, 당뇨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령 환자에서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수술 전후 처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가 수술 후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무상원조사업의 사전심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이환성(李桓誠),김호원(金鎬沅),박정호(朴正虎) 한국정책과학학회 202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4 No.1

        본 연구는 무상원조사업의 원조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사전심사 강화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무상원조사업의 사후평가와 추진체계를 개선하여 개발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노력은 많았으나 상대적으로 사전심사를 고도화하려는 접근은 다소 미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심사환경-심사투입-심사과정-심사결과 및 활용’의 메타평가의 틀에 따라 구체적인 기준과 항목들을 설정하고 현재 우리나라 무상원조사업 사전심사제도와 관련하여 심층인터뷰와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제도적 측면에서 무상원조사업 주관기관의 권한과 책임 강화, 심사지침 및 관련 규정의 구체화, 심사목표와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 및 국가협력전략과의 연계성 제고, 적절한 수준의 심사기간, 심사관련 전문인력 확보, 심사 수행절차, 심사결과의 환류 등과 관련한 부분에서 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제언에서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국제개발협력법의 조항 추가, 심사기능 강화를 위한 주관기관 및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기구변화, 민간전문가의 참여 등을 논의하였으며 이 밖에도 심사결과의 사업계획 및 예산에의 환류제고, 심사목적에 부합하는 심사기준 구성 등에 대한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complexity and fragmentation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governanc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ODA projects has been claimed to be improved through a reform of the Korean ODA governance and a systematic evaluation process and methods. Despite ongoing effort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mportance of appraisal process and method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ystem and approach to the appraisal process and methods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Specific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ppraisal process and methods for a grant-type project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Based upon the results, this research provides policy suggestions in the aspects of system/institutional reforms and appraisal criteria. First of all, the legal/institutional adjustment for clarifying the function and accountability is suggested so that government organizations can process a clearer direction and process. Second, enhancement of human resource and technical specialty is also suggested because of a lack of human resource has been pointed outs one of the critical factor for valid appraisal. Third, constructive feedback loop between appraisal and project evaluation is also claimed to be developed for a better appraisal system and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현실주의 문학의 재평가 (Ⅰ)

        이환 서울大學校 人文學硏究所 1989 人文論叢 Vol.22 No.-

        Le surrealisme qui se veut l`antithese radicale de la litterature du passe a pourtant sa racine dans le passe lointain et il est necessaire, avant de l`aborder et pour miex le situer, de jeter un coup d`oeil retrospectif sur son evolution, disons, sa prehistoire. Les surrealistes eux-memes en etaient conscients et s`appliquerent a decouvrir les traces des influences qu`ils ont subies, projetant ainsi de nouvelles lueurs sur des poetes consacres et ramenant aussi au plein jour des poetes oublies. Tristan Tzara, en remontant dans le temps,nous fait admirer les 《fatrasies》 du Moyen age ou se melent l`incoherence et la debauche d`images insolites. Il prete attention egalement au roman noir du ?? siecle qui oppose aux constructions logiques et savantes des rationalistes son amour des fantomes, des sorcelleries, des folies et des passions. Dans le romantisme du ?? siecle les surrealistes trouvent un echo plus intime: il ne s`agit pas que du gout de l`etrange et du bizarre, mais voici la reverie, la melancolie, la nostalgie des 《paradis perdus》 qui font irruption dans la litterature. Nerval sera leur poete favori, qui qualifiait ses etats de reveries de 《supernaturalistes》 et qui transposa la poesie dans la vie quotidienne. Avec Beaudelaire et ses successeurs sera ouvert le nouvel horizon et les surrealistes trouvent chez eux l`issue tragiquement indiquee. Parmi les poetes symbolistes, c`est Rimbaud qui les attire le plus, lui qui a dessine pour eux la courbe meme de l`art, en a figure le destin futur, soit, la creation artistique se transformant en une revolution authentique de l`homme et de la vie. Mais c`est Jarry et Lautreamont qui seront l`objet d`une admiration inconditionnelle pour les surrealistes, Jarry qui marque <l`irruption dans la vie de la valeur supreme de“ceux qui savent”: l`humour> et Lautreamont, la veritable decouverte des surrealistes, pour qui <la poesie semble avoir surmonte le stade de l`activite de l`esprit pour devenir veritablement une dictature de l`esprit>. Mais voici que fait apparition, dans les circonstances tragiques de la guerre et de l`apresguerre, le mouvement dada, d`abord a Zurich, ensuite a Paris. Les surrealistes futurs,dans le temps ou ils etaient attires par ce qu`on appelle “art moderne”, ignoraient dada, mais depuis la venue de Tristan Tzara a Paris en 1919 ils se sont pretes avec joie a ce mouvement negatif et destructif. Sur l`initiative de Tzara, ils ont procede a une entreprise sans precedent de destruction de toutes les valeurs traditionnelles. Mais peu a peu s`eveille au sein du groupe <Litterature> un doute a l`egard de l`activite dadaiste purement destructive. Eluard poursuivra, dans sa petite revue Proverbe, ses recherches sur le langage. Breton, de son cote, agit plus energiquement et plus methodiquement dans un autre sens que dada: il organise, par exemple, contre l`avis de Tzara, le proces Maurice Barres, concu, non comme une innocente farce a la maniere du spectacle dada, mais comme une critique moins anarchique et plus efficace. Proces de Barres etait en quelque sorte proces de dada qui s`ebauche. En 1922 Breton entreprend, eprouvant le besoin de mettre fin a l`agitation d`apres l`armistice, la convocation d`un <Congres international pour la determination des directives et la defense de l`esprit moderne>. Tzara refuse d`y participer et son abstention fait echouer la tentative de Breton, rendant ainsi la rupture definitive. Il est vrai que le surrealisme eut existe sans dada, mais il eut ete tout autre. Le dadaisme etait pour les futurs surrealistes une experience de “denouement”,de“degre zero”d`ou ils devaient entreprendre un nouveau depart. Ils refuseront de s`asseoir dans <cet etat de disponibilite parfaite> et continueront la demarche en avant, car ils savent maintenant que <la poesie doit mener quelque part>. Voici que se leve l`aube du surrealis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