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스마트 폴리싱 교육 훈련 시나리오 개발 연구

        이호정,정주은,전용재,이창배 한국스마트치안학회 2023 스마트치안연구 Vol.4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virtual reality-based smart policing education training scenario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tools to enhance the responsiveness of police officers in real-life situations. The crime of illegal filming is occurring persistently. A survey revealed that illegal filming happens most frequently in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uch as subway stations, stairs, and escalators during rush hours. It was also confirmed that 14% of the victims had their footage filmed and distributed on the Internet. Illegal filming is a serious offense as it carries a high risk of the victim's footage being disseminated without their knowledge. Therefore, immediate measures, such as confiscating and searching the equipment used for illegal filming at the scene, are crucial in cases of illegal filming in the subway. Thus, conducting education on this matter holds significant meaning. In this study,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e have created various scenarios depicting illegal filming incidents in the subway. By doing so, on-site police officers can receive training on appropriate countermeasures to prevent illegal filming in subway stations with high footfall and learn what actions to avoid. This scenario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education because it deals with a situation where the victim's footage may not be recognized as evidence due to the actions of the police officers present, from a legal perspective. 이 연구는 경찰의 현장대응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폴리싱 교육 훈련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평가도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불법촬영범죄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일이다. 불법 촬영이 퇴근시간대 지하철역 등 대중교통 시설, 계단과 에스컬레이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으며 피해촬영물 중 14%는 인터넷 등에 유포됐던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촬영물이 피해자 모르게 유포 될 가능성이 다분하기 때문에 더욱 불법촬영은 중대한 범죄이다. 따라서 지하철 불법촬영의 경우에 현장 도착 후 불법촬영에 사용된 기기를 압수 수색하는 등의 즉각 조치가 필수적이므로 이에 대해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여 지하철 불법촬영이라는 상황을 여러 갈래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현장경찰관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에서 발생한 불법촬영 발생을 막기 위해 어떠한 대응 방법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어떠한 행동은 하면 안되는지 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른 시나리오들과 달리 법적인 측면에서 현장 경찰의 행동에 의해 피해촬영물이 증거로 인정 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부정적 양육형태가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호정,이창배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4

        Juvenile suicide has been an issue in Korea for years while the empirical results are rare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suicidal ideation,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that links parental neglect and abuse to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we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suicidal ideation in this specific population. Additionally, we explored how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 and influence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abuse and suicidal id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and how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e and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ide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ata of the 'Survey on Out-of-School Youths in Gyeonggi-do, 2019' used in the 'Out-of-School Youth Size Estimation and Current Status Analysis in Gyeonggi-do' conducted by the Gyeonggi-do Family and Women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it was found that parental neglect and ab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Second, it was found that parental neglect and abu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Thirdly,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anxiety of adolescents who dropped out of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Lastly, it was found that parental neglect and abuse mediate depression and anxiety an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who drop out of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renting attitudes have a great psychological effect on adolescents who drop out of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was emphasized, ways to improve parental awareness and check and prevent parental neglect and abuse were suggested, and measures to lower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were proposed. 한국사회에서 청소년 자살은 심각한 사회문제도 대두되었지만, 자살생각에 중점을 두고 시행한 실증연구는 다소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형태가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자살경험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자살생각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관련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형태와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우울 및 불안이 어떻게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실시한 ‘경기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설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이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우울 및 불안을 매개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부모인식개선과 부모의 방임 및 학대 여부를 점검 및 예방하는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고 청소년의 자살생각 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이호정,최한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문헌의 현황 및 특성을 확인하고, 문헌의 질 평가로 선정 문헌의 근거와 근거의 질을 파악하며, 양적 합성으로 전체적인 연구효과를 알아보는 체계적 문헌고찰이다. 이에 PRISMA의 절차에 따라 연구를 설계, 문헌 선별과정을 거쳐 2008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문헌 총 10편을 선정하였다. RoBANS로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고, 각 연구의 효과를 양적 합성하여 그 결과를 숲 그림(Forest Plot)으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선정된 문헌은 유사실험연구설계의 집단미술치료 연구로, 미술치료 중재는 주 1-2회, 회기당 90분, 총회기 10-15회 구성이 가장 빈번하였고, 미술치료의 효과는 다양한 심리․정서적 측정도구로 확인하였다. 둘째, 문헌의 질 평가 결과, ‘교란변수’는 높은 비뚤림이, ‘대상군 선정’과 ‘노출측정’, ‘평가자의 눈가림’은 ‘알 수 없음’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양적 합성을 통해 연구 간의 이질성을 확인하여, 효과 유형별 하위군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자아탐색(Z= 3.85, p <.001)과 스트레스(Z= 4.17, p <.001)에서 연구 간 효과의 일관성이 관찰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패션 유튜브 콘텐츠 사용자 경험 평가에 관한 연구

        이호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2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y deriving and categorizing the concepts related to the user experience of fashion YouTube contents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August 30 to September 17, 2021 for 1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ausal condition is the purpose of content use, and the action/interaction caused by such a cause was found to be viewing of customized content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The result was content evaluation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It was defined as ‘consumption patterns that depend on the purpose and experience of use affect the content experience, and the feeling of psychological distance is expressed in user evaluation through customized content viewing without time and space constraints’. Us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active users and passive users. Active users are users who select and use fashion YouTube content with a clear purpose. They have a clear personal preference for content and have a very high concentration on content. On the other hand, passive users are users who spontaneously select and use content, and their personal preference for content is not clear and concentration on content i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data for presenting a differentiation plan that meets the needs according to user types by understanding the user experience of fashion YouTube contents with a grounded theory methodology.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 방법론을 통해 패션 유튜브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된 개념을 도출하고 범주화하여 관계를 규명하였다. 심층면접은 남녀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2021년 8월 30일부터 9월 17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콘텐츠 이용 목적이며, 이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 작용/상호작용은 시공간 제약 없는 맞춤형 콘텐츠 시청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만족 또는 불만족의 콘텐츠 평가로 나타났다. 콘텐츠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경험에 의존하는 소비 형태, 콘텐츠 경험을 제약하는 중재적 조건은 심리적 거리감이었다. 이를 토대로‘이용 목적과 경험에 의존하는 소비 형태는 콘텐츠 경험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거리감은 시공간 제약 없는 맞춤형 콘텐츠 시청을 통해 사용자 평가로 나타남’이라는 핵심범주를 규정하였으며, 사용자 유형을 능동적 사용자와 수동적 사용자로 분류할 수 있었다. 능동적 사용자는 명확한 목적성을 가지고 패션 유튜브 콘텐츠를 선택·이용하는 사용자로 콘텐츠에 대한 개인 선호가 뚜렷하며, 콘텐츠에 대한 집중도가 매우 높다. 반면, 수동적 사용자는 즉흥적으로 콘텐츠를 선택·이용하는 사용자로 콘텐츠에 대한 개인 선호가 뚜렷하지 않으며, 콘텐트에 대한 집중도가 낮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패션 유튜브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을 근거이론방법론으로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유형에 따라 니즈에 부합하는 차별화 방안 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