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이혜령,최재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학교수학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영재의 특성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D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의 초등수학영재 126명과 일반학생 12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의사소통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한 지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집단별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도 두 집단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초등수학영재가 보다 높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학 영재 프로그램의 개발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간의 상호관련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e subjects include 126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from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gifted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and 124 non-gifted students that were non categorized as gifted students or special children in the same city. Employed in the study were the tes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hus, those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organizing and running a curriculum. In addition, developing a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s well as in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fficient to consider the interrelat

      • KCI등재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터널 내 조명시설 설치조합별 경관 선호도 분석

        이혜령,금기정,정현정 한국도로학회 2012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4 No.6

        PURPOSES : This study is to suggest suitable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plans by finding out driver’s preference for combination of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among landscape factors that affect driver visibility in tunnels. METHODS : SD method is used to extract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drivers’ preference, Component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are evaluated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it suggested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and utility values. RESULTS : In the aspects of satisfaction levels of component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Tunnel side, two lows, and solid line arrangement type has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Extract 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drivers’ preference are “safety”, “openness” and” amenity.” In addition,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of tunnel lighting facility shows that numbers of lighting array has the highest importance and lighting facility arrangement has the lowest importance. Result of analyzing partial utility shows that the 2 low type among number of lows, the solid line arrangement type between arrangement types, placing in the middle part among lighting facility arrangement were highly preferred. CONCLUSIONS : In the case of lighting numbers, utility valu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showed us a big difference. Increasing the number arrays in the future reformation of l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combination will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utility of the driver

      • KCI등재

        『무정』의 그 많은 기생들 : 이광수의 민족 공동체 또는 식민지적 평등주의

        이혜령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growing of prostitution and formation of popular nationalism in the colonial Korea, through rereading Yi Gwang-su'snovel The heartless[Mujung] in which many kiseangs as well as Young-chae as a heroine are appeared and are referenced. Creation of Young-chae is based on the social and cucultural context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kiseangs under the colonial modernization, esespecially by the implement of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and the increase of the sex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colonized women. Persona of Young-chae was created in these situations, who became a kiseang in Pyongyang by trafficking at the age of twelve and came up to Seoul at 19 in 1916 when Jongno night market started to open and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was implemented nationally. In that times, kisseangs were mobilized by the government in colonialist events like Chosun Local Products Expo and installation ritual of crown prince Hirohito, presenting grand spectacles. On the other hands, they were blamed in Meailsinbo ,a colonial government organ of the only Hangul newspapers in the 1910s, as the group tempting young men into red-light district and corrupting them. In shorts, kisseangs were representative of idle and decadent Chosun nation. It is argued that Yi tried to transform these colonialist discourses on kisseangs as national narrative based on egalitarianism in this work, through presenting Chosun society as kisseangs’ continuum by most people having the relations with kisseang. For example, Hyung-sik's grandfather had a concubine who had been a kisseang, and Byunguk's fiance was a young man who hung out at kisseang house. Yi expressed the involvedness in kiseang for a whole generation of Korean, from yangban to bourgeois, as an evidence of equality among members in the imagined community of nation. This had a effect of nullifying moral hegemony of whole ruling groups of past and present, with presenting kisseangs as victims of male groups and portraying her potentiality of new national subject. 이 글의 목적은 여주인공 영채 이외에도 많은 기생이 등장하고 언급되는 이광수의『무정』을 재독해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에서 매춘의 증가와 대중 민족주의의 형성 관계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웃과 친지의 딸이 매춘부가 되어 나타나는 생활세계에서의 경험은『무정』과 같은 작품이 나올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이었다. 특히 『무정』의 서울 다방골의 평양 기생 영채는 갑오개혁에서부터 식민화 과정에서의 기생의 식민지 근대적 전환 속에서 태어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신분제와 거주제한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기생들은 공창제 등 새로운 성매매의 증가와 도시 유흥문화의 성장 속에서 성 상품화의 회로에 가시적으로 노출된다. 기생하면 곧 창기로 간주되는 데 대한 영채의 불안과 콤플렉스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나타난 것이다. 강조해 둘 것은 이 소설이 제시한 순결 이데올로기는 전근대적인 것이 아니라, 자유연애와 함께 성매매가 가능성으로 주어져 있는 상황에서 탄생한 근대적 내면의 문제라는 것이다. 다른 한편, 이 글은 무엇보다 『무정』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인물들이 기생과 관계가 있거나 혼외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에 주목했다. 조선 사회를 기생 연속체로 제시했는데, 사회적으로 도덕적으로 천대받는 존재인 기생을 사회적 관계의 매개로 설정한 데서 이광수의 민족 공동체 기획은 그 성격을 드러낸다. 서구의 근대국가, 내셔널리즘은 천부인권을 지닌, 고귀한 보편적 인간을 ‘권리’의 강령으로 포함하고 있었다면, 식민지 지식인 이광수는 인권과 같은 보편적 고귀함이나 ‘권리’의 강령이 아니라 비천함에 근거하여 민족 내부의 평등성을 주장해야 했다. 그것은 물론 식민지적 평등주의일 수밖에 없었다. 기생은 일찍이 식민주의자들에 의해 조선 민족을 대표하는 표상으로 성립했기 때문이다. 식민주의는 지배를 위하여 피식민 집단 내부의 차이를 막론한 특성, 곧 공통성을 창출해야 했을 때, 조선의 풍속 속에서 유래한 존재이자 식민화와 근대화의 교차점에 있었던 기생은 유력한 물질적 상징적 자원이었다. 이는 『무정』이 연재된 신문인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매일신보』의 기생 관련 기획과 기사의 양상 속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러나 민족 전체가 비천한 존재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설정은 구 지배집단인 양반, 김장로와 같은 금권을 지닌 새로운 계급집단의 도덕적 헤게모니를 무효화하는 근거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평등주의적이었다. 나아가 기생을 그들 집단의 희생자로, 또 나아가 변화 가능한 민족 주체로 제시하여 식민주의 담론을 변형시킴으로써, 민족 서사를 창출했다. 그러나 식민지 매춘은 새로운 남성 엘리트에게 도덕적 권위를 선사하는 이러한 민족 서사를 유지하기 힘들 만큼 심각한 사회적 실존이었다.

      • 루소의 여성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혜령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09 통합인문학연구 Vol.1 No.1

        루소는 바람직한 공동체에 여성의 기여가 필수적임을 강조하면서 여성의 역할에 새롭게 주목한다. 그는 남성과 여성이 자연에 따라 상이하면서 도 서로간에 보충해 주는 기질과 자질을 타고났다는 성 상보성의 개념을 제시한다. 그러나 여성이 가정에 머물면서 이상적인 민주공화국을 위한 남성 시민들을 양성하고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하여 가부장주의와 남성중심주의를 강화시켰다. 결과적으로 여성의 자연적 자질로 간주되었던 미덕인 정숙함은 가부장의 판단 및 세상 평판에 종속되고, 구체적이고 감각적 이며 정서적인 속성을 지닌 여성의 취향은 남성의 일반화 능력과 합리적인 성향에 비해 열등하고 비합리적 인 것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남성과 여성의 자연적 차이에 대한 루소의 근거는 다소 자의적이며, 그의 이상적인 가정 모델도 결국 좌초된다. 루소는 여성의 사회적 중요성을 포착했다는 점에서 여권주의적 사유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 사상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른바 여성성은 남성의 관점과 편의에 따라 다소 일방적으로 규정된 것으로 비판적인 검토를 필요로 하며, 여권주의 및 정당한 공동체의 새로운 전망을 위하여 다시 해석되고 평가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J.-J. Rousseau est original en ce qu’il remarque la nécéssité de la contribution féminine pour la société civile. Il présente le concept de la complémentarité entre deux sexes que les femmes et les hommes sont nés par la nature tout à fait différents mais mutuellement complémentaires. D’après Rousseau, le goût féminin et la modestie sont les qualités propres des femmes: la modestie des femmes depend du jugement de l’homme et de l’opinion publique, et le goût des femmes, malgré sa délicatesse et sa sensibilité, est irrational et inferieur, comparé aux qualités masculines. Rousseau donne les idées du régime patirarcal et de la domination masculine par l’argument que les femmes, demeurant dans la famille, doivent former et soutenir, par leur goût et par leur modestie, les citoyens de la république démocratique, c’est à dire les hommes. Les fondements fournis par Rousseau pour les différences naturelles entre les hommes et les femmes sont plus ou moins arbitraires et ses types idéals de famille sont finallement frustrés même dans ses écrits. Cela demande la réflexion critique sur son concept de la féminité. Simultanément il est aussi nécéssaire de réinterpréter et réévaluer ce concept pour les prospectives productives de la féminisme et de la communauté idéale.

      • KCI등재

        EphrinA5-EphA7 Complex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TNFR1

        이혜령,박수철,박은정,김유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3 Molecules and cells Vol.35 No.5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the EphA7 receptor regu-lates apoptotic cell death during early brain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provide evidence that the EphA7 receptor interacts with death receptor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1 (TNFR1) to decrease cell viability. We showed that ephrinA5 stimulates EphA7 to activate the TNFR1-mediated apoptotic signaling pathway. In addition, a pull-down assay using biotinylated ephrinA5-Fc revealed that ephrinA5-EphA7 complexes recruit TNFR1 to form a multi-protein complex. Immunocytochemical staining ana-lysis showed that EphA7 was co-localized with TNFR1 on the cell surface when cells were incubated with ephrinA5 at low temperatures. Finally, both the internalization motif and death domain of TNFR1 was important for inter-acting with an intracytoplasmic region of EphA7; this interaction was essential for inducing the apoptotic signaling cascade. This result suggests that a distinct multi-protein complex comprising ephrinA5, EphA7, and TNFR1 may constitute a platform for inducing caspase-dependent apoptotic cell death.

      • KCI등재

        사상지리 (ideological geography)의 형성으로서의 냉전과 검열-해방기 염상섭의 이동과 문학을 중심으로

        이혜령 상허학회 2012 상허학보 Vol.34 No.-

        In this paper, a notion of the ideological geography means a geopolitical border becoming the insititutional and psychological disciplinary system of expression, and also arranging and disciplining the imagination of being and place, or being in place and restricting the freedom of movement. As the 38th parallel in Han peninsula partitioned by the occupying powers of U.S and the Soviet Union, became a real and polictical borde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ccording to the acualizing geopolitics in cold-war in form of two state in Korea, "crossing to the North"(wolbuk) and "crossing to the South" were regarded as strong expression of choicing one polictical regime. In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not only persons or groups of crossing to the other but also the concerned, especially in case of interllectuals, became the object of political persecution and violent censorship. Moreover, the 38th parallel worked at reconstucting or rearranging the memories of colonial period. Having lived in north the 38th parallel, for example Manchuria at that time the August, 15 Liberation Day, but he/she has belonged to the South now, he/she must write statements or works of confessing to what he/she did do, see, experience, and think there. Because he/she was a person who had lived north the 38th parallel, red terrioty. Having lived in Manchuria at the 8.15 Liberation Day, Yeom Sang-sub's works after crossing to the South dealt with on the state of north the 38th parallel, as if demonstrationing inevitability of crossing to the South. However, Yeom was one of only a few writers who criticized tradegy of fratricidal struggle common in the North and the South caused by the Parallel, through dealing with the political passion or wandering of youth crossing to the North. 이 글에서 제안된 사상지리(the ideological geography)란 개념은 지정학적 경계가 표현의 제도적 심리적 규율체계이자 존재-장소에 대한 상상(imaginationa)과 이동성(mobility)을 배치, 규율하는 권력-지식의 작용과 효과를 의미한다. 이 개념을 통해, 1945년 8월 15일 이후, 3.8선을 넘는 행위가 미소에 의한 냉전의 현실화와 함께 정치적 표현이자 거지에 대한 선택으로 간주되었던 상황이 사상통제와 검열의 일반문법을 형성했음을 살펴보았다. 월북과 월남은 남과 북 모두에 있어서 정치활동과 사상표현의 활동에 대한 폭력적 억압에 잇따른 행위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사상지리는 사상지리는 8.15 이전의 행적조차 존재하지도 않았던 분단 체제에 입각해 심문하는 사상통제의 시스템의 주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8.15 해방 전 만주 안동에 있었던 염상섭의 해방기 문학활동은 바로 ‘월남’이란 이동에 기입되어야 할 사상지리의 재현체계를 끊임없이 의식하는 것에 이루어졌다. 1945년 11월 신의주사건 이후 월남하여 서울에 정착하여 단정 수립 전후에 쓰인 염상섭의 일련의 소설은 월남을 정당화하기 위해 소군정 하의 북한의 실정을 그려야 하는 역설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염상섭은 사건과 지명 등을 특정하지 않고 월남에 월북을 대응시킴으로써, 38선이 적대적 국경으로 실제화되는 과정에 기인한 동족살해의 사태를 그려낼 수 있었으며 38선의 실정화를 거부하고자 하였다. 한국전쟁은 월북(남)이 적에 대한 공격인지 귀순인지가 불분명해진, 즉 적대가 정점에 이르러 발생한 사건으로, 남북의 전쟁주체들은 모두 귀순을 적군 및 점령지의 주요지배정책으로 삼았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전면화된 체제 선택으로서의 귀순이란 전향의 심급을 사상의 변경만이 아니라 존재-장소의 확정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사상-인신-영토의 삼위일체를 요구하는 사상지리의 메커니즘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신여성과 일본군 위안부라는 문지방들 - 목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이혜령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1990년대와 현재의 시간성을 교직하며 1990년대 이후 이루어진 식민지 섹슈얼리티에 대한 연구를 되돌아보는 데 있다. 1990년대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와 같은 TV드라마를 통해 유포되고 있는데, 그 드라마는 자본주의적 사회 환경을 개인의 성장과 조화로운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간의식을 목가적 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 개인의 성장은 대학입학을 위한 서울로의 상경, 낭만적 연애, 직업을 얻는 것, 첫사랑과의 연애를 통해 그려진다.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유예한 삼포세대에 관한 담론, 일베 저장소와 같은 웹사이트에서의 여성혐오 담론을 고려한다면, 이와 같은 문화적 텍스트는 목가적 자본주의의 불가능성, 즉 그 폐허의 산물이다. 신여성 연구와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시기는 여성주의가 대학의 교과과정으로, 또 문화적 텍스트로 발전되었던 때이기도 하다. 특히 신여성 연구는 사회주의권의 해체와 함께 80년대 급부상한 마르크스주의적 변혁패러다임이 폐기되면서 ‘근대성’ 연구의 붐에 있어 선편적인 역할을 했으며, 무엇보다 당대 민족주의의 억압성을 비판하는 담론에 조응하는 효과를 낳았다.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매춘’과 ‘성폭력’을 이슈로 제기된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서 제기되긴 했지만, 식민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신여성과는 다른 위상을 지니게 된다. 민족주의는 정대협에 의해 주도된 위안부 운동의 성격을 비판하는 용어가 되었는데, 이 글에서는 이러한 민족주의 비판이 위안부 피해자의 고백이나 증언이 애초부터 ‘상상의 공동체’를 향해 이루어졌음을 환기할 때 과도한 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신여성이 당대에서부터 다설(多說)의 대상이 된 반면, 위안부는 오랫동안 침묵의 대상이 되어왔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지연에 개입된 문제는 민족주의만이 아니라 식민주의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지배는 종족적으로 이원화된 식민지 사회의 친밀성을 인종화된 언설과 정치를 통해 재구축하는 과정을 수반하였다. 이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는 이를 광범위하게 논증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This paper's purpose is to retrospect studies on colonial sexuality after the 1990s, being concerned with temporality of the 1990s and the present. Nostalgia for the 1990s has been spread by TV drama <Answer! 1997>, <Answer! 1994> in which described that times when capitalist social environment was reconciliated with individual growth which was expressed through heroine and hero in the drama coming up to Seoul to enter university , romantic love, getting a job and marriage with first beloved. In this paper, I called the time consciousness of the 1990s as the pastoral capitalism, which proved impossible,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Sampo generation[삼포세대] who gives up romantic relationship, marriage and childbirth owing to economical condition. The misogynic discourse of Ilbe Storage[일베저장소], website of having anti-leftist, anti-feminist and right-wing tendency, reveals homo social and nationalistic feature. Studies on new women and comfort women in colonial period of Korea have begun in the 1990s. The rise of feminism was developed into curriculums of universities and popular cultures, which was prompted by democratization and liberalism of Korea around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 In that same times, deconstruction of communist nations in the Western World forced the social landscape of post capitalism to be articulate in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texts with erasing pursuits for historical cause based marxism. The boom of studies on modernity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reached its peak in studies on new woman, in which new woman was described in heroine of modernity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and enjoyment of commercial culture of colonial capital Keijo [京城]. Many of scholars criticized on the negative discourse of new woman in the colonial period in reason of their behaviors not to meet nationalist cause. Of course, most of scholars were female intellectuals educated and teaching at universities. New woman became a 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of modernity and trans-nationality from the 1920s to the early 21th. On the other hands, comfort women became a nationalist representation, although a lot of feminists criticized that comfort woman movement lead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ave made the representation as pure girls in sexual. However, it needs to accent the fact that repetitive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tended to "imagined community" and that various contents of which didn't satisfy with nationalist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could also be told by listening to request to tell the painful experiences as comfort women. The fact it needed a long temporal gap for them to able to tell the experiences suggests to ne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lonialism and sexuality. Study on colonial sexuality need to reconstruct intimacy in the colonial society into the ra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 KCI등재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 연구

        이혜령 호서고고학회 2023 호서고고학 Vol.- No.55

        본 논문은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선사시대와 초기 역사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골촉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제까지 단순하게 철촉의 대체품으로 여겨졌던 골촉의 기능을 재검토하고 골촉의 사용 배경과 성행 이유, 소멸의 배경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반도의 골촉과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을 비교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에서 출토된 골촉의 형태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명목적 속성과 계측적 속성을 분석하였다. 한반도의 골촉은 경부의 유무와 단의 유무에 따라 형태가 분류된다. 다음으로 촉신 단면 형태와 제작 소재의 연관성을 검토하고 촉신 단면이 시간성을 반영하는지 살펴보았다. 촉신 너비는 대다수가 1.1cm 이하로 계측되었으며 동시기에 사용된 석촉, 철촉보다 너비가 좁다. 이러한 형태 차이는 기능적 차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은 경부의 유무와 경부 말단 형태를 기준으로 형태를 분류하였다. 가장 많이 확인되는 편평경골촉은 대나무 살대를 사용하기 어려운 중국 동북지방의 환경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촉신 너비는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1.1cm 이하로 계측되며 석촉, 철촉보다 너비가 좁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골촉은 너비가 넓은 석촉이나 철촉에 비해 사냥감의 폐부를 노려 치명타를 가하는 용도에 적합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단면삼각형골촉의 비중이 늘어나며 골촉의 총 길이가 길어지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는 관통력 증가를 위한 의도가 담겨있다고 보인다. 석촉 이후 골촉사용의 성행은 금속제 공구의 보급과 연관성이 있다. 골촉은 금속제 살촉의 대체재로서 등장한 것이 아니라 이전에 사용되었던 석촉보다효율성이 높기 때문에 주요 살촉의 위치를 차지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반도와 중국 동북지방의 골촉을 비교하여 환경적요인이 골촉의 형태에 차이를 가져다주었고 문화적 요인은 골촉의성행 시기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이론을 적용한 당뇨병 환자 대상 국내 연구의 동향: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혜령,이지연,심선영 한국보건간호학회 2023 韓國保健看護學會誌 Vol.37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that applied theory to diabetes patient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nursing practice and research for diabetes patients. Methods: This scoping review followed the Joanna Briggs Institute guidance. The population was diabetes patients; the concept was a research that applied theory and had no limitations in context. Eligible studies were retrieved from electronic databases of RISS, KMbase, KoreaMed, NDSL, NAL, and nine major domestic nursing journals. Of the 509 retrieved articles, 20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Results: The study included the community (57.1%), and the subjects were mainly type 2 diabetes patients (42.9%).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 skills (IMB) model was the most applied theory (36.4%). The theories were primarily from psychology disciplines (72.7%) and predominantly applied as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55%). Conclusion: The studies that applied theory were conducted mainly in the community. The IMB model was the most applied theory, and the theory was most applied as the conceptual framework. Efforts to close the theory-practice gap and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ory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are need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 and study for diabetic patients.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