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과 드라마를 통해 본 학교질서의 변화와 학생참여양상 연구

        이형빈(Lee Hyoungb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1950년대 후반의 학교모습을 다루고 있는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1980년대 후반의 학교모습을 다루고 있는 최시한의 소설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 그리고 2010년대의 학교 모습을 다루고 있는 드라마 「학교 2013」에 나타난 학교질서의 변화와 학생참여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틀로는 학교를 사회의 권력과 통제가 재맥락화되는 장으로 본 Bernstein의 ‘분류화(classification)’와 ‘구조화(framing)’의 개념, 학생참여의 유형을 활용하였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모두 아름 다운 아이들」에서는 ‘도구적 질서(학업질서)’와 ‘표현적 질서(생활질서)’에서 모두 ‘닫힌 학교’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모두 아름다운 아이들」에서는 새로운 학교질서를 형성하고자 하는 인물이 등장하지만 그것이 개인의 고립적 실천에 머물러 있는 시대적 한계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학교 2013」에서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관계성의 변화와 임파워먼트 형성을 통해 ‘닫힌 학교’가 일정 부분 ‘열린 학교’로 변화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nge of school’s order and the students’ engagement shown in the late 1950's novel “Our Twisted Hero,” in the late 1980's novel “All Beautiful Children,” and in the 2010's drama “School 2013,” all of which covers contemporary school issues. The main framework of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B. Bernstein’s theory on the conception of “classification” and “framing”, and the typology of student participation, whose point of view was to regard the school as a recontextualized field of social power and control. In the "Our Twisted Hero" and “All Beautiful Children”, it was noticed that the type of “closed school” in both “instrumental order (study order)” and “expressive order (living order)” can be seen. In the “All Beautiful Children”,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character who tried to form a new school order, the study assumed the restriction of the times, considering that this attempt remained just an isolated action of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n the “School 2013”, by developing empowerment and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potential possibility to shift from “closed school” to “partly open school” was observable.

      • KCI등재후보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 운영 방안

        이형빈(Lee Hyoungbi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0 기전문화연구 Vol.41 No.2

        급격한 학생수 감소에 따라 소규모학교가 증가하고 있다. 그 동안 정부에서는 이른바 ‘학교규모 적정화’ 논리에 따라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을 진행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학생수 감소를 ‘위기’라기보다는 ‘공교육을새로운 관점에서 재구조화할 수 있는 기회’로 보고, 소규모학교 교육과정의강점을 공교육의 보편적 원리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일부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에서는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유출이라는위기 상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궁극적 목적은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은 농어촌지역 소규모학교 뿐만 아니라 모든 학교에보편화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비전을 공유하고, 초중등 연합 교원학습공동체를 운영해야 한다. 또한 초중등 연계 교육과정의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Small schools are increasing due to a rapid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the government has been integrating small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so-called “school-size adequacy” logic. However, this study looked at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as an “opportunity to restructure public education from a new perspective” rather than a “crisi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trengths of the small school curriculum as a universal principle of public education. Some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are responding to the crisis of student outflow through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curriculum is to continuously support the holistic growth of students. Therefore,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needs to be universalized not only in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but also in all schools. To do this, we should share the vision of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and operate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uni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various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xpand the elementary-secondary articulated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담임연임제 정책의 쟁점 및 개선방안: 강원도교육청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호준(Lee Ho-Jun),이형빈(Lee, Hyoungbin),김현주(Kim, Hyunjoo),장민희(Jang, Minhui),원유림(Won, Yourim),김형욱(Kim, Hyung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5

        본 연구는 강원도 내 담임연임제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살펴보고, 교사와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담임연임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담임 연임제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강원도 내 전체 초등학교 중 23.6%에 해당하는 82개교가 담임연임제를 운영하였다. 아울러 응답 교사의 16.1%와 학부모의 48.9%는 담임연임제를 희망하였으며, ‘학생 간 깊은 교우관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유대감 형성’ 등을 주된 찬성 이유로 제시하였다. 비희망 교사들은 ‘학생들의 새로운 출발 기회 제공이 어려움’과 ‘교사와 학생 간의 권태로운 관계’ 등을 이유로 담임연임제를 반대하였다. 담임연임제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가장 주된 요인은 ’홍보 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책임교육을 실현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1~2학년의 한글교육과 담임연임제를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년군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학년군교육과정과 담임연임제를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에 기반을 둔 학급교육과정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담임연임제의 필요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와 학부모 간 협력 관계를 강화하여 구성원들의 담임연임제에 대한 인식을 환기하는 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multi-year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surveys teachers’ and parents’ stance on multi-year teaching, and raises issues and tasks related to this policy. Multi-year teaching, which means the practice of a teacher remaining with the same group of students for more than one year, has been spotlighted among policy makers. Our results, first, indicate that 82 elementary schools (23.6% of all schools) in GOE have been implementing multi-year teaching in their school. Second,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16% of all teachers and 48.9% of all parents expressed a desire for the multi-year teaching because of mostly ‘deep friendship among students'. But the main reason why some teachers oppose this policy was ’the difficulty of providing students with a new starting opportunity’. Third, the main reason for hindering the activation of multi-year teaching was 'lack of public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policy makers and teachers to consider multi-year teaching as the way of strengthening their responsibilities on edu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link multi-year teaching with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class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curriculums.

      • KCI등재

        중학교 교육과정 통합운영에서의 난점과 해결과정에 대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김성수 ( Kim Sungsu ),이형빈 ( Lee Hyoungbi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교육과정 통합운영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이라는 교육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초등학교와는 달리 중등학교의 경우 교육과정 통합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교과 중심의 분절적 교육과정이 중등학교의 오랜 관행으로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 통합운영에서의 난점과 해결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내부 연구자와 외부 연구자의 협력적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중학교 교사들은 대체로 교육과정 통합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 간 협력이 부재한 학교문화, 교육과정 운영을 일회성 행사로 인식하는 경향, 진도 나가기 식 수업의 관행, 학생 서열화 중심의 평가관 등으로 인해 1차 실행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성찰한 후 2차 시행에서는 교과 간 협의의 강화, 다양한 주제 중심의 상시적 운영, 학생 중심의 수업 방식 도입, 수행평가 활성화 등 평가방식의 변화 등을 통해 보다 성공적으로 교육과정 통합운영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중학교에서 교육과정 통합운영이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학교구성원들의 인식의 변화,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형성, 교육과정 통합의 일상적 운영, 수업 및 평가 방식의 변화 등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curriculum integration is necessary for students` whole growth. Unli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middle school teachers are unfamiliar with a curriculum integration. It is because middle school teachers are familiar with the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is study performs the action research with outer researcher and inner researcher on the difficulty and solution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middle school. The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But there were many difficulty in the first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because of non-cooperative culture, curriculum integration as one-time event, textbook-centered teaching, measurement for laking students. After reflection in action, the second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It is because of the cooperation between subjects, the ordinary implementation of various theme-centered curriculum, th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he activ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eacher`s recognition, make th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mplement the curriculum integration steadily, innovate the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 the succes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im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