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SO2 Exposure and Plant Physiology: A Mini Review

        이현경,우수영,Inkyin Khaine,곽명자,장지휘,이태윤,이종규,김이레,김원일,오경석 한국원예학회 2017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8 No.6

        Air pollutants are emitted from various sources into the atmosphere. During winter, greenhouses are heatedby the burning of fuel in heating systems, which creates sulfur dioxide (SO2) that can be detrimental to plant growthand human health. However, there is a poor understanding of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SO2 on crops in agreenhouse environment. Therefore, this review aimed to summarize the impacts of greenhouse heating system-derivedSO2 on the physiological,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plants. In general, plant SO2 exposure has anegative effect on these processes. An initial decline in physiological activities appears several days following SO2exposur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activities are also negatively affected by extensive SO2 exposure. However,since sulfur is an essential nutrient for plant growth, low-level SO2 exposure has a positive impact on plants. AtmosphericSO2 is taken up by the plant via the stomata, after which it is assimilated and used to synthesize sulfur-containingamino acids, such as methionine and cysteine. Sulfur-containing compounds are crucial for plant growth, and various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cesses. It was concluded that SO2 is a significant greenhouse pollutant, especiallyfor crops.

      • 한국보건사회학회,산업안전보건연구원 공동 춘계학술대회 : 근로자의 근무특성과 우울과의 관련성

        이현경,손민성,최만규 대한보건협회 2013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Vol.2013 No.-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의 자살, 우울증 등 정신건강관련 문제의 심각성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신건강분야의 체계적인 국가단위사업은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직장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증진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체계적,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학술적 근거가 되는 자료를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우리나라 사업장근로자들의 우울유무와 관련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2.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자료의 특징은 전국단위조사의 결과로서 국가통계로 지정되어 자료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19세 이상 근로자이며, 이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특성, 근무특성별로 우울경험유무 차이를 분석하고, OR을 산출하였다. 차이분석을 위해 Chi-Square test를 하였고, 우울경험유무와 관련 있는 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였다. 3. 주요 연구결과 첫째, 근로자들의 일반적 특징에 있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직업, 민간의료보험가입여부 등의 변수와 우울경험유무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둘째, 건강행태는 주관적건강상태, 스트레스인지여부, 평생흡연여부와 우울경험유무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셋째, 근무특성에 있어서는 작업환경요인 등에 있어 우울경험유무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근로자의 우울경험유무에 관련이 있는 변수는 성별(OR=5.6), 스트레스인지여부(OR=2.7), 연령(OR=1.6), 결혼여부(OR=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p<.05). 4. 고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사회의 정신건강문제에 대처하면서 직장인 정신건강증진사업에 대한 국가적 관심 및 체계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신앙계승에 있어서의 ‘타자’의 역할-한국천리교 3세 신자를 사례로-

        이현경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이 글은 한국에 수용되어 있는 일본계 신종교의 하나인 천리교를 신앙하는 3세 신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3세 신자란 자신들의 의지로 입신한 1세 신자와 달리,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천리교를 집안종교로서 계승한 자들을 가리킨다. 현재, 1세 신자들이 입신한 동기와 입신 이후의 신앙생활에 관한 연구는 다수 축적되어 있지만, 2세 또는 3세 신자가 한국이라고 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일본의 종교를 어떤 방식으로 유지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성과는 거의 없다. 이 글은 한국에서 일본 종교를 ‘왜색종교’ 또는 ‘사이비종교’로 보는 비판·비난적인 인식이 강한 가운데, 3세 신자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극복하여 신앙을 계속해 왔는지에 대해서 ‘타자’와의 관계 및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ird-generation believers of Tenrikyo, one of the Nikkei (of Japanese descent) new religions that is accepted in South Korea. The third-generation believers under discussion here refer to people who inherit Tenrikyo as their ‘house’ religion regardless of their willingness, unlike first-generation believers who entered the religion voluntarily. Currently, there exists a large body of research that addresses the first-generation believers’ motive for entering the religion and their religious lifestyle after that. However, inquiries on the practice of Nikkei new religion among the second- and third-generation believers in the Korean societal and cultural context are found lacking within the fiel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and observe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Nikkei believers and the ‘Others’ by looking at how third-generation believers accepted Nikkei new religion, and whether they could overcome and continue their faith in South Korea, where Nikkei new religion is strongly criticized as a ‘pseudo-religion’ or ‘Wesek (Japanese-styled, with negative connotations) religion.

      • KCI등재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현경,김진숙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utilized meta-analytic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group programs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5 studies published over the last 30 years were selecte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0.966,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for random effects model.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group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 2nd grader group had the largest effect size but the groups divided by sex did not differ in effectiveness. As to the parameters of group operation, 7∼9 operating sessions, 2 times per week, 5 weeks or less operating period, 6~9 group members, and less than 60∼90 minutes per session ha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in the cases of conducting the programs during vacation, conducting the demand survey before the program, and writing the reflection journal, the effect size was the largest.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gram application subject, using counseling theories integrated with career-related contents was the most effective. Regarding dependent variables, school-related factor was the most effective. Based on these outcomes, implic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최근 30년간 출판된 국내의 연구논문 총 65편을 메타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66으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학년은 2학년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성별은 구분이 유의하지 않았다. 집단운영방식에 따른 분석 결과, 총 회기 수는 7∼9회기, 주당 회기 수는 2회, 실시기간은 5주 이하, 집단크기는 6∼9명, 회기당 소요시간은 60∼90분 미만일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학에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 프로그램 실시 전 요구조사를 한 경우, 매회기에 경험보고서를 작성한 경우에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활용 주제에 따른 분석에서는 진로요인에 상담이론을 추가하여 활용한 경우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프로그램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학교관련 변인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대상 진로집단프로그램 개발과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