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헌영,박태철,김수평,이종건,최동수,나종구,윤희종,나욱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2
1. 임신중 부속기종양은 25∼29세에서 가장 흔하였으며(49.5%), 다산보다 초산부(65.7^)에서 흔히 발견되었다. 2. 임신중 난소종양의 진단은 임신 제 2기(11.4%), 제 3기(3.8%)에서보다 임신 제 1기(82.85%)에서 가장 많이 내려졌다. 3. 임신중 난소종양은 편측성이 92.38%, 양측성이 6.66%였으며, 양측성으로 진단내려진 7예중 4예가 기형종이었다. 4. 임신중 부속기종양의 가장 흔흔 합병증은 105예중 56예(53.3%)에서 발생한 복부동통이었으며, 이중에서 54예가 임신 제 1기에 발생한 것이었다. 22예만이 증상이 없는 경우였다. 5. 전체 105예중 81예는 수술요법을 시행하였고, 24예는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였다. 수술로 제거된 81예중 58예에서 종양의 크기가 6cm이상이었고, 23예에서는 6cm이하였다. 6cm이상의 종양중 89.2%는 수술로 제거되었고, 6cm이하의 종양중 42.5%만이 보존적요법으로 치료되었다. 6. 수술요법을 시행한 81예중 53예에서 복부동통이 수반되었으며, 복부동통과 연관된 53예중 36예에서 종양의 크기가 6cm이상이었다. 7. 임의적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종양의 크기가 6cm이하에서 3예, 6cm이상의 경우에서는 17예였다. 종양의 크기에 무관하게 복부동통이 수술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에서 임의적 수술은 대부분 종양의 크기에 관계되었다. 8. 임신중 종양제거술을 시행한 81예에서 임신이 만삭까지 유지된 경우가 45예(55.5%), 조기진통이 온 경우가 9예(11.1%), 자연유산된 경우가 12예(14.8%), 그리고 인공유산을 시행한 경우는 6예(7.4%)였다. 그리고 나머지 9예(11.1%)는 추적관리가 되지 않았다. 9. 수술 후 호르몬요법(프로제스테론)을 받은 군과 받지않은 군에서의 임신예후는 별반 차이가 없었다. 10. 가장 흔한 조직학적 진단은 단순 낭종이었으며(40.74%), 양성 난종성 기형종이 30.86%, 난소 주위 낭종이 11.11%를 차지하였다. 11. 단순 초음파촬영상 낭종형으로 보인 경우가 70.37%, 혼합형이 28.39%, 고형형이 1.23%였다. 양성낭종성 기형종 26예중에서는 20예에서 혼합형 영상으로, 5예에서 낭종성 영상으로, 1예에서 고형형 영상으로 보였다. One hundred five cases in which hospitalization and/or surgical intervention during pregnancy were required for definite therapy of adenxal mass or follow-up were re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dnexal masses occurring in pregnancy were the more common at 25 to 29 years old-pregnant women(49.5%) and more common in nulliparous pregnant women(65.7%) than in multiparous women. 2. The preoperative diagnoses were made more commonly in the first trimester(82.85%) than in the second trimester(11.4%) and the third trimester(3.8%). 3. The adnexal masses were found to be unilateral in 92.38% and bilateral in 6.66%. The four cases of the seven cases occurring bilaterally were diagnosed pathologically as dermoid cyst. 4.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the adnexal mass in pregnancy was abdominal pain occurring in fifty-six cases(53.5%) and 54 cases of them were related to the first trimester. Only 29 patient(27.61%) were free from complications. 5. The surgical excision was performed from 81 women and the expectant therapy was performed from 24 women. Fifty eight of 81 masses surgically removed, were$gt;6cm in diameter and the remained 23 masses were$lt;6cm in diameter. 89.2% of masses$gt;6cm in diameter were surgically removed and 42.5% of masses$lt;6cm in diameter were conservatively treated. 6. 53 cases of 81 cases surgically removed were related to abdominal pain as a complication. 36 cases of 53 cases complicated with pain, were masses$gt;6cm in diameter. 7. The elective surgery was undergone in 3 masses$lt;6cm in diameter and 17 masses$gt;6cm in diamete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ass, the abdominal pain was the most common indication of the surgery, but the elective surgery was most commonly related to the size of the mass. 8. Among 81 cases in which the adnexal mass was removed, delivery occurred at term in 45 cases(55.5%), premature delivery in 9 cases(11.1%) and spontaneous abortion in 12 cases(14.8%), and criminal abortion in cases(7.44%) and the prognosis of pregnancy in the remained 9 cases(11.1%)couldn't be monitored. 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gnosis of pregnancy after surgery between the progesterone-treated and non-treated group. 10. The histologic diagnoses of the surgically removed adnexal mass were simple cyst(40.74%),benign cystic teratoma(30.86%)and paraovarian cyst(11.11%). 11. The sonographic evaluation revealed that 70.37% were cystic appearance, 28.39%, mixed appearance and 1.23%, solid appearance. 20 cases of the benign cystic teratoma showed mixed appearance while 5 cases and 1 showed cystic appearance and solid appearance respectively.
이헌영,정세원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6 EU연구 Vol.- No.44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an influence chain between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by looking at discursive configuration process of immigration policy. The research question is “how politicization and securitization discourses on EU - and member state - levels impact upon Common EU Immigration Policy.” The medium of analysis is immigration discourses such as academic papers covering EU immigration policies, official documents and media documents. This study considers discourse analytic approaches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since it explores the ideological structures behind the discourse which represents political, economic,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certain social grouping. Subsequently, this study selected a discourse analysis as a methodology which could cope up with the complexity of immigr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UK, France and Germany presented immigration agenda in a different manner. However, in 1970s, immigration discourse had become closely connected with national security discourse, and then it became an issue causing the discrepancy of policy implementations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in each n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claims that EU level immigration discourse can be regarded as a reproduction of domestic political discourse of these EU member states. Thus, this paper suggests the EU should consider and revise the underlying factors of establishing EU immigration policy and policy-making process in a careful manner.
간경화증 환자에 병발된 Cryptococcal meningitis의 1례
이헌영,김선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82 충남의대잡지 Vol.9 No.1
The most common fungal etiology of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is C. Neoformans and above a half of whole cases are complicated in immunosuppressive disease. A case of cryptococcal meningitis, complicated in liver cirrhosis, was presented with review of references. The chief complaint was drowsy mental state and physical findings were severe general weakness, blindness of left eye, deafness of left ear, decreased liver dullness, neck stiffness, positive Kernig sign and right Babinski sign, urinary incontinence and decreased calculation power. Diagnostic work up was performed under the impression of liver cirrhosis accompanied by meningitis. C. S. F. smear and culture for cryptococcus revealed as positive. After administration of garlic oil and amphotericin-B, illness was recovered progressively exception of deafness, blindness and mild degree of walking disturbance.
일자리 수준의 숙련지표를 이용한 지역노동시장 인적자본 외부효과 분석
이헌영,조성철,임업 한국지역학회 2011 지역연구 Vol.27 No.4
The importance of regional human capital and knowledge externalites is more and more emphasized with a transition to a knowledge-based economy. However,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is widely used as a proxy variable of human capital does not reflect the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human capital.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human capital and knowledge externalities in regional labor mark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occupation-specific skills of human capital on labor productivity in regional labor market by using occupation-specific skill factors as a complement of years of schooling. This study identifies four kinds of occupation-specific skill factors which are defined as cognitive skills, technical skills, physical skills, and relational skills by using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database. Based on these factor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wage compensation difference across different kinds of skills that people have and these skills have different impact on knowledge externalites. This study finds varying effects of occupation-specific skills on labor productivity at a regional level by employ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지식기반경제 사회로의 전환과 함께 지역의 경제성장에 있어서 인적자본 및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인적자본을 측정하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교육년수는 인적자본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지 못하는 탓에,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다양한 메커니즘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직종 수준에서 관찰되는 근로자의 숙련 수준을 바탕으로 기존 변수의 한계를 보완하는 인적자본의 지표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근로자의 상이한 인적자본 특성이 개별 근로자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했다. 나아가 지역 수준에서 상이한 인적자본 특성이 지역 수준의 생산성 증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창출하는 인적자본의 속성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한국직업정보네트워크(KNOW)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년수를 보완할 인지적, 기술적, 신체적, 관계적 숙련 수준의 변수를 구성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동일한 교육년수를 가진 개인 사이에서도 상이한 숙련 수준에 따라 임금 보상으로 대변되는 생산성에 있어 차이가 나타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의 추정을 통해 지역 수준에서 각 차원의 숙련수준이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영향이 개별 근로자의 숙련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밝히고 있다.
이헌영 은행법학회 2014 은행법연구 Vol.7 No.2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와 2008년 리먼브라더즈 파산 등의 여파로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겪은 후 세계 각국은 G20를 중심으로 표준화된 모든 장외파생상품은 거래소나 전자거래 플렛폼 (Electronic Trading Platform)에서 체결되도록 하고, 중앙청산소(Central Counterparty, “CCP”)를 통해 청산되어야 하며, CCP를 통해 청산되지 않는 상품은 높은 자본규제를 적용받도록 하고, 모든 장외파생상품은 거래정보저장소(Trade Repository)에 보고되어야 한다는 장외파생상품에 대한 규 제를 도입하기로 하고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나라가 이를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한국거래소가 CCP로 인가를 받고 2014년 6월 30일부터 원화이자율 스왑거래에 대한 의무청산이 시작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CCP를 통한 청산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장외파생상품의 위탁청산의 경우는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청산회원이 2014년 10월 15일부터 업무를 개시하고, 투자신탁이나 특정금전신탁의 거래의 경우 아직 위탁청산 시스템이 완비되지 못 하는 등 추진이 지연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장외파생상품의 위탁청산 추진과 관련 하여 노정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향후 위탁청산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한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우선 위탁청산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의무청산의 대상이 되는‘금융투자업자’ 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방향으로 금융투자업 및 자본시장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의 관련 조항 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금융기관의 위탁청산업무에 혼선이 없도록 청산위탁자가 거래상대방 위험(Counterparty Risk)을 CCP를 기준으로 할 수 있도록 일반청산회원의 파산 등 결제불이행의 경우 청산위탁자에 대한 CCP의 책임을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청산위탁계약서와 관련 한 일괄정산 법률의견서와 관련하여 동 의견서 작성과 관련한 법률비용이 위탁청산을 시행하고자 하는 금융기관들의 중복적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한국거래소가 이를 부담하고 동 법률의견서를 공시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청산위탁자의 청산위탁증거금이 일 반청산회원이나 한국거래소의 파산 등의 경우에 그 일반청산회원이나 한국거래소의 채권자로부터 명확히 보호될 수 있도록 자본시장법에 명시할 필요성 있으며, 현재 위탁청산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청산회원이 단 2 곳 뿐이고, 더욱이 시중은행 중에는 일반청산회원이 하나도 없는 현실을 타 개하기 위해 관련 금융감독당국은 대형 시중은행을 비롯한 더 많은 금융기관들이 위탁청산서비스 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반청산회원의 수를 적절히 확충하여 소수의 청산위탁업무 과점에 따른 위 탁청산수수료 상승 등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