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함정 통합기관제어체계의 제어로직 검증을 위한 연동신호 시뮬레이터 개발

        이헌석,손나영,심재순,오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8

        ECS is a control device so that the warship can perform the mission stably by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entire propulsion system. As the recent provisions of the warship, it's propelling system is complicated than past, as the demand performance and mission of the warships are diverse. In accordance with the complicated propulsion system configuration, the demand for automatic control function of the ECS is increasing for convenient and stable propulsion system control for convenient and stable. As a result, verification of ECS stability and reliability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terlocking signal simulator for verifying ECS control logic and communication protocol for warship with CODLOG propulsion systems. The simulator developed was implemented to simulate a signal of gas turbine, propulsion motors, diesel generator and 11 kinds of auxiliary equipment. The reliability of ECS was verified through the ECS communication program and the I/O signal static test with the simulator. 통합기관제어체계(ECS)는 함정의 추진체계 전반을 제어하고 감시함으로써 함정이 안정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비이다. 최근 함정의 요구성능 및 임무가 다양해짐에 따라 함정 추진체계는 과거에 비해 구성 및 제어가 복잡해지고 있다. 복잡해지고 있는 추진체계 구성에 맞춰 운용자 입장에서 편리하고 안정적인 추진체계 제어를 위해 함정의 ECS의 자동제어 기능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ECS의 안정서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ODLOG 추진체계를 갖는 함정을 대상으로 ECS 제어로직 및 통신 프로토콜 검증을 위한 연동신호 시뮬레이터를 개발한다. 개발한 연동신호 시뮬레이터는 가스터빈, 추진전동기, 디젤발전기 외 11종의 보조기기 계통의 신호를 시뮬레이션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개발한 연동신호 시뮬레이터는 ECS의 함 탑재이전 공작수락시험(FAT) 단계에서 ECS 콘솔과 연동하여 ECS의 통신 프로그램 및 I/O 신호의 정적 시험을 통해 ECS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의 평가와 향후 과제

        이헌석,여경수 韓國土地公法學會 2011 土地公法硏究 Vol.55 No.-

        2011년 4월 29일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여 2012년 6월부터 노숙인은 그들이 적절한 주거와 보호를 제공받을 권리를 법제도적으로 보장받게 된다. 즉, 국가는 노숙인의 권익을 보장해야하며, 노숙을 예방할 실정법적 책임을 지게 되는 것이다. 노숙인에 대한 안정된 주거의 제공, 고용지원, 건강진단 및 치료와 이러한 사업에서 민간단체와의 협력 등에 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정하고, 특히 노숙인의 인권 보장 및 자립을 통한 원활한 사회생활을 도모하기 위한 근거를 주된 내용으로 하는 동 법률은 우리나라가 복지국가에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법률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동 법률의 제정을 통해 모든 국민이 인간다운 주거생활환경을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실현되고, 국가에 대하여 적절한 거처에서 생활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는 계기로 이어질 것인가에 대해서는 근본적인 의문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 입법과정 및 주요내용 고찰하면서 동 법률의 의미를 되새겨보았으며, 제정과정에서 누락되거나 미흡한 부분을 지적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동 법률의 문제점으로는, 포괄적 위임의 문제, 민간단체와의 협력체제 미비, 노숙인 권리구제 수단의 미비 등 세 가지를 지적하였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노숙인 복지에 관한 사회적 인식과 재정적 한계를 고려하여 주거지원, 거리노숙인의 건강권의 보호, 거리노숙인의 노숙할 수 있는 권리보장, 및 노숙인 종교의 자유 등 다양한 문제들을 장기적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The proposed research will examine the impacts of the Homelessness Act 2011 on homelessness policy and practice throughout the Korea. Everyone shares the right to a decent standard of living. Essential to the achievement of this standard and therefore to the fulfillment of human lie beyond simple survival is access to adequate housing. Homelessness is the condition and social category of people without a regular house or dwelling because they cannot afford or are otherwise unable to maintain regular, safe, and adequate housing. The government open shelters for homeless people, but the programs of rehabilitation, management and housing program were not fit for them. Because these are not concern with housing and social exclusion. First and foremost, homeless is the problem of poverty and resident poverty above all. So the government have to supply many public houses for them with welfar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unctuate an evaluation and tasks of 「Welfare and Support for the independence on the Homelessness Act」

      • KCI등재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헌석,황미영,최은희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e subjects were 30 university student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15 respectively. The Program was progressed from Sep. to Oct. 2008 and analyzed by SPSS 1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test in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enhanced total scores and the scores of sub-scop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communication', 'closeness', 'openness', and 'understanding'. Second, in the conflict resolution styles, 'avoidance', 'compromise', and 'collabora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experimental group. Third, even though the program was not focused on enhancing self-esteem, it was increased. Therefore we could infer that the learning of communication skill brought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on experimental group. Finally, our program was effective in the change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and self-esteem rather tha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 we found out tha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is very useful for university students who prepare to enter the society.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대인관계, 갈등해소양식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통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으며,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매주 2회 6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14.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 사전․사후검사결과 먼저, 대상자들은 ‘대인관계’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의사소통성’, ‘친밀감’, ‘개방성’ 및 ‘이해성’에서 변화를 보였다. 둘째, 갈등해소양식에서, ‘회피’, ‘타협’ 및 ‘협력’양식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나, ‘강요’와 ‘순응’양식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주안점을 두고 있지는 않으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는 의사소통기술습득으로 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의 구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량 차이 분석결과로 볼 때, 대인관계보다 갈등해소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대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이는 대학생을 위한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형선박용 프로펠러 및 샤프트 이물질 제거를 위한 수중절단기 기구 설계 및 제어기 개발

        이헌석,오진석,최순홍 해양환경안전학회 201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5 No.7

        Screw-failure accidents in small ships frequently occur in coastal waters. In particular, vessels’ propulsion systems are frequently coiled due to objects such as fish-nets and ropes that float on the sea. The failure of the ship’s propulsion system can cause primary accidents such as ship operation delays and drifting due to loss of power;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secondary accidents such as those involving operators in the underwater removal of rope stuck in a propeller. Ships that do not have the proper tools to solve these problems must be either lifted onto land to be repaired or divers must dive directly under the ship to solve the problem. Accordingly, some small vessels have been equipped with rope-cutter devices on the propeller shaft to prevent ship propeller system accidents in recent years; however, they are not being applied efficiently due to the cost and time of install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s an underwater rope-cutter device and controller for the removal of propeller and shaft foreign material in small vessels. This device has simple structures that use the principle of a saw. Meteor gears and crank pins were used for the straight-line rotation of saw blades of the underwater rope-cutters to allow for long strokes. Furthermore, the underwater rope-cutting machines can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ship battery. The user, a non-professional, can ensure convenience and stability by applying reverse current prevention and a speed control circuit so that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연안 해역에서 소형 선박의 프로펠러 고장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상부유물(폐그물 및 로프 등)에 의하여 선박 프로펠러가 감기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선박 프로펠러 감김 사고는 동력 상실로 인한 선박의 운항 지연 및 표류로 인한 1차 사고와 프로펠러에 감긴 로프을 제거하기 위한 잠수 작업등으로 인한 2차 사고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빈번한 프로펠러 감김 사고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해결할만한 적절한 도구가 없어 선박을 육상으로 인양하여 수리하거나, 잠수부가 직접 선박 아래로 잠수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선박 프로펠러 감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프로펠러 샤프트에 로프절단장치를 일부 소형선박에 장착하고 있으나 비교적 높은 설치비용 및 시간이 으로 인하여 원활하게 적용되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톱 원리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를 가진 수중절단기 기구 설계 및 제어기 개발을 수행하였다. 수중절단기의 톱날은 직선왕복동작을 위해 유성기어와 크랭크핀을 사용함으로써 긴 행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중절단기는 소형 선박에 비치되어있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역전류 방지 및 속도제어회로를 적용하여 편리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