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제동행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정체성 변화 탐색

        이향연(Rhee, Hyang-yon),최규리(Choi, Kyoulee),정윤숙(Chung, Yoonso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과학에 흥미와 적성을 가진 소외계층 학생들의 과학정체성이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고 이들을 과학기술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공계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가정환경, 성별, 지역적 여건 등으로 교육적 지원이 요구되는 학생들이 학교별3명 이내로 과학교사와 함께 팀을 이루어 10개월 동안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중학교 30팀, 고등학교 80 팀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사전·사후 과학정체성 검사에 참여한 197명을 대상으로 과학정체성의 변화와 과학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참여 요인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검사에서 학생들의과학진로포부와 과학자아개념은 낮은 편이었고 과학참여에 있어 과학수업 참여만이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학교 밖 과학참여 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과학진로포부에 유일하게 영향을 미치던 가정에서의 참여와 더불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변화되었다. 과학자아개념에 대해서도 과학수업 참여와 학교 밖 과학참여의 영향은 가정에서의 참여보다 낮았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가정에서의 참여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여학생은 과학자아개념과 과학교사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으나 프로그램 참여 이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과학자아개념에서의 성별 차이 역시 사라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과학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인은 물론 요인들 사이의 관계 또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학교 밖 과학참여의 교육적 효과와 교육 소외계층 학생들의 긍정적인 과학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는 교육적 중재에 대해 논의하고 이들을 과학기술인재로 양성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he science ident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with interest in science changes through participation in science career experience programs. Three or less students from secondary schools teamed up with their scienc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10 months. A total of 197 students responded to pre- and post-science identity tests. The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scientific identity after program participation; and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participation on science career aspirations and self-perceptions in science, respectively. Analysis revealed the changes in the factors that construct science ident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ter the program. The level of out-of-school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been transformed into a relevant factor along with home-based participation, the only associating factor on science career aspirations. The effect of science-class participation and out-of-school participation on self-perceptions in science was also lower than the effect of home-based participation, but after the program, it was changed to have a greater impact than the home-based participation. Especially,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perceptions and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 after the program and gender differences were removed in science-related self-perceptions.

      • KCI등재

        환경교사의 지도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분석

        이향연(Hyang-yon Rhee),장지영(Jiyoung Jang),황승아(Seong-ah Hwang),최경희(Kyunghee Choi) 한국환경교육학회 2013 環境 敎育 Vol.26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L (Environmental Literacy)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energy and greenhouse gas and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the level of students’ EL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n environment teacher in their school. A total of 236 high school students from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consisted of a questionnaire on three domain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EL was above average in all of the three domains regardless of environment teachers. However, the level of behavior was lower than the level of attitude and knowledge. Students’ behavior did not correlate with their knowledge but their attitude (r=.600, p<.001). The level of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regardless of an environment teacher but the level of their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3.676, p<.001) depending on the teacher availability. The students who had an environment teacher in their school had a higher level of behavior in eco-friendly consumption habits (t=2.202, p<.05) as well as civic and educational engagement for environment (t=8.669, p<.05).

      • KCI등재

        그린스쿨과 비그린스쿨 학생들의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 차이

        이향연(Rhee, Hyang-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변화가 체감할 수 있는 수준에 다다르면서 최근 학교에서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으로 학교 건물 및 설비를 개보수하거나 학습 공간을 포함한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환경교육과 연계하는 그린스쿨 (green school) 사업이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그린스쿨 환경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린스쿨 시설을 교육에 활용하고 있는 중·고교 각 1개 학교 295명 학생과 동일 지역에서 유사한 학생 분포를 가지고 있는 비그린 스쿨 중·고교 각 1개 학교 237명 학생의 전체 532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4일부터 5월 12일까지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지식, 태도, 행동)을 측정하여 그 차이를 분석 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 결과, 전체 그린스쿨 학생들의 지식 및 태도는 비그린스쿨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학교급에 따른 차이에서는 전체 고등학생의 지식 점수가 중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태도와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에너지-온실가스 환경소양의 행동 점수에서는 학교유형별(그린스쿨과 비그린스쿨), 학교급별(중학교와 고등학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교유형 및 학교급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그린스쿨에서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행동점수가 낮은 반면, 그린스쿨에서는 학교급이 높을수록 행동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reen schools, which renovate school buildings and facilities or change learning environments eco-friendly, and link to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secondary students’ energy-greenhouse gas-related environmental literacy between green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otal 532 students, 295 from green schools and 237 from general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Both green and general schools consisted of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Correlation analyses and two-way MONOVA were utiliz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literacy domains,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ll of the three domai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literacie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r=.646). The green school students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knowledge and attitude than the general school students while the difference in the behavior literacy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wo types of school.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knowledge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titude and behavior literacie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s of school and the levels of school was significant in terms of behavior, i.e., high school students’ behavior literacy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reen schools while high school students’ behavior literacy was low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eneral schools.

      •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이향연(Hyang-yon Rhee),박선자(Sun-ja Park),유정숙(Jung Sook Yoo),이신영(Shin Young Lee),장지영(Jiyoung Ja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us of eth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1)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2) teacher’s perceptions of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3) contents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in 7th and 8th grade science textbooks. 29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12 science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20 items over three sub-categories: the nature of science, the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erience on ethical problems in the classroom.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lso consisted of three sub-categories: percep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perception in middle school ethics edu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pinions of that. In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28.3% of students learned about ethical issu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the school, 69.4% of students had experiences on internet-copied homework and 26.4% of them had falsified experimental data. STS topics were contained in 7 of 12 units of a 7th grade science textbook but they were not relate to ethical issues. Neither ethical issue nor STS topic was not found in 8th grade science textbook. All participated science teachers were positive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y reported some barriers such as lack of learning materials and information and their less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Some of them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eth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제7차에서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까지 과학기술윤리교육의 변화

        이향연(Hyang yon R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등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기술윤리교육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육과정 시기, 학교급, 교육과정 항목, 과학영역, 과학기술윤리교육의 범주를 분석항목으로 하여 1997년 개정된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2009개정,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997년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 변화하면서 과학기술윤리교육 관련 내용은 양적인 확대를 거듭해왔으며 이러한 경향성은 각각의 학교급, 교육과정 항목, 과학영역, 과학기술윤리교육 범주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과학기술윤리교육 범주 중에서 가장 큰 증가를 나타낸 것은 과학탐구윤리 관련 내용이었으며 전체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특정 과학기술분야의 윤리 중에서는 환경윤리가 가장 많았으며 생명의료윤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항목의 성격 및 목표에는 STS 교육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내용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탐구윤리 비중이 높았다. 과학영역별로는 물리영역에 공학기술윤리, 화학영역에 과학탐구윤리, 생물영역에 환경윤리가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shift of science and technology ethics (STE)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a of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curricula from the 7th in 1997 to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Analysis factors were school level, curriculum item, subject of science, and the category of STE education. The category of STE education consists of 1) science inquiry ethics (SIE) , 2) science lap management (SLM) , 3) subject specific issues including biomedical ethics (BME) , environmental ethics (EVE) , and engineering & technology ethics (ETE) , and 4)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 of science & scientists including science, technology, & society (STS) , socio scientific issues (SSI) , and social role of science & scientists .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STE education-related elements tended to have increased through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 similar tendency showed in each analysis factor. STE education-related elements were greatly increased as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were introduced in each lesson unit in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Out of all the STE education-related elements, SIE have increased the most and the number of the contents was the highest in the whole curricula. In the subject specific issues , EVE was the highest while BME was lowest. ETE in physics, SIE in chemistry, and EVE in biology were the most frequent elements in each science subject. STS and SSI elements appeared to have relevantly less increased because overall STS and SSI education elements were subdivided to the specific ethical elements in this study. Consequently, STE education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Korea has achiev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However,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volving reflection to the abse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ce & scientists should be necessary.

      • KCI등재

        간호학 대학원생의 성찰저널에서의 글쓰기 분석

        김미영(Kim Mi young),이향연(Rhee Hyang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 대학원 수업에서 성찰저널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글쓰기 특성과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일개 대학교의 간호학 대학원 수업을 수강한 14명 학생들이 제출한 126개의 성찰저 널과 5명의 학생에 대한 면담이었다. 분석 결과, 글쓰기 대상은 간호와 학습내용 등 자신과 심리적으로 거리가 먼 주제에 대한 서술이 주를 이루었다. 글쓰기 목적에서 도 회고나 반성의 빈도가 가장 낮아 개인적 자아와 가까워질수록 서술 빈도가 낮은 반면 향후 계획이나 학습연계의 비율은 높았다. 글쓰기 형식에서는 연역적 글쓰기가 많았으며 이 경우 서론, 본론, 결론의 구조를 모두 갖추고 있었다. 한편, 근거를 바탕 으로 한 의견 제시가 주관적 글쓰기 비율보다 낮았고 구조를 전혀 갖추지 못하거나 형식을 파악하기 어려운 글쓰기도 있었다. 글쓰기 오류에서도 비판적 사고에 반하는 논증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남으로써 학술적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질 적 자료 분석 결과, 성찰적 글쓰기를 하면서 겪은 변화에는 ‘글쓰기의 수월성’, ‘자아 인식의 확대’, ‘이론과 실무의 연계’ 등의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학생 들은 성찰저널의 작성과 공유를 통해 자아인식을 확대할 수 있었으며 성찰저널을 통해 학술적 글쓰기를 함양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in graduate nursing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and to examine the students’ experiences of journal writing in order to explore its effect on their learning. The data analyzed consisted of 216 reflective journals from 14 graduate nursing students and interviews with five of th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 writing subjects described were ‘nursing’ and ‘learning contents’, which are both impersonal. ‘Reflection’ in the purpose of writing was illustrated the least, indicating that the rate of writing was lower if the subjects were more personal. In comparison, the ‘planning’ or the ‘application of their learning’ was more noticeable in the writing. Th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of the journals were well all structured often with deductive writing. The rate of subjective writing was higher than that of logical evidence based opinion. and some journals were not well structured or their format was hard to distinguish. Many students frequently committed logical fallacies against critical thinking which implicates that the education of academic writing is necessary for graduate students. The changes experienced by many through their reflective writing were categorized into excellence in writing , the expansion of self-awareness , and liais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 In conclusion, findings showed that reflective journal writing helps students to recognize the extent to which self-awareness can be expanded by hands-on practice and enables students to improve their academic writing.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계열 및 성별 집단에 따른 과학기술관련 인성과 가치관에 대한 특성 탐색

        이현옥(Lee, Hyunok),이향연(Rhee, Hyang-y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과학기술관련 인성과 가치관에 대한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을 과학기술 맥락에서 묻는 평가도구(CVGCA)와 전통적인 기술에 대한 태도(PATT)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학생 111명(공과계열 50명, 비공과계열 61명)으로 전공계열(공과계열 및 비공과계열) 및 성별집단에 따른 인성과 가치관, 과학기술에 대한 태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생태학적 세계관(EW)’과 ‘기술의 결과(T-C)’ 사이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책무(SA)’와 ‘기술에 대한 흥미(T-I)’ 사이의 상관관계는 공과계열 학생에게만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사회도덕적 공감(SM)’과 ‘기술과 직업(T-J)’은 비공과계열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VGCA와 PATT 하위 영역에 대한 전공 및 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성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VGCA의 생태학적 세계관은 전통적 측정도구 PATT의 기술의 결과와 대비되었으며, 과학기술의 맥락에서 발생하는 도덕적‧윤리적 쟁점에 대한 인성 및 가치관에서 공과계열 학생과 비공과계열 학생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반면, 현대적 관점을 반영하는 생태학적 세계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인식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관련 인성교육에 대한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features of university students"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character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A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students" major (engineering and non-engineering) and gender utilizing CVGCA (Character and Values as Global Citizens Assessment) and PATT (Pupil"s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chnolog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W (ecological world view) and T-C (consequence of engineering)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th majors. SA (social accounta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E-I (interest in engineering) for engineering students while SM (social and moral compassion) was closely related to T-J (engineering and job) for non-engineering students. This study further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averages of CVGCA and PATT sub-categories according to major and gender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gender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for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 character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우수한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과학실험 유형과 학습양식의 관계

        우주 ( Ju Woo ),이향연 ( Hyang Yon Rhee ),최경희 ( Kyung Hee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양식 및 유형별 실험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과학성적 우수학생 19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을 검사한 후 확인실험, 발견실험, 탐색실험,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수업이 끝난 후 각 실험수업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개인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을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별로 그룹화 하였으며 그룹 별 학습양식의 특성을 비 교·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개인의 특성과는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학습양식이 있었다. 연구 참여 학생들 은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동기화(자기-동기화, 부모-동기화, 교사-동기화)와 구조화 선호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우수 학생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구조화되고 개방적인 실험을 선호하였다. 또한 이런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은 학습양식 중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셋째,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선호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서로 관계가 있었다. 비구조화 되고 개방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사회변인과 감정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구조화되고 폐쇄적인 실험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신체변인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Dunn과 Dunn(1993)의 학습양식 측정 결과가 일반 수업뿐 아니라 실험수업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tyle, perception of types of laboratory instru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rom Incheon in Korea, who showed outstanding science grades. Dunn et al`s revised Learning Styles Inventory (1997) was used for testing students` learning style. The students were asked to choose preferred and not preferred types of experiments and describe the reason of the choices after implementation of 4 types of experiments: verification, discovery, explorator, and investigation laboratory instru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ents had a certain common learning style irrelevant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 e; they showed high (self, teacher, parents) motivation and structure stimuli that was common in Korean students, Second, outstanding students prefer unstructured and open laboratory instructions. And those students were highly influenced by sociological and emotional stimuli. Third, students`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their preferred type of laboratory instruction. Students preferring unstructured and open laboratory were influenced by sociological and emotional stimuli, while those preferring structured and closed laboratory were influenced by physiological stimuli.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의 성별 차이 현황과 해결 방안

        최경희(Kyunghee Choi) · 신동희(Donghee Shin) · 이향연(Hyang-yon Rhee)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차의 실태를 분석하고 성차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태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교육적 요인을 일반 과학교육과 영재 과학교육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기술분야에서 성차 해소를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남녀 학생의 성차가 명백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학·과학 영역의 국제비교연구인 TIMSS와 PISA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의 성차는 다른 참가국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이러한 현상은 성취도뿐 아니라 태도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학에 재능과 흥미가 있는 여학생은 과학기술 분야로의 진학과 직업선택을 포기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며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의 경우, 정규직 교수는 10%대, 책임급 연구원 이상의 비율은 한 자리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모델을 축소시킴으로써 다시금 과학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 순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서 성차 개선 노력, 과학기술과 여성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사회적 노력, 국가 차원의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among regular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secondly, to examine the facts on the ratio of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further expl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inforc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s results, there was an evident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This also contributed to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lack of a role model for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effects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who pursue further stud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to be substantial government action, a change of attitude toward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fforts to improve the gender factors in teaching/learning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공학윤리의 확장: 나노윤리의 모색

        최경희(Kyunghee Choi),송성수(Sungsoo Song),이향연(Hyang-yon Rhee) 한국공학교육학회 2011 공학교육연구 Vol.14 No.4

        This paper deals with nanoethics as a sort of extension of engineering ethics utilizing various books, articles, and reports concerning historical, social, and ethical aspects of nanotechnology. After a brief examination on the pla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nanotechnology, ethical issues on nanotechnology are analysed including safety problem, impact on environment, violating privacy, social inequity, military use, and human enhancement. The basic principles on nanoethics are proposed such as promotion of public understanding, construction of participatory governance, contribu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ment to precautionary principle, and compliance with research integrity. Lastly, integrated method in nanoethics education is illustrated putting lecture model, investigation model and discussion model together. This paper can provide the contents available for nanoethics education, and make a basi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