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캠퍼스 조성사업을 통한 NCS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의 효과성 연구

        이하나,강소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무분별한 개발과 획일화 속에서 각 지역들은 도시의 재정비를 통한 주변 환경과 도시의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학령인구 감소와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무너진 대학가상권과 사라져가는 대학 고유의 문화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에 대학가 주변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상생발전을 위한 캠퍼스 조성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사업은 캠퍼스 주변 지역 활성화와 거리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대학을 중심으로 지역주민들의 참여로 가로환경 개선과 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은 재능기부로 참여하는 교수와 몇몇 학생들의 비교과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체계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수업 즉, 학습자가 문제를해결하는 과정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형태의 수업설계모형을 NCS의 능력단위를 활용한 교과과정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개발하고 참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설문결과는 첫째 본 PBL에 활용된 시각디자인직무의 능력단위인 시각디자인 전략 수립, 시안디자인 개발 기초, 최종 디자인 실행 3개의 능력단위 중 시각디자인 전략수립을 제외한 시안디자인 개발 기초와 최종 디자인 실행의 능력단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PBL 수업을 통해 능력단위의 활용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NCS능력단위 요소 전체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시각디자인 개발 기초 점수가 가장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캠퍼스 조성사업과 연계한 PBL에서 시안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아트웍을 포함한 베리에이션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시각디자인 개발 기초 능력에서 지역사회의 주민과 기관과의 의견 조율을 하는 과정에서 사업목표를 이해하는 능력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NCS의 직무능력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PBL 수업을 설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길 바란다.

      • KCI등재

        과업 복잡성과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모델 글 활용 영어 쓰기 학습 효과와 활동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나,최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5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ask complexity and cooperative learning influenc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narrative writing in terms of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and their writing ability development when performing a three-stage task with differentiated complexity by reasoning demands of picture sequence. In the task, students were given and read a model text individually or in group to find out problems of their own writing and solutions with note-taking between writing a draft and rewriting it, assuming model texts would play a role of a feedback provider and cooperative work would lessen cognitive demands of complex tasks. The analysis on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of 68 students’ essays reveal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nd interactional effects by task complexity and cooperative learning, except for mean length of T-unit by task complexity and numbers of T-units per minute by interactional effects of task complexity and cooperative learning; yet, those who performed a more complex task showed lower fluency, accuracy, and complexity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outperformed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in mean length of error-free T-unit, syntactic accuracy and lexical diversit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writing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displays no significant group variations and interactional effects, though the group performing a more complex task and individual learning group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The survey of activity preference illustrates cooperative learning was noticeably preferred by those who performed a more complex task, which implies group work would lessen cognitive demands of complex tasks. 과업 복잡성과 협동학습이 중학생 영어 이야기체 글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3단계로 구성된 글쓰기 과업을 진행한 후 작문의 유창성, 정확성, 통사적 및 어휘적 복잡성과 영어 쓰기 능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3학년 68명으로 구성된 연구 대상은 그림순서 추론 여부로 차별화된 과업 복잡성과 초안 작성 후 원어민 모델 글을 제공하여 학습자 스스로 작성한 글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알아채도록 하는 단계를 개별 또는 집단으로 진행하는가에 따라 협동학습 여부가 달라지는 네 집단으로 분리한 후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과업에서 작성한 글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는 과업 복잡성 측면에서 T단위 평균 길이와 유의미한 집단 간 상호작용은 분당 T단위 수에서만 나타났으며 복잡성이 높은 과업을 수행한 집단의 유창성, 정확성, 복잡성이 모두 더 낮았으며 협동학습의 효과는 오류 없는 T단위 평균 길이, 정확성, 어휘 다양도에서 나타났다. 쓰기 능력 변화 분석 결과, 모든 집단의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사전 점수보다 높았지만 집단 간 유의미한 능력 향상도 차이나 상호작용은 없었다. 작문의 언어적 분석 결과와 달리 복잡한 과업을 수행한 집단과 개별학습 집단의 점수 상승폭이 더 컸는데, 이는 과업 복잡성, 협동학습 및 모델 글 읽고 필기하기의 단기적 및 장기적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활동 유형별 선호도에 대한 조사는 추론을 요구하는 복잡한 과업에서는 모델 글을 읽고 문제와 대안을 알아채는 것을 집단 구성원들과 함께 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협동학습이 과업 복잡성으로 야기되는 어려움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關王廟祭)의 복원 가능성과 활용 전략

        이하나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4

        관왕묘제(關王廟祭)란 ‘관왕묘(關王廟)에서 관왕(關王)으로 추존된 관우(關羽)에 게 제사를 올리는 의례’를 의미한다. 관왕묘(關王廟)는 중국을 비롯하여 대만, 홍콩, 한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등 동아시아 전역에 설치되어 있다. 관왕묘가 설치되어 있는 나라는 모두 관우를 기리고 숭상하는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데, 주목할 만한 사실은 이런 나라에서 관우를 기리는 양상이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한국에도 관왕묘(關王廟)가 존재한다. 한국에 관왕묘가 처음으로 건립된 시점은 임진왜란 때인 1597년이었고, 당시 관왕묘의 건립은 문치주의(文治主義) 국가인 조 선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사건이었다. 관왕묘가 건립된 후 명나라 장수들은 선조에 게 친제(親祭)를 요구했다. 당시 선조가 관왕묘에서 재배례(再拜禮)를 시행하면서 관왕묘제는 조선의 사전(祀典)에 편재된다. 관왕묘제는 이후 조선의 국가 제례로써 명맥을 이어갔지만, 고종대인 1908년 향사이정으로 인해 폐지되었고 현재까지 복 원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관왕묘제는 국가 사전에 편재된 국가의례이며, 이러한 국가의례는 선조 (先祖)들의 정신을 담은 전통 문화 유산이자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 다. 무엇보다도 관왕묘제는 악(樂)․가(歌)․무(舞)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종합예술 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 문화유산으로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더하여 동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공동으로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이라는 점을 살 폈을 때, 21세기인 현재에도 여전히 동아시아 보편 문화유산으로 기능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점에 입각하여 본고는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의 복원 가능 성과 그 활용의 전략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동아시아 보편 문화유산인 관왕 묘와 관왕묘제의 한국적 특수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가치 있는 콘텐츠로 복원하는 방법을 고민하였고, 글로벌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관왕묘제 활용의 전략과 의미를 다각도로 살폈다. 이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관왕묘 및 관왕묘제의 특별한 기준이 될 한국 관왕묘 제 복원의 단초를 제공하고, 그동안 외면당했던 한국 관왕묘제의 가치를 자각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러한 노력으로 세계인이 동아시아 보편 문화 로서의 관왕묘 및 관왕묘제를 한국에서도 향유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Kwanwangmyo Ritual is the ritual of offering sacrifices to Kwanwoo, who was revered as Kwanwang at Kwanwangmyo Shrine. Kwanwangmyo Shrines are established across East Asia, including China, Taiwan, Hong Kong, Korea, Japan, Singapore, and Thailand. All countries with Kwanwangmyo Shrines have a culture of honoring and revering Kwanwoo, with each country having a different way of honoring Kwanwoo. The first Kwanwangmyo Shrine was established in Korea in 1597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its establishment was an unacceptable incident in the Joseon Dynasty, a country whose elite society was structured around literacy during that time. After Kwanwangmyo Shrine’s construction, Ming Dynasty generals demanded that King Seonjo conduct the ritual himself. As King Seonjo practiced re-baptism at the Kwanwangmyo Shrine, the Kwanwangmyo Ritual became omnipresent in the ritual codes of JoseonSince then,T, and continued as a national ritual in Joseon butuntil it was abolished in 1908 withbythe Hyangsajeong of King Gojong and has not been restored since. However, the Kwanwangmyo Ritual is a national ritual omnipresent in the national ritual codes and forms a part of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living history, preserving the spirit of our ancestors. Furthermore, the Kwanwangmyo Ritual has significant value in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s a comprehensive art that combines instrument, song, and dance. Moreover, given that it is a cultural heritage shared by all East Asian countries, the Kwanwangmyo Ritual still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universal item of the cultural heritage of East Asia, even in the 21st century. Based on this fact, this paper examinesd the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and exploresd the meaning of its restoration. We especially consider ways to restore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which are items of a universal cultural heritage in East Asia, into valuable contents to reveal Korea’s uniqueness, and examine the meaning of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as a global cultural conten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Kwanwangmyo Ritual, which will become a special standard for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in East Asia, while providing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neglected Korean Kwanwangmyo Ritual.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se efforts will enable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to experience the Kwanwangmyo Shrine and Kwanwangmyo Ritual in Korea as universal cultural items of East Asia.

      • KCI등재

        Toluene induces early growth response-1 dependent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이하나,박재범,배휴철,류우인,신정진,손상욱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2016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Vol.12 No.3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an be an important environmental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and/or aggravation of atopic dermatitis (AD). In a several studies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s of air pollution including VOCs on skin symptoms in AD patients. Although these accumulated data shows an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VOCs and aggravation of AD, the molecular effects of VOCs on the aggravation of AD is still not clea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increases of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TSLP) in keratinocytes following exposure to toluene.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egulatory mechanisms of toluene-induced TSLP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Toluene induces early growth response-1 (Egr-1) protein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Moreover, treatment of Egr-1 siRNA abolished toluene-induced TSLP protein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human keratinocytes, the up-regulation of TSLP by toluene is induced through an Egr-1 dependent mechanism.

      • KCI등재후보

        한국 <문묘제례(文廟祭禮)>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이하나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1 No.-

        한국에서 <문묘제례(文廟祭禮)>는 ‘유교적 의례’라는 차원을 넘어 시공(時空)을 초월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다. ‘공자(孔子)를 비롯한 선성선사(先聖先師)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인 <문묘제례>는 일찍이 중국으로부터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전역에 유입되었다. 특히 한국에서 <문묘제례>는 연행이 시작된 고려시대부터 국가의 중요한 제사로 자리잡아 정치적, 교육적, 외교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시대의 <문묘제례>는 고려시대에 연행되던 형태를 최대한 그대로 유지・계승하고자 했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고려시대부터 현재까지 단절없이 이어져 왔다는 점’, ‘독자적인 배향 성현의 결정권을 중시했다는 점’, ‘천자의 의례로 그 지위를 격상시켜 계승했다는 점’ 등에서 한국만의 특수성이 발현된다. 이런 특수성으로 보아 한국은 <문묘제례>를 능동적, 독자적으로 수용하며 자국의 문화로 유지해 나갔다는 점에서 그 보존과 계승의 가치가 더욱 높다고 하겠다. 본고는 <문묘제례>를 ‘현대에도 여전히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문화콘텐츠로 인식해야 한다’는 고민을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고, 무형문화재로서 <문묘제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현실적 측면에서 고민해 보았다. <문묘제례>를 단순히 과거의 문화유산이라는 제한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여전히 우리 곁에 존재하는 의례라는 점을 감안하여 그 현재적 소용을 찾고, 미래를 지향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계승방안에 대해서도 연구해야 할 필요성 역시 대두되기 때문이다. <문묘제례>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에 앞서 의례의 원천소재를 축출하고, 2차콘텐츠 개발의 첫 단계로 원형의 복원 및 재현, 공연콘텐츠, 축제콘텐츠의 개발을 제시했다. 특히 공연콘텐츠와 축제콘텐츠로의 개발은 원형을 과감하게 탈피한 기획이라 할 수 있다. <문묘제례>의 3차콘텐츠라고 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은 이미 진행된 2차콘텐츠의 개발 이후 그 개발의 연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방안으로 여기서는 ‘기원․소망을 담은 의례로의 활용’과 ‘다양한 플랫폼의 활용’의 두 <문묘제례>를 기도와 소망의 의례로 활용하는 방법과 방송, 영화, On-Line을 통한 플랫폼의 다양화를 통해 활용하는 측면에서 현대적 소용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런 활성화 방안 중 몇몇은 현재에 이미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문묘제례>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그 실효성이 미미하다. 다만 본 연구는 <문묘제례>의 전통의례콘텐츠 개발이 현실적 구현으로 연결되는 데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Munmyojerye> in Korea has value and meaning transcending time and space beyond the level of 'Confucian rite'. <Munmyojerye> "which is a memorial service for holy and reputable ancestors including Confucius" early flew into East Asia area such as Korea, Japan, and Vietnam from China in the old times. Especially, <Munmyojerye> became an important national ancestral rite in Korea since Goryeo period when Yeonhaeng began,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litical, educational, and diplomatic aspect. <Munmyojerye> during Joseon dynasty tries to maintain・succeed to the format of Yeonhaeng conducted the Goryeo period as much as possible. <Munmyojerye> of Korea reveals its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viewpoint of 'being continued from the Goryeo period up to now without cessation', 'to set much value on deciding selection of independent holy ancestors', and 'to succeed to the rite by raising the status to the rite of a son of Heaven'. Seen from such distinct characteristics, Korea positively and independently accepted <Munmyojerye> and maintained it as its own culture, which shows higher value of preservation and succession. This study used <Munmyojerye> as the starting point of research because it has to be recognized as cultural contents which still maintain its vitality even in the modern times and then, it agonized a way in terms of reality to which direction <Munmyojerye> has to go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Considering <Munmyojerye> is a rite which still exits around us instead of seeing <Mun- myojerye> with a limited vision as a past cultural property, it becomes necessary to discover current usage and to study future-oriented desirable succession plan. As the first development phase of traditional rites contents of <Munmyojerye>, source material was extracted for re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original form. Furthermore, the method to develop performance contents and festival contents is planning to resolutely break the original form. Revitalization plan as the 3rd contents of <Munmyojerye> was a plan to use extension of development of the 2nd contents, and it discussed here two subjects such as 'utilization of various platforms' and 'utilization of <Munmyojerye> containing wish․hope. It mentioned modern usability from the aspect that platform through broadcasting, movie, and online was used and that <Munmyojerye> was utilized as a place of pray and wish as well as ceremony. Some of above utilization plans are being used at present but effectiveness related to utilization of <Munmyojerye> is still poor.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cornerstone to connect development of traditional rites contents of <Munmyojerye> to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한·중 어린이도서관 온·오프라인 비교 연구

        이하나,WANG LIN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As time goes by and the year develops, Children’s libraries also are actively changing along with this. Also, as the educational expenses soars up these days, the role of Children’s libraries is important. They are creating and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both in China and Korea to provide customized users’ servic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brary, also, such service i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web homepage. Presently Children’s libraries are taking a role as the user-customized library with web homepage and educational program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brary through various contents in order to provide good service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This research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web homepage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s libraries and the difference in the programs conducted and Cultural difference in these libraries. As a result, let's find out what the children ’ libraries should have.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어린이도서관에서도 이에 맞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또 요즘같이 교육비가 하늘로 치솟는 시대에 어린이도서관의 역할은 중요하다. 어린이도서관이라는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에서는 모두 연령에 맞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 기반의 웹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다양한 이용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 어린이도서관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양쪽에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콘텐츠를 이용하여 어린이도서관이라는 특정 대상의 특성에 맞는 웹 홈페이지 구성과 자관 도서관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용자 맞춤형 도서관으로서 충실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한중 어린이 도서관의 웹 홈페이지의 구성· 구조적 차이를 알아보고 자관 도서관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 차이를 알아보고 이해하며 어린이도서관이 나아갈 점과 추구해야 할 점을 알아보자.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